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체·자연·신 (에티카 제 1부를 중심으로)     박 상 욱(서양철학 석사과정)

 스피노자의 <에티카>는 기하학적 방법론을 따르면서 서술되어 있다. <에티카>는 5가지 주제로 나뉘어지는데, 각 장은 공리(公理)와 정의(定義)로 시작되고, 그 다음에 나오는 명제들은 공리와 정의, 그리고 앞선 명제들에 의거하고 증명된다. 이런 독특한 방식을 통하여 스피노자는 보다 명확하고 분명하게 자신의 생각을 우리에게 보여줄려고 의도하였다.


 에티가의 제 1 부는 "신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스피노자가 말하고 있는 신의 정의는 전통적인 신의 관념과는 거리가 멀다. 스피노자 말하고 있는 신은 자연, 실체1)와 동일시되는 것이다. 스피노자의 실체의 정의는, 그것이 존재하기 위하여 다른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 데카르트의 실체 정의(독립적인 존재의 개념)를 따르고 있지만, 그 의미는 데카르트와 전혀 다르다. 데카르트는 실체를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정신을 사유하는 실체로, 물질을 연장된 실체로 구별하였다. 그러나 스피노자는 물체와 인간의 정신은 피창조자요, 따라서 서로 관계하기 때문에 물체와 인간의 정신은 실체라고 부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2) 물체와 인간의 정신은 존재하는 것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그것들의 생성과 관계맺음은 여러 가지 조건의 제약을 받는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실체가 아니라 양태3)인 것이다. 즉 그것들은 실체의 양태이다. 세상에는 오직 하나만의 실체가 존재할 수 있다고 스피노자는 생각하였다. 동일한 속성을 가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실체는 존재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같은 속성을 가진 두 개의 사물은 서로 상대편에게 제약을 가하기 때문이다. 실체는 의존적이지도 않고 다른 실체에게 제약 또한 가할 수 없다.
 

실체는 필연적으로 존재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기 이외이 것으로부터 생길 수 없는 까닭에, 실체는 오직 하나밖에 있을 수 없다. 그것은 그 자체 이외의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제한을 받을 수 없다. 그리고 실체는 반드시 무한한 종류의 속성4)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속성의 하나 하나는 실체의 영원하고 무한한 본질을 나타내고 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반드시 저 유일한 실체이거나 또는 그 유일한 실체의 양태이다. 신 이외의 다른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다른 실체가 존재한다면 그 실체는 어던 속성을 가질 것인데, 이것들은 신의 속성과 동일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것은 절대로 성립될 수 없다.5)
 

정리 11에서 스피노자는 신 혹은 무한한 속성을 가진 실체가 존재하며 더구나 필연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 정리는 앞의 정리(정리7)를 다시 언급한 것이다. 스피노자의 신 존재 증명은 (1) 신을 생각하는 것은 실체를 생각하는 것이다. (2) 존재는 실체의 본질에 속한다. 그러므로 (3)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는 없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불합리한 것이다.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자기 모순을 포함한 것이다. 그러므로 신은 존재한다.6)
 

스피노자는 실체가 존재한다는 것은 실체에 관한 관념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였고, 즉 그는 실체의 본질은 그 존재를 필연적으로 포함한다고 보았다. 자연은 어떤 의미로는 항상 일정 불변하며, 또 다른 의미로는 끊임없이 변동한다. 스피노자는 이 두가지 의미의 뜻을 "능산적 자연(natura naturans)"과 "소산적 자연(natura naturata)"이라고 정의하였다. 첫째로 능산적 자연은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자연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모든 사물을 생기게 하는 그러나 일정하고 한결같으며 항구적인 것이다. 능산적 작용은 항상 영원 불변하는 원칙을 따라서 발동한다. 그러나 소산적 자연은 피동적이고 일정한 순간에만 존재하는 자연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잠시 생겼다고 없어지는 사물의 상태이다. 능산적 자연에는 절대로 변화가 없고 소산적 자연에는 끊임없는 변화가 있다.
 

<에티카> 제 1부에 나타난 서른 여섯 개의 명제는 왜 스피노자가 자연과 실체와 신의 세 술어를 같은 뜻으로 쓰게 되었는가를 알려주는 것이다.


1)  실체(實體; substance)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그 자체를 통하여 이해되는 것, 다시 말하면 그것의 개념이 그것의 근거가 되는 다른 어떤 존재의 개념을 요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2)  스피노자는 데카르트의 실체에 대해서 실체란 독립적인 것으로 서로 관계할 수 없으며 실체는 오직 하나뿐이다. 그러나 데카르트는 실체를 유한실체와 무한실체 두 가지로 나누었고 두 실체가 서로 관계맺고 있다고 함으로써 스피노자는 데카르트의 생각을 잘못되었다고 지적하였다. 
3)  양태(樣態; mode)란 실체의 변용, 다시 말하면 다른 무엇에 의존해 있으며, 그 다른 무엇을 통해서 이해되는 것을 말한다.
4)  속성(屬性; attribute)이란 실체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지성이 지각하는 것이다.
5)  스피노자는 제 1 부 정리.14에서 " 신 이외에 어떠한 실체도 인정되거나 생가될 수 없으며" 따라서 정리.15에서 "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신 안에 있다"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6) 「근대철학사」R.사하트 정영기, 최학봉(易) 出:서광사 111p 22-29인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리, 생쥐, 그리고 인간
프랑스아 자콥, 이정희 옮김 / 궁리 / 1999년 11월
평점 :
품절


노벨상 수상자인 프랑수아 쟈콥이 이 책에서 다루고 싶어하는 것은 [생물학과 인간의 한계]이다.

그는 생물학적 지식의 적용이 가져온 수많은 재앙을 인정하면서도, 역설적이게도 생물학에 대한 지식의 추구만은 멈추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재앙은 잘못된 적용에 있는 것이지 지식 자체에 있는 것은 아니라고 믿기 때문이다. 오히려 인간이 무지 안에 갇히게 된다면 더 큰 재앙을 초래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과학이 발달할수록 얼마나 자신이 알지 못하는 영역이 넓은지 깨달아가는 존재이다. 자신의 무지가 깨어질때 인간은 그 탐구를  계속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다만 점점더 커져가는 그 엄청난 파괴력을 조절할 수만 있다면...

쟈콥의 주장에서 우리의 생물학이라는 것이 무얼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깨닫는다. 과학을 통한 인간존재의 탐구... [과학이 인간의 존재를 대답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이런 생각은 언뜻 걸리버 여행기의 래가도 아카데미의 학자들을 떠올리게 한다. 과학은 인간의 존재를 대답할 수 없다는걸 너무나 잘 알던 시대의 비웃음거리가 이제는 우리의 연구 동기가 되어가고 있는건 아닌지...혹 17세기에 데카르트에게서 시작되었던 지식에 대한 명료한 접근의 방법론이, 神부재의 시대에 목적론으로 뒤바뀌어 우리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우리에게 생물학은 존재를 답하기 위함이 아닌 존재의 복지를 위한 것일 때 더 의미있을 것 같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걸리버 여행기 - 개정판
조나단 스위프트 지음, 신현철 옮김 / 문학수첩 / 199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위프트는 원래 말의 나라와 천공의 성 라퓨타를 쓰고 소인국, 거인국 이야기를 나중에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사실 그래서 말의 나라, 휴이넘에 대한 걸리버의 표현 속에 들어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이다.

그래서 이 책의 기본적 생각은 인간에 대한 깊은 절망과 혐오이다. 그리고 그 대안을 인간들의 나라인 나머지 세 여행에서 찾으려한다. 걸리버가 자기 가족을 인간 야후의 추악함에서 건져 휴이넘의 생각을 갖도록 가르치는 것처럼 말이다.

소인국이 그런 인간사회의 축소판을 객관적으로 들여다 보는 것이라면, 거인국에서는 타인에 의해 야후인 자기의 모습을 조명당한다. 그리고 다시 3부에서는 이런 인간사회의 구성원들 하나하나의 정체를 드러내어, 그들이 하는 황당한 짓들과 비틀어진 귀족의 뿌리를 보여준다. 자랑할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거다.

스위프트의 추악한 인간 야후에 대한 대안은 어쩌면, 당시의 조류를 반영하듯 이성으로의 회귀이며, 또 다소 복고적으로 그리스적 인간상의 회복이다. 휴이넘은 이에 대한 표상으로 보이며 이성과 자연을 형상화한 것이다. 여기 나타난 인간시스템의 전면적 재검토와 계급파괴는 얼핏 급진적 모양을 띄나 그는 곳곳에서 어설픈 시도를 일삼는 현재의 새로운 조류에 대한 역겨움을 표시한다. 되지도 않은 설익은 생각으로 인간사회를 실험하지 말라는거다. 자주 그는 그의 선조대에 순수한 애국심과 신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자기손으로 땅을 파던 중류층을 동경한다. 점차 그의 이 책은 인간이라는 것 전체에 대한 혐오로 치닫는다.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절망감이다.

그는 끊임없이 전쟁을 일삼고 수많은 사람들을(자신의 나라 아일랜드인을 포함한) 이유없이 죽이고 괴롭히는 유럽의 광기에 분노하고 있다. 오늘날도 여전히 이런 광기가 세계를 휩쓸고 있음을 알면 그는 또 얼마나 비통해할까? 인간이 있는 한 이런 미친 역사는 계속됨을 그도 알긴 하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ohnathan Swift (1667-1745)/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 1726)

1. 영국

1667 밀턴(Milton)의 <실락원 (Paradise Lost)>이 출판됨.
1672-3 신교 자유를 부여하려는 왕의 두 번째 시도 실패.
1672-4 Third Dutch War.
1674 곡물 하사금 (Grain bounties)이 도입됨(영국은 식량 자급자족).
1678 Titus Oates and the Popish Plot; 번연(Buyan)의 <천로역정 ((Pilgrim's Progress)>의 1부가 출판됨.
1679-81 휘그당(Whig)과 토리당(Tory)당의 출현.
1683 The Rye House Plot.
1685 찰스 2세 (Charles II) 사망. 제임스 2세(James II)의 승계; 찰스 2세 (Charles II)의 서자 먼모스(Monmuth)의 반란 실패.
1687 제임스 2세 (James II)의 신교자유령 선언 (Declaration of Indulgence); 뉴튼(Newton)의 Principia Mathematica가 출판됨.
1688 제임스 2세 (James II)의 아들 출생.
1688 윌리엄 오렌지 (William Orange)의 침공; 제임스 2세(James II) 사망. 윌리암 3 세 (William III)와 메리(Mary)가 계승.
1689 신교자유령 (Toleration of Act).
1690 보인 전투(Battle of the Boyne); 윌리암 3세(William III)가 아일랜드와 프랑스 군대를 격퇴.
1694 잉글랜드 은행 (Bank of England)이 창립; 메리 여왕(Queen of Mary) 사망.

1695 Licensing Act의 폐지
1697 아우스부르그(Augsburg) 동맹국과 프랑스와의 리스윅(Lyswick) 평화조약 체결; CivilList Act는 왕실의 살림을 꾸려갈 기금 마련을 위해 투표를 실시함.

1701년 영국에서‘왕위계승법’성립, 국왕은 프로테스탄트로 한정. 프로이센 왕국 성립. 
       부르봉왕가의 에스파냐 왕위계승에 반대, 영국˙네덜란드˙오스트리아가 하그동맹
       (對프랑스동맹)을 맺고 싸움. 
1702년 북아메리카에서 앤여왕(女王)전쟁(~1713) 벌어짐.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 쟁탈.
1703년 미쉬엔조약 성립. 영국이 포르투갈 시장을 독점. 

1704년 브렌하임의 전쟁(에스파냐 왕위계승전쟁). 오스트리아와 영국군이 프랑스군과 싸워 이김.

1705년 버킹검궁전 건설

1707년 대(大)브리튼왕국 성립.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병합.
1713년 영국이 프랑스로부터 뉴펀들랜드˙노바스코샤 등을 얻어냄. 
1714년 영국에서 하노버왕조 성립(1917년 이후 윈저家). 
1717년 영국 프랑스 넥덜란드 3국동맹-에스파냐,스웨덴에 대항

1718년 에스파냐와 전쟁(-1720)

1719년 로빈슨크루소 표류기

1721년 런던에 천연두 유행

1724년 헨델 [율리우스 시저]

1726년 스위프트[걸리버 여행기]

 

2. 서양사

1667년 브레타조약 체결로 영국-네덜란드 간 강화. 뉴욕이 정식으로 영국령이 됨.
1668년 아헨조약 체결. 루이 14세 벨기에 일부를 영유, 그 밖의 침략지는 에스파냐에 반환.
1672년 제3차 영국-네덜란드 침략전쟁(~1674). 루이 14세의 네덜란드 침략전쟁(~1678).오라니에공(公) 빌렘 3세 네덜란드 통령(統領)이 되어 프랑스군의 침공을 방어.
1673년 영국에서‘심사율(審査律)’제정으로, 비국교도들 중앙 관직에서 추방. 독일과 에스파냐의 합스부르크가(家), 네덜란드전쟁에 참가, 루이 14세와 대항.
1678년 나이메헨의 화약(和約) 성립. 네덜란드전쟁 종결.
1679년 영국에서‘인신보호법’성립. 영국에서 휘그당˙토리당 활동, 양당제가 정립. 뉴햄프셔에 식민지 건설.
1681년 윌리엄 펜에 의해 펜실베이니아 식민지 건설.
1682년 러시아에서 표트르 1세(대제) 즉위(~1725). 이복 누이 소피아의 섭정(攝政) 지속(~1689).필라델피아 건설. 라살, 미시시피강을 탐사.
1684년 버뮤다가 영국의 식민지가 됨.
1686년 아우크스부르크동맹 성립. 독일의 황제, 여러 연방의 군주 및 덴마크 이외의 유럽 제국이 대(對)프랑스동맹을 체결.
1687년 영국 국왕 제임스 2세, 신앙자유를 선포.
       오스트리아가 터키로부터 헝가리를 탈환, 헝가리 왕위가 합스부르크가에 의해 세습.
       뉴턴의 ‘만유인력’.
1688년 영국에서 명예혁명 성공, 제임스 2세 망명. ‘권리장전’ 발표.
1689년 영국 오라니에공(公) 빌렘(윌리엄 3세:~1702)과 왕후 메리(~1694)가 즉위.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전쟁인 팔츠 전쟁(~1697) 시작.
       러시아 황제 표트르 1세의 친정 시작.
1690년 로크의 《인간오성론(人間悟性論)》.
1695년 카를로비치의 화약(和約) 성립. 터키가 오스트리아˙폴란드˙베네치아 등과 강화 체결.
1700년 북방전쟁 시작(~1721). 나르바싸움에서 러시아군이 스웨덴군에게 패퇴.
       에스파냐의 합스부르크 왕가 단절. 부르봉가(家)가 왕위 계승.
       루이 14세의 손자 펠리페 5세 즉위.
1701년 영국에서‘왕위계승법’성립, 국왕은 프로테스탄트로 한정. 프로이센 왕국 성립.
       브란덴부르크 선제후(選帝侯) 프리드리히(1세:~1713)가 황제로부터 왕호(王號)를 받음.
       호엔촐레른왕조(~1918) 시작. 에스파냐 계승전쟁(~1714).
       부르봉왕가의 에스파냐 왕위계승에 반대, 영국˙네덜란드˙오스트리아가 하그동맹
       (對프랑스동맹)을 맺고 싸움. 
1702년 북아메리카에서 앤여왕(女王)전쟁(~1713) 벌어짐.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 쟁탈.
1703년 미쉬엔조약 성립. 영국이 포르투갈 시장을 독점.
       포르투갈이 대(對)프랑스동맹(하그동맹)에 참가.
1704년 브렌하임의 전쟁(에스파냐 왕위계승전쟁). 오스트리아와 영국군이 프랑스군과 싸워 이김.헝가리에서 라코치의 독립운동 일어남(~1711).
1706년 러시아가 캄차카반도의 완전 점유권 획득.
1707년 대(大)브리튼왕국 성립.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병합.
1708년 러시아 표트르 1세의 개혁 시작.
1709년 볼다바의 싸움 벌어짐. 러시아 표트르 1세가 스웨덴왕 칼 12세와 싸워 이기고,칼은 터키로 망명(북방전쟁).
1711년 러시아에서 최고통치기관인 세나토(원로원) 창설됨. 귀족회의는 폐지.
1713년 위트레흐트조약 체결. 펠리페 5세의 왕위를 승인.
    영국이 프랑스로부터 뉴펀들랜드 노바스코샤 등을 얻어냄. 
    독일 황제카를 6세의‘국본조칙(國本詔勅) 나와,오스트리아 영토의 불분할 여자상속권등을 규정.
1714년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라슈타드조약 체결. 에스파냐 계승전쟁 끝남.
       영국에서 하노버왕조 성립(1917년 이후 윈저家).
       러시아 표트르 1세 핀란드 침입, 발트해 제해권 장악(북방전쟁).
1715년 프랑스왕 루이 14세 사망(재위, 1643~).
1718년 파사로비츠조약 체결. 터키가 헝가리의 나머지 영토 및 세르비아 왈라키아를 오스트리아    에 할양. 동 프로이센 왕의 영지에서 농노제를 폐지.
1720년 사르데냐왕국 성립. 사보이공(公)이 시칠리아와 교환 조건으로 사르데냐를 획득, 왕국을 성립하고 왕이 됨.
       에스파냐 식민지의 엥코미엔다제(制) 폐지되고, 아시엔다제 성립되기 시작.
1721년 니스타트조약. 북방전쟁(1700~) 종결.
       러시아가 발트해로 진출. 러시아 정교회, 총주교좌제 폐지하고 시노드(宗務廳)를 설치.
1722년 러시아 표트르 1세가 관등제(官等制)를 제정하고, 제위계승법을 공포.
1725년 표트르 1세 사망(재위 1682~). 베링, 베링해협 발견(~1730).
1726년 러시아에서 최고추밀원 창설되어 귀족의 과두정치 시작(~17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태인의 자녀를 낳고 기르는 53가지 지혜
루스실로 / 삼진기획 / 1997년 9월
평점 :
품절


 영어권나 유럽에서의 유태인은 이렇게 드러내 놓고 쓰지는 않는다. 유태인에 대한 좋은 감정을 가진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의 사람들에게 좀 무례한 구석이 있는 책이다 (일본인 독자에게 쓴 유태인의 책이다). [너네 일본인의 잘못된 교육방법과는 달리 우리 유태인은 이런 식으로 아이를 기른다. 그래서 세계를 지배하고 노벨상도 많이 탄다. 자식이 노벨상 타거나 부자되게 하고 싶으면 이렇게 해봐봐봐...] 뭐 그런 생각으로 쓴 책이다.

하지만, 그런 책의 기본적 무드(하등민족을 바라보는 고등민족의 감정. 사실 어느 유럽인이나 미국인들 겪으며 돌아설 때 항상 느끼는 거북살스런 느낌이다)에도 불구하고 건질건 있다. 첫째,  유태인의 현실적 세계관이다. 그들은 내세를 믿지 않는다(!) 정말이다. 내세를 가르치신 예수님이 일탈한 유태인이신 셈이다. 돈 쾌락 권력 모두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사는 지혜를 그들은 소중한 것으로 전수한다. 예의나 체면? 여유가 있으면 해 볼 수도 있다. 둘째로  평생 공부하는 태도다. 스피노자도 그랬고, 프로이트, 아들러, 아인슈타인과 키신저 모두 끊임없이 나이 들어서도 왕성한 학문욕과 탐사욕구로 알려진 사람들이다.  요새 스타 중엔 90세가 넘은 피터 드러커도 그런 행적으로 유명한 사람이다. 셋째, 뭉친다. 친구를 소중히 하고 피를 바쳐서라도 서로 지킨다. 유태인에게 동족(머리 두개인 한몸)과 친구는 그들의 중심에 놓인 코드이다. 그들은 늙어죽을 때까지 친구와 함께 한다.

세상의 주도권을 쥐려면 그들처럼 하면된다. 도덕적 현실주의(이 도덕이라는게...) 이것이 그들의 정체성이다. 세상을 다 가지려 하는 마음이 옳은지는  인생관의 문제이니 더 할말은 없지만, 내세가 있는 사람에겐 잃을 것이 많은 선택이다. 세상을 얻고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