헤르메스학 입문 지혜를 품은 책 3
프란츠 바르돈 지음, 임동욱 외 옮김 / 좋은글방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법서라는 정의도 맞겠지만 서양 수행체계에 대한 저작이라고 보면 정확하다고 생각된다.

'유럽의 신비주의'라는 책을 통해 서양의 수행체계도 동양의 그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동양의 수행방식들과 크게 같은 선상에 있음도 깨닫게 되었다. 


다양한 서양의 수행체계 중 본서를 꿰뚫는 맥락은 현대의 중국에서 특이공능이라고 말하고 있는 초능력, 옛스런 표현으로는 법력을 키우는 수련이라는 것이다. 어느 수행이던 궁극에 이르면 깨달음이나 초월을 추구하는 것으로 귀결한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동양에서도 요가, 불교, 선도 등 분류에 따라 초월이나 합일, 깨달음, 연신환허 등으로 크게 그 맥락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다양한 유파에 따라 추구하는 바가 세밀히 들어서면 다르게 나뉘기도 한다. 


서양의 수행체계도 큰 맥락은 하나님과의 합일이겠으나 마법에서 합일과 함께 중요시하는 것은 현실에서의 영향력 확장과 현실의 초월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서도 그와 같은 맥락에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수행 방식은 요가의 '땃뜨와 슛디'사다나나 불교 현교의 '자비수관' 또 밀교의 오륜관 수행을 연상시키는 수행으로 입문하고 있으며 오원소에 대한 영향력 향상을 근간으로 현실에 대한 영향력을 확장 시키는 수행으로 나아가 종래에는 현실의 한계를 초월하는 수행으로 귀결하고 있다.


수행방식이 동양의 밀교 수행 보다 다채로우며 빠져들게 만들고 있기도 한다. 이 책의 도입부 부분이 따분하면서도 식상한데가 있어서 이론편을 읽고서 책을 던져 버리는 님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훈련편을 실수행에 적용하는 님들은 충분히 효과를 실감할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본서가 동양의 수행서들과는 다르게 능력의 신장이 어떠할지 과시하는 투(?)의 서술이라 판타지적이라고 우습게 볼 우려도 있으나 밀교 수행에 대한 식견이 있는 분들이라면 깊이 공감할만한 내용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8-09-30 2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하라님이 뜸하셔서 이 장르에 관해서는 한동안 아무 리뷰도 읽을 수가 없었지요.

이하라 2018-10-01 09:48   좋아요 0 | URL
수행분야만 리뷰하려고 마음 먹었던 건 아니었는데 어쩌다보니 그리 되었네요;;;
그래도 제 리뷰가 한 장르의 정보라도 전할 수 있다는게 다행스럽습니다

cyrus 2018-10-01 0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르메티카》를 읽기 전에는 신비주의에 관한 오래된 책으로만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그 책을 직접 읽어보니 제 생각이 틀렸다는 걸 깨달았어요. 책 내용 속에 고대 철학이 있었더군요. ^^

이하라 2018-10-01 09:55   좋아요 0 | URL
올해 출간한 헤르메티카는 못읽어 보았습니다. ^^
하지만 동명의 책을 읽어봤는데 신비주의와 종교서 그리고 철학을 갈무리한 내용이더군요. 그 셋을 완전히 분리해 바라보는 건 무리 같았습니다.
 
치유하는 유식 읽기 - 심리학의 눈으로 새롭게 풀이한 유식 30송
서광 스님 지음 / 공간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식학이라는 불교심리학의 논서 <유식30송>에 대한 해설서이다.

현대적인 용어와 현대심리학적이면서도 쉬운 해설로 유식학에 대해 다가가기 쉽도록 안내해주는 책이다.

서광스님 자신이 대학과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셨고 출가 이후에도 미국에서 종교심리학과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신 분이다. 대중에게는 다소 거리가 있는 유식학이지만 현대의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설 수 있도록 서광스님께서 배려한 부분이 적잖게 느껴진다.


다만 이 책을 통해 유식학에 다소라도 다가서는 것 같다지만 그럼에도 알아차림으로 육도의 마음을 제어하고 의식과 자아의식, 저장식을 감싸안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실수행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마음의 작용을 머리로 알게 되는 것과는 또 다른 일이 아닌가 싶다. 

그럼에도 마음의 작용을 알아가고 주의하고 알아차리는 노력은 맑게 헤아릴 수 있는 후에야 가능한 일이라는 것도 사실일 것이다.


읽어보아서 삶에, 마음을 알아차리는 일에 도움이 되었으면 되었지 산란과 혼란을 더하는 책은 아니기에 누구에게나 권해도 좋을 책이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평등의 이유 - 부와 권력이 집중되는 10가지 원리
노엄 촘스키 지음, 유강은 옮김 / 이데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을 대조해 본다해도 무엇 하나 새로울 것 없는 이야기들이다. 그렇기에 암담했다. 활로는 대중이라는 것에서 더 암담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라이 라마가 전하는 우리가 명상할 때 꼭 알아야 할 것들 - 명상의 기본과 핵심에 관하여
달라이 라마 지음, 제프리 홉킨스 엮음, 주영아 외 옮김 / 불광출판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서 말하는 명상은 선정과 함께 불교의 통찰 명상이다. 감각명상이나 이미지화 명상과는 다르니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 개인적으로 섣부르게 단정지을 뻔한 불교철학에 대한 오해를 자상히 깨뜨려 주는 말씀들이 담겨 있었다. 불교 철학에 대한 오해가 있지는 않은지 이 책을 통해 검증해 볼 수 있다.


불교와 인도철학에서는 인생은 환상이라거나 환상과 같은 것이라고 하는데, 

환상이라는 관점과 환상 같은 것이라는 관점이 얼마나 큰 차이를 불러오는 것인지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불교의 인과론에 대해서도 평소 의문이었는데, 

원인도 결과에 의존한다는 말씀이 납득이 쉬웠다. 비선형적 인과를 말씀하시는 것과는 다르겠지만 일방통행적인 인과의 법칙에 의문이 일었는데 다소 혼란이 잠재워지는 것 같았다.


혼침과 들뜸에 대해서도 여타의 불교수행서들처럼 모호하지 않고 명료한 정의와 함께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 책을 보고야 혼침과 들뜸이 어떤 상태와 현상인지를 명백히 알 수 있었다. 해결책도 믿음이 갔다.


무상 무아 공에 대한 가르침이 근간이기에 불교수행이 익숙한 분들에게도 처음인 분들에게도 널리 유익한 내용이다. 많은 분들이 읽어봤으면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랏 샤브드 요가 나암 명상 시리즈 6
산트 키르팔 싱 지음, 한국 KTS 명상회 옮김 / 한국에디션나암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나다누산다(秘音명상)을 통한 수행법에 대한 소개서...
그러나 방법론적인 것은 없고 효과와 중요도에 대한 내용전개뿐...
더하자면 스승에 대한 공경(?)을 통한 수행법을 연계한 것이 수랏샤브드요가!
부록편에서 능엄경 중 관세음보살의 비음을 통한 삼매를 소개한 대목은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