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1712-1778)

1749 38세 [학문과 예술에 관한 논고 Discours sur les sciences et les arts]

1755 44세 [인간불평등기원론 Discours sur l’origine de l’ingalit parmi les hommes]

              [정치 경제론 De l’conomie politique]

              [언어기원론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1758 47세 [달랑베르에게 보내는 연극에 관한 편지 Lettre d’Alembert]

1761 49세 [신() 엘로이즈 Nouvelle Hlose]

1762 50세 [사회계약론 Du Contrat social]

              [에밀 mile]

1770 58세 [고백록 Les Confessions]

1776 64세 [루소, 장자크를 재판한다 Rousseau juge de Jean-Jacques]

1778 66세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Les Rveries du promeneur solitair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밀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32
장 자크 루소 지음, 박호성 옮김 / 책세상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그의 교육론은 부모가 교육해야 한다. 자연의 주어진 모습대로 자라게 해야 한다. 체력을 길러주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 자신이 다섯명의 자녀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대로 아버지로서 양육치 못한 것에 대한 후회도 이 글을 쓰는 이유였다니 이 아픈 고백에 귀기울일만 하다.

자연과 인간, 사물이라는 세가지 교육의 자원중 우리가 행하는 [인간의 교육]이 자연에 조화되어야만 [인간다운 인간]으로 자랄 수 있다는 거다.  그리고 그 주체는 자연스럽게도 부모여야 한다. 엄마의 사랑의 양육을 아무도 대신할 수 없으며, 아빠의 사랑과 올바름에 균형 맞춘 가르침을 아무도 더 잘 할 순 없다는거다. [아이를 존중하되 약함으로 인해 악을 행치 않도록 해야한다]는 구절이 특히 마음에 와닿는다.

아버지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남의 손에 아이를 맡겨서는 안됨을 깨달았다. 어제부터 새로운 맘으로 첫째아이의 숙제를 봐주고 둘째 노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었다. 이런 아버지로서의 책임감을 잃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한계시록 주석
쟈끄 엘뢸 지음 / 한들출판사 / 2000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나를 깊은 깨달음과 고민으로 몰아넣은 책이다. 잘 모르던 사람 얘기를 듣고 고민하진 않는다. 고민을 일으키는 것은  내가 좋아하던 사람의 [낯선 이야기]인 경우가 많다. 사람을 좋아하면 그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엘룰은 내가 좋아하는 인물이고, 엘룰은 바르트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이 책은 엘룰의 변증적 성서해석과 바르트의 객관적 화해론이 만나고 있다. 내 고민은 엘룰을 통해 만난 바르트와 물려있다.

우선 이 책이 준 독특하고 뛰어난 인사이트부터 살펴보면... 첫째 요한계시록의 구조에 대한 분석과 그 구조에서 그리스도 성육신의 중심성이다 (바르트적이지...). 중심인 8-14장을 전적으로 성육신 사건으로 해석해낸다. 그리고 그 연관구조로서 그 앞의 역사에 대한 그림과 그 뒷부분의 심판의 부분을 엮어내고 있다. 그래서 요한계시록은 5장에서 22장에 걸친 반복적 구조에서 벗어나 하나의 스토리를 보여준다.

둘째,  계시록의 심판을 십자가 사건과 연관시킨 부분이다. 중심부인 8-14장의 해석에서 하늘에서 내리는 심판은 온전히 그리스도위에 쏟아진다. 우리가 당할 심판을 그가 대신 하시는 [그리스도의 열정]의 고난이다.  그리스도위에 인간전체가 당할 고난이 쏟아진다.(그 채찍, 인간의 분노와 광기, 하나님의 유기, 십자가) 그리고 우리는 이 역사적 사건의 침묵자가 된다.

셋째 국가권력과 그 지배에 대한 이해이다. 수많은 알레고리적인 해석을 뛰어넘어, 국가(첫째 짐승)와 그 지배시스템(둘째 짐승)에 대한 이런 통찰은 사실 어느 누구의 책에서도 볼 수 없는 큰 전망(perspective)를 준다. 우리의 시대 역시 세계대전 시대 못지 않게, 국가 논리위에 휘둘리어 살고 있음을 피부로 느끼니까...미국은 또다시 팔루자를 폭격했다.

넷째 천년왕국에 있어 인간행위의 의미들에 대한 통찰이다. 그리스도이후에 사단의 매임과 다시 풀려남 사이의 기간을 교회시대로 본 것은 [무천년설]과 유사하다. 하지만 그는 이 시기를 [인간책임의 절대적 의미]의 기간으로 본다. 마치  에덴동산이 회복된 것과 같이 더이상 역사의 책임이 악한 권세에 있지 않다. 비록 그가 위협하긴 하지만... 인간은 이 시기에 자유롭게 하나님의 사랑을 선택할 수 있고, 또 그렇게 살 수 있다. 성육신으로 인해 인간의 책임이 회복된 것이다. 사단은 하늘에서 번갯불처럼 떨어졌고 다시 인간은 하나님 앞에 두번째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그 선택은 삶에 의해 그 진실성이 검증될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론 내겐 이 책안에 비판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주장들도 없지않았다. 첫째 엘룰은 십자가사건이 무효화시킨 심판이 인간 위에 임할리가 없다고 주장한다. 인류전체에 대한 대재앙이 주제인 계시록은 그래서, [선택의 문제]에 봉착케 한다.  엘룰은 심판의 대상이 되는 선택이 [권세와 타락의 결과]와 같은 영적인 것이라 해석한다. 물론 그랬으면 좋겠다. 그러나, 성경자체와의 충돌, 심지어 계시록 자체와의 충돌은 어찌할까. 정죄와 둘째사망은 결코 인간에게 임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그 구절들을 게속 읽어봐도, 다른 부분들과 비교해보아도 무리다. 심지어 이런 구절에 손대지 말라고까지 계시록은 경고한다.  

둘째, 십자가사건에 의한 은혜의 편만성을 주장하다보니, 인간책임의 무효화까지 가게 된다. 인간의 의는 쓸모없는 것이라는 논리의 확장이, 인간의 모든 책임도 무효하고 의미없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믿음은 무엇인가?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산으로 간 아브라함의 믿음도, 먹고 죽을 떡을 선지자에게 대접한 과부의 믿음도, 생활비 전체, 아니 목숨 전체를 던져넣은 가난한 과부의 믿음도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라는 면에서 의미가 없는 것인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예표로 세우신 것이외의 이 성경의 인물들은 아무런 다른 계시를 우리에게 전달하진 않는 것일까? 이 점에서 [오직 은혜로]와 더불어 [오직 믿음으로]를 같이 말한 종교개혁자들의 강조점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은혜의 자리에 믿음이 같이 있어야한다.

셋째, 이런 생각 발전의 배경에는 똘레랑스를 위한 [타종교와의 화해의 필요]가 깔려있다. 더 이상의 종교분쟁은 우리가 갖는 이성적 하나님 상(image)과 충돌한다는 것이다. 수많은 종교간 충돌의 기저엔 독선적 유일주의가 있으므로 그 뿌리를 교정하자는거다. 과연 그럴까? 성경이 말하는 바를 부분적으로 접고, 이성적으로 좋은 것(그것을 현재적 성령사역이라 부르던, 십자가 사건 이후의 인간이성의 해방이라 부르던)을 따른다면, 그런 진리가 우리를 이끌 자격이 있는 것인가? 상대적이고 움직일 수 있는 것이 진리라면 그리고 성경의 해석이라면, 우리 본성을 따라 필요에 따라 또 이리저리 왜곡되어져 가진 않을까?. 논리적 귀결이나 현실적 필요가 진리자체를 바꾸려해선 안된다. 화목하고 사랑하는 일에 대해 선한 의지를 갖는 것과 구원의 방향 자체를 돌리려는 것은 다른 문제인 것 같다.

생전에 바르트 자신은 왜 이 문제에 대한 답변을 미루었을까? 미루는 것도 답변이다. 우리가 대답할 문제인가 생각해 볼만하다. 칼 라너의 답변을 바르트가 몰라서 내뱉지 못한 건 아니리라... 바르트의 답변은 하나님을 우리가 만나 아는바로는, 너무 은혜롭고 자비하신 분이라는 사실이다. 어떻게 엄하고 잔인한 심판이 있을까? 그러나 여기까지다. 내 아버지의 나에 대한 사랑을 느껴 안다. 그리고, 나는 그분의 세상에 대한 판단을 배워 알 뿐이다. 우리 입맛에 안 맞아도 어쩔 수 없다.우리가 의논해서 결정하면 그렇게 되는건 신학이고, 신앙은 우리 결정권 밖 심지어 그리스도의 결정권 밖에 있었다. 그래서 아들이셨을까? 완성의 시간은 이곳에 사셨던 그리스도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다. 그분은 깨어있으라고, 성문밖에 내어쫓기는자들을 통해 우리 정신을 번쩍 들게 하실 뿐이다.

엘룰을 좋아하는 나로선 엘룰이 이런 한쪽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변증법적 반대를 이루어 구원의 하나님은혜에 대한 더 감격스런 신앙고백이 있게 하려 한건 아닐지,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싶다. 분명 이런 예수님의 죄인사랑은, 우리맘 속에 있는 의인의식을 깨고, 믿음을 자기의로 삼는 교만을 무너뜨린다. 오직 그분을 구주로 고백하는자에게 구원이 있다는 것은 긍정적으로나(죄인이 구원받는다는) 부정적으로나(죄인이 구원 받지 못한다는),  여전히 이성으로 받이들이기 어려운 사실임에는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출처 http://tnym.cafe24.com/westernclassics3.html

 

Leonardo da Vinci, Codex Romanoff
- 김현철 역, 한 천재의 은밀한 취미, 책이있는마을, 2002

Luther, Martin, Divi Pauli apostoli ad Romanos epistola(1515-1516)
- 박문재 역, 루터의 로마서 주석,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2 [영어 중역]

Luther, Martin, An den christlichen Adel deutscher Nation(1520)
- 지원용 역, 말틴 루터의 종교개혁 3대 논문, 컨콜디아사, 1994 [영어 중역]

Von der babylonischen Gefangenschaft der Kirche(1520)
- 지원용 역, 말틴 루터의 종교개혁 3대 논문, 컨콜디아사, 1994 [영어 중역]

Luther, Martin, Von der Freiheit eines Christenmenschen(1520)
- 지원용 역, 말틴 루터의 종교개혁 3대 논문, 컨콜디아사, 1994 [영어 중역]

Luther, Martin, De Servo Arbitrio(1525)
- 조주석,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나침반사, 1993 [영어 중역]

Der Kleine Catechismus für die gemeine Pfarherr und Prediger(1529)
- 지원용 역, 소교리문답서, 컨콜디아사, 1960 [영어 중역]

Machiavelli, Niccolò, Discorsi sopra la prima deca di Tito Livio
- 강정인 외 역, 로마사 논고, 한길사, 2003

Machiavelli, Niccolò, Il Principe(1532)
- ... [과연 원어 번역이 있나? -_-;]

Copernicus, Nicolaus, De revolutionibus orbium caelestium(1543)
- 민영기ㆍ최원재 역,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서해문집, 1998 [영어 중역; 총6권중 제1권과 제6권 발췌역]

More, Thomas, Utopia(1561)
- ...

Bacon, Francis, Essays(1597)
- ...

Gilbert, William, On the loadstone and magnetic bodies(1600)
- 박경 역, 자석 이야기, 서해문집, 1999

Bacon, Francis, The Advancement of learning(1605)
- 이종흡 역, 학문의 진보, 아카넷, 2002

Bacon, Francis, Novum organum(1620)
- 진석용 역, 신기관, 한길사, 2001

Bacon, Francis, The New Atlantis(1627)
- 김종갑 역, 새로운 아틀란티스, 에코리브르, 2002

Galilei, Galileo, Dialogo sopra i due massimi sistemi del mondo, tolemaico e copernicano(1632)
- 이무현 역, 그래도 지구는 돈다(상/하), 교우사, 1997 [영어 중역]

Galilei, Galileo, Discorsi e dimostrazioni matematiche : intorno a due nuoue scienze(1638)
- 이무현 역, 새로운 두 과학 : 고체의 강도와 낙하법칙에 관한 대화, 민음사, 1996 [영어 중역]

Decartes, René, PRINCIPIA PHILOSOPHIAE(1644)
- 원석영 역, 철학의 원리, 아카넷, 2002

Hobbes, Thomas, Leviathan(1651)
- ...

François de LaRochefoucault, Réflexions ou sentences et maximes morales(1678)
- 강주헌 역, 인간의 본성에 대한 풍자, 나무생각, 2003

Callières, François de, De la manière de négocier avec les souverains(1716)
- 남경태 역, (어느 원로대신의) 협상에 관한 충고, 위즈덤 하우스, 2001 [영어 중역]

Newton, Isaac, 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1726)
- 조경철 역, 프린시피아(전3권), 서해문집, 1999
- 이무현 역, 프린키피아(전3권), 교우사, 1998

Hume, David, A Treatise of human nature(1739-1740)
- 이준호 역, 오성에 관하여(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제1권), 서광사, 1994
- 이준호 역, 정념에 관하여(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제2권), 서광사, 1996
- 이준호 역, 도덕에 관하여(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제3권), 서광사, 1998

Winckelmann, Johann Joachim, Gedanken uber die Nachahmung der griechischen Werke in der Malerei und Bildhauerkunst(1755)
- 민주식 역, 그리스 미술 모방론, 이론과 실천, 1995

Rousseau, Jean-Jacques, Discours sur l’origine de l’ingalit parmi les hommes(1755)
- ...

Quesnay, François, Tableau economique des physiocrates(1758)
- 심상필 역, 경제표, 비봉출판사, 1985

Rousseau, Jean-Jacques, Du Contrat social(1762)
- ...

Rousseau, Jean-Jacques, Emile(1762)
- ...

Voltaire, Traité sur la tolerance(1763)
- 송기형ㆍ임미경 역, 관용론, 2001

Herder, Johann Gottfried,  Über den Ursprung der Sparache(1772)
- 조경식 역,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한길사, 2003

Chesterfield, Philip Dormer Stanhope, Letters to his son(1774)
- ...

Vico, Giambattista, Principij di Scienza Nuova(1774)
- 이원두 역, 새로운 학문, 동문선, 1997 [일어 중역]

Rousseau, Jean-Jacques, Les Reveries du Promeneur Solitaire
- ...

Rousseau, Jean-Jacques,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 주경복ㆍ고봉만 역,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 책세상, 2002

Hume, David, 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1779)
- 탁석산 역,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Kant, Immanuel,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1785)
- 정진 역, 도덕철학원론, 을유문화사, 1970

Kant, Immanuel, Kritik der reinen Vernunft(1787)
- 이명성 역, 순수이성 비판, 홍신문화사, 1993
- 최재희 역,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83

Kant, Immanuel,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1788)
- 백종현 역,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2

Smith, Adam,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1789)
- 김수행 역, 국부론(상/하), 동아출판사, 1992

Kant, Immanuel, Kritik der Urteilskraft(1793)
- 이석윤 역, 판단력비판, 박영사, 1974

Fichte, Johann Gottlieb, Einige Vorlesungen Über die Bestimmung des Gelehrten(1794)
- 서정혁 역, 학자의 사명에 관한 몇 차례의 강의, 책세상, 2002

Kant, Immanuel, Zum ewigen Frieden(1795)
- 이한구 역,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서광사, 1992

Schelling, F.W.J., Vom Ich als Prinzip der Philosophie oder über das Unbedingte im menschlichen Wissen(1795)
- 한자경 역,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서광사, 1999

Kant, Immanuel, 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cht(1798)
- 이남원 역,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Kant, Immanuel, Die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ssen Vernunft(1798)
- 신옥희 역,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0

Fichte, Johann Gottlieb, Die Bestimmung des Menschen(1800)
- 한자경 역, 인간의 사명, 서광사, 1996

Fichte, Johann Gottlieb, Grundlage der gesammten Wissenschaftslehre(1802)
- 한자경 역, 전체 지식론의 기초, 서광사, 1996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Differenz des Fichteschen und Schellingschen Systems der Philosophie(1802)
- 임석진 역,  피히테와 셸링 철학체계의 차이, 지식산업사, 1989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Glauben und Wissen(1802)
- 황설중 역, 믿음과 지식, 아카넷, 2003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Phänomenologie des Geistes(1807)
- 임석진 역, 정신현상학(전2권), 지식산업사, 1989

Fichte, Johann Gottlieb, Reden an die deutche nation(1807-8)
- 황문수 역, 독일국민에게 고함, 범우사, 1983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1821)
- 권응호 역, 법철학강요, 홍신문화사, 1990
- 임석진 역, 법철학(전2권), 지식산업사, 1989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Die Vernunft in der Geschichte(1823)
- 임석진 역, 역사속의 이성, 지식산업사, 1992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Vorlesungen über die Ästhetik(1829)
- 두행숙 역, 헤겔미학(전3권), 나남출판, 1996

Hegel, Die Wissenschaft der Logik(1816-1831)
- 김계숙 역, 헤겔 논리학, 서문문화사, 1997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1830)
- 서동익 역, 철학강요, 을유문화사, 1998
- 김소영 역, 논리학 서론 ; 철학백과 서론, 책세상, 2002
- 박병기ㆍ박구용, 정신철학(철학요강의 제3권), UUP, 2000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Vorlesungsmanuskripte I (1816~1831)
- 최신한 역, 종교철학, 지식산업사, 1999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1837)
- 임석진 역, 철학사(전2권), 지식산업사, 1996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1837)
- ...

Casanova, Giovanni Giacomo, Histoire de ma vie(1826-1838)
- 이재형 역, 카사노바의 스페인 기행, 예담, 2002 [발췌역]

Eckermann, Johann Peter, Gespräche mit Goethe(1848)
- 박영구 역, 괴테와의 대화, 푸른 숲, 2000

Comte, Auguste, Discours preliminaire sur l'ensemble du positivisme(1884)
- 김점석 역, 실증주의 서설, 한길사, 20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http://tnym.cafe24.com/westernclassics1.html

 

Aischylos, Agamemnon
- 천병희 역, 오이디푸스 왕, 문예출판사, 2001

Aischylos, Choephoroi
- 천병희 역, 오이디푸스 왕, 문예출판사, 2001

Aischylos, Eumenides
- 천병희 역, 아이스퀼로스 비극,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

Aischylos, Prometheus
- 천병희 역, 아이스퀼로스 비극,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

Aristophanes, Batrachoi

- 천병희 역, 아리스토파네스 희곡,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Aristophanes, Lysistrata
- 천병희 역, 아리스토파네스 희곡,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Aristophanes, Nephelai
- 천병희 역, 아리스토파네스 희곡,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Aristophanes, Ornithes
- 천병희 역, 아리스토파네스 희곡,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Aristoteles, De Anima
- 유원기, 영혼에 관하여, 궁리, 2001

Aristoteles, Ethica Nicomachea
- 최명관 역, 향연ㆍ파이돈ㆍ니코마코스 윤리학, 을유문화사, 2003

Aristoteles, Poetica
-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1998

Aristoteles, Politica
- 나종일 역, 정치학ㆍ시학, 삼성출판사, 1993

Aristoteles, Topica
- 김재홍 역, 변증론, 까치, 1998

Augustinus, De civitate dei
- 조호연ㆍ김종흡 역, 신국론, 현대지성사, 1997 [영어 중역]

Augustinus, De doctrina christiana
- 성염 역, 그리스도교 교양, 분도출판사, 1989

Augustinus, De libero arbitrio
- 성염 역, 자유의지론, 분도출판사, 1998

Augustinus, De trinitate
- 김종흡 역, 삼위일체론,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영어 중역]

Augustinus, De vera religione
- 성염 역, 참된 종교, 분도출판사, 1989

Cicero, Cato maior de senectute
- 오흥식 역, 노년에 관하여, 궁리, 2002

Cicero, De finibus bonorum et malorum
- 김창성 역, 키케로의 최고선악론, 서광사, 1999

Cicero, De officiis
- 허승일 역, 키케로의 의무론, 서광사, 1989

Cicero, Laelius de amicitia
- 박기용, 라틴어, 태학사, 1999 所收

Diogenes Laetios
- 오유석 역, 쾌락, 문학과지성사, 1998에 에피쿠로스 부분 수록

Epiktetos, Encheiridion
- 김재홍 역, 엥케이리디온: 도덕에 관한 작은 책, 까치, 2003

Herodotos, Historiai
- 박광순 역, 역사(상/하), 범우사, 1995 [일어 중역인듯]

Hesiodos, Erga kai Hemerai
- 김원익 역, 신통기, 민음사, 2003 [독어 중역]

Hesiodos, Theogonia
- 김원익 역, 신통기, 민음사, 2003 [독어 중역]

Hippokrates, Corpus hippocraticum
- 윤임중 역, 의학이야기, 서해문집, 1998 [일어 중역]

Homeros, Ilias
- 천병희 역, 일리아스,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Homeros, Odysseia
- 천병희 역, 오뒤세이아,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Horatius, Ars poetica
- 천병희 역, 시학, 문예출판사, 1998

Ovidius, Ars amatoria
- 이미혜 역, 연애법, 동심원, 1996 [불어 중역] <절판>

Platon, Apologia
- 박종현 역,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플라톤의 네대화 편), 서광사, 2003

Platon, Euthyphron
- 박종현 역,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플라톤의 네대화 편), 서광사, 2003

Platon, Kriton
- 박종현 역,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플라톤의 네대화 편), 서광사, 2003

Platon, Phaidon
- 박종현 역,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플라톤의 네대화 편), 서광사, 2003
- 최명관 역, 향연ㆍ파이돈ㆍ니코마코스 윤리학, 을유문화사, 2003

Platon, Politeia
- 박종현 역, 플라톤의 국가(정체), 서광사, 1997
- 조우현 역, 국가ㆍ시학, 삼성출판사, 1990

Platon, Politikos
- 김태경 역, 정치가, 한길사, 2000

Platon, Sophistes
- 김태경 역, 소피스테스, 한길사, 2000

Platon, Symposium
- 박희영 역, 향연-사랑에 관하여, 문학과지성사, 2003
- 최명관 역, 향연ㆍ파이돈ㆍ니코마코스 윤리학, 을유문화사, 2003
- 조우현 역, 잔치, 두로, 1994

Platon, Timaios
- 박종현ㆍ김영균 역,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Sophokles, Antigone
- 천병희 역, 오이디푸스 왕, 문예출판사, 2001

Sophokles, Electra
- 천병희 역, 소포클레스 비극,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

Sophokles, Oedipus Coloneus
- 천병희 역, 소포클레스 비극,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

Sophokles, Oedipus Rex
- 천병희 역, 오이디푸스 왕, 문예출판사, 2001

Sophokles, Philoctetes
- 천병희 역, 소포클레스 비극,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

Thukydides, Historiae
- 박광순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상/하), 범우사, 1993 [중역인 듯]

Xenophon, Anabasis
- 천병희, 아나바시스,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