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치론 까치글방 120
존 로크 지음, 강정인.문지영 옮김 / 까치 / 199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 말하지 않고 넘어갈 수 없는 점은 훌륭한 번역이다. 좋은 번역의 첫 느낌은 읽기가  쉽다는거다. 본문은 역자에 의해 소화되고 다시 그의 입을 통해 우리말로 들려진다. 손가락을 짚어가며 옮기는 번역이 아닌 내용에 대한 연장된 생각과 이해, 그리고 우리말을 제대로 알아먹게 설명하는 능력이 어울어지면 비로소 읽는 사람을 편하고 심지어 행복하게 한다. 그래서, 이 책은 철학 혹은 고전의 번역 불모지에 핀 꽃과 같다. 만약 모든 철학, 정치, 고전이 이 책만큼만 우리에게 가깝다면 얼마나 좋을까?

로크의 시민정부론인 이 책은 그의 왕권신수설, 혹은 부권설에 대한 반박과 정치권력의 자연발생적 의미와 그에 따른 한계를 명확히 보여준다. 위임되고 구성원의 재산을 보존키 위한 권력은 그 역할을 다할때에만 의미가 있다는 거다. 명예혁명 직후 1689년 출판된 이 책은 사실 그가 네덜란드 망명을 떠나기 전인 1683년 완성된 것으로 본다. 그가 섀프츠베리 백작의 비서로 있으면서 그가 전제군주론 옹호에 대한 반박과 시민정부론의 구상을 이미 완성하였음을 보여준다.

그의 기본적 사상은 인간은 자유롭게 지어졌으며, 근본적으로 인간 각 개인이 신으로부터 받은 이 자유의 권리는 불가침의 것이라는데 그 정치론의 핵심이 있다. 다만  사회계약을 통해 개인의 재산보전과 불안정성의 해소를 위해 국가(commomwealth)에 위탁되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를 위한 법률은 개인의 의사표시의 대표기관인 입법부를 통해 제정되며, 행정부는 이 법률을 집행하고 유지할 책임을 갖는다. 집행의 주체가 시민 정부이든, 군주이든 이 집행자가 그 위탁자인 사회 구성원의 의지를 거스르거나, 그것을 침해하려 할 때 인간은 신에게 부여받은 이 권리를 지키기 위해 정부 혹은 왕의 해체를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DJ할아버지가 제일 좋아했다는 이 책은(거부감 없으시길...) 현대정치론의 뿌리를 이루는 많은 개념들을 담고 있다. 현재 세계권력의 핵심인 영미 현대정치의 기본테마인 셈이다. 국민으로서 자기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다른 나라로의 이민을 떠올리는 30-40대들에게 대학시절 읽으셨더라도 다시 한번 일독을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가 내게로 왔다 1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시가 내게로 왔다 1
김용택 지음 / 마음산책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작년 겨울 처음 이 시들을 읽었을 때 서너 개의 시를 책갈피로 접어두었다.

그리고 또 겨울이 오고 대여섯이던 표시는 이제 세번째 겨울이 다가오며 훌쩍 십여개를 넘어간다.

정말 시가 나를 찾아오고 있는걸까? 밥끼니를 채우며 살던 삶이 시를 들리게 하는걸까?

처음엔 김용택 시인의 설명이 더 좋았고 그리곤 김관식과 정호승이 좋았고 이제는 한용운과 신동엽이 들어온다.

사람은 변하는거로구나 나무잎의 빛깔처럼 하루의 하늘빛만큼 빨리...

시를 사랑하도록 변하는거라면 일년일년 지나는 것도 즐거우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국과 지옥의 결혼 민음사 세계시인선 46
윌리엄 블레이크 지음, 김종철 옮김 / 민음사 / 1990년 10월
평점 :
품절


시에 대한 소감을 적는 건 사실 시라는 상상력의 세계를 새장에 가두는 것이다. 블레이크에게 상상력은 자연이었다. 자연을 가두는 모든 것에 그가 저항했듯이 상상력을 가두는 것에 그는 반대하리라. 하지만, 그가 내귀에 들린 이야기의 한귀퉁이라도 담아두고자 하니 어쩔 수 없지...

그의 시에는 로크의 [인간사회의 기초로서의 자연]사상에 대한 강한 동의가 묻어난다. 나아가서 경험의 세계에만 확신을 두는 마음자세도 로크나 흄과 같은 공기를 마신 사람임을 느끼게 한다. 인간 동의하의 사회계약이 가져다준 재앙, 왕권의 부권적 해석에 대한 분노는 루소의 정치권력에 대한 생각과 자연주의를, 인위적 권력 체제에 기름붓는 종교에 대한 혐오에는 흄을 본다, 이 모든 것이 그의 시에 녹아있다. 그의 하나님은 교회가 정의하는 것이 아니며, 자연인인 그가 [느끼고 자연스레 옳다 생각되는 존재]여야 했다. 종교적 색채 특히 계시록적 색채가 강하게 들어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상상력과 상징의 세계는 그래서 너무도 18세기적이다.

 그의 시 안에서 인류는 지옥으로부터 천국으로 올라온다. 속아 들어간 새장으로부터 해방되어 힘껏 날개짓 한다. [아기는 강보보다 소중한 것이다] 이제 둘은 하나로 결합하고 인간을 통해 천사는 악마가 된다. 굳어진 정의(definition)와 이성(reason)의 틀은, 상상력과 예술의 세계에서 지옥으로 사라지고 새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 어리석음속에 빠져 벗어나오지 못하는 자신의 조국이 이런 시대정신을 입고 다시 태어나길 그는 간절히 바라며 이 시를 쓴 것이다.

그가 남긴 그림들의 이미지와 어울어져, 그의 시는 강렬한 인상으로 폭풍속의 18세기 유럽을 느끼게 해 준다.

태고적부터 계신 이






 





 





 





 





 





 




 The River of Life-요한 계시록 





 





 





 

 

The whirlwind of lover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바라 민토, 논리의 기술
바바라 민토 지음, 이진원 옮김 / 더난출판사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이 책을 접한 건 같은 출판사의 [논리적으로 글쓰기, 논리적으로 생각하기]를 통해서였다. [피라미드 원칙]이라는 원래 책 제목이 오해(?)의 소지가 있어 붙여진 제목으로 이번 개정판도 [논리의 기술]이란 다른 제목으로 나왔다.

처음 2000년에 구판((1987년판의 번역)을 보았을때 느낌은 놀라움이었다. 번역의 중요성에 대한 놀라움. 뭔가 대단한 책인데, 도저히 독해가 안되는 번역의 벽 너머에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어찌어찌 [도입부] 쓰는 법을 그 책을 통해 배워 크게 도움이 되었던 기억이 난다. 이 책의 구판을 주위 사람에게 추천하면서도 늘 [좀 번역이...]라 말하곤 했었다.

이번에 1996년판의 번역인 이 책은 일단 번역은 합격권 안인 것 같다. 무슨 이야기인지 좀 알아들을 것 같다. 특히 구판을 몇번 보아도 알 수 없었던 [문제해결의 방법]에 대한 설명이 이번 훨씬 비싼 신판책(8000원->18000원)을 사서 그래도 얻은 혜택이다.

글쓰기를 처음 하는 사람에겐 경영과 관련된 예화와 예제들이 다소 낯설어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곰곰 그 사례들을 자기 일상의 사례로 바꾸어 예를 만들어가며 읽으면 이 방법론이 왜 그리도 여러 사람 입에 오르내리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논리적 문서 특히 사건해결형 문서 작성엔 이만한 책을 보지 못했다는 것이 투덜거림 속에서도 솔직한 심정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04-11-12 2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짜 비싸네요. 하지만 기억하죠.^^

설박사 2004-11-12 2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이 매력적이네요... 저는 이런 제목이 좋더라고요...

음... 사건 해결형 문서라....

저도 이 책 한 번 사서 보아야겠군요. ^^

좋은 정보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데이비드 흄(1711.4.26~1776.8.25)

1739년 28세[인성론(人性論):A Treatise of Human Nature]

                제1권 오성편(悟性篇) 제2권 감정편

1740년 29세 [인성론] 제3권 <도덕편>

                 [최근 간행된 어떤 책에 대한 초록] 

1742년 31세 [도덕·정치철학:Essays Moral and Political]

1748년 37세 [인간 오성에 관한 철학논집: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751년 40세 [도덕원리에 관한 탐구]

1752년 41세 에든버러 변호사회 도서관 사서(司書)

1763년 52세 주(駐)프랑스 대사의 비서관

1766년 루소를 영국으로 초청, 불화로 결별

1767∼69년 58세 외무차관

1776년 65세 사망

1779년 [자연종교와의 대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