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별들이 너의 슬픔을 가져갈지도 몰라 - 김용택의 꼭 한번 필사하고 싶은 시 감성치유 라이팅북
김용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집을 아로새긴 사랑과 그리움과 외로움, 생에 대한 성찰과 생의 길을 묻는 시들이 어줍짢은 위로보다 나은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쩌면 별들이 너의 슬픔을 가져갈지도 몰라 - 김용택의 꼭 한번 필사하고 싶은 시 감성치유 라이팅북
김용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픔과 외로움과 수치와 절망감으로 무너지는듯하던 그 심정들을 공감해줄 누군가가 필요했다.

이 한 권의 시집이 그런 누구인가를 대신해줄 수 있으리라고는 생각지 않지만,



시집을 아로새긴 사랑과 그리움과 외로움, 생에 대한 성찰과 생의 길을 묻는 시들이 

어쭙잖은 위로보다 나은 것만 같다.



시는 자신을 관통하는 절규일 수도 타인에게 하는 속삭임일 수도 있다. 

시어들이 절규와 속삭임을 전하면서 "그래! 이 세상 어찌 나만이 아플 것인가?"를 돌아보게 했다.



별들이 나의 슬픔을 가져갈 수도 없을 것이지만 어쨌건 답이 없는 길을 계속 걸어야 함은 깨우쳐 가고 있다.

그 길에 몇 번을 돌아보고 돌아가고 멈춰 서있을 때도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돌아보지 않고 향할 것이다. 답이 나를 기다리던 아니던... 내 길이 나만의 답이 되어주던 아니던... 난 향하고 있을 것이다. 향해야만 할 테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3-07 15: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살면서 느낀 감정이나 상황을 주제로 쓴 시를 읽으면 감동의 여운이 오래 남습니다. 그래서 생각날 때마다 읽고 싶습니다. 그런 시가 좋은 시입니다. ^^

이하라 2017-03-07 16:00   좋아요 0 | URL
그래서인지 시를 읽는 것도 쓰는 것도 더러 여운을 남기더군요 댓글 감사합니다^^
 
내 몸을 살리는 호르몬 - 건강한 한진 씨의 호르몬 라이프
오한진 지음 / 이지북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르몬의 기능을 알고 각 호르몬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생활을 해 나간다면 독자에게 유익하리라는 생각으로 쓰인 저작이라고 생각된다. 한 번쯤 읽어 보고 (몇 번을 더 읽는다고 말릴 사람은 없을 테지만) 호르몬이 제 기능을 하도록 웰빙 라이프 휘게 라이프를 즐기며 살아가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 프로이트와 라캉의 사랑론
강응섭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한듯하지만 대중적 교양서로는 너무 어렵다
인문교양서를 사랑하는 배경지식이 풍부한 님들은 구태여 말려선 안되겠지만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란 달콤한 제목에 무턱대고 선택하는 님들에겐 손사래를 쳐야 할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 프로이트와 라캉의 사랑론
강응섭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캉이 언급된 것을 보고도 대중적 교양서로 쓰인듯하니 

이해가 다소 쉬울 것이라고 단정 지은 것이 실수였다.


프로이트와 라캉으로 분류해 

첫사랑이라는 옷을 입은 정체화에 대해 담론하고 있는 저작이다.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과 정신분석입문은 

중학생 때 읽어 기억도 희미하지만 

프로이트는 다소 이해가 쉬웠었던 것으로 기억에 남아있다.


본서에서 프로이트의 욕동과 리비도에 대한 전개는

후반부의 라캉의 분석을 논하던 것에 비교하자면 쉽게 이해가 되는 편이다.


하지만 역시 라캉에 대해서는 입문서라고 해도 이해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라캉의 세미나를 논하는 저자의 이야기들을 듣고 있을 때는 이해가 가는듯하다가

잠시라도 책장을 덮을 때면 여지없이 물음표만 난무하고 있었다.


기호와 수식이 춤을 추는데 잡힐 듯 잡은 듯 다시 빠져나가 

물음표들이 칼군무를 추는듯했다.


첫사랑이란 단어가 들어 간 제목이다 보니

대중적으로 쉬운 접근을 하리라 짐작했었다.


역시 전문가가 쉽게 풀이했다고 여기는 경계와

문외한이 쉽다고 여길 경계는 같을 수 없다는 작은 각성이 되는듯하다.


인문교양서를 사랑하는 배경지식이 풍부한 님들은 구태여 말려선 안되겠지만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란 달콤한 제목에 무턱대고 선택하는 님들에겐 손사래를 쳐야 할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