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한국사 - 진실을 쫓는 역사 독립군 배기성의
배기성 지음 / 블랙피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정한 역사학자는 기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기록을 토대로 하되 끊임없이 그 기록의 진실성을 의심해서, 기록 뒤편에 있는 진정한 진실을 찾아 움직여야 한다. 


배기성 작가의 상상이 깃들여진 역사적 스토리 42개를 다루고 있다. 



고구려 안장왕 - 백제 중인 백성인 것처럼 살았다. 한씨 성을 가진 절세미인이 있었다. 전직 고을 귀족의 딸이었던 그녀는 안장왕과 사랑에 빠지게 된다. 아버지 문자명왕이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한씨 부인에게 자신의 정체를 드러냈다. 한씨를 노리던 탐욕스러운 달을성현(경기도 고양시 일산서동구) 태수는 한씨에게 자기의 침소에서 수청을 들라고 명한다. <단심가> 태수는 화가나 자신의 생일에 한씨를 처형하겠다고 선언한다. 태수의 생일날, 악단으로 변장한 안장왕과 그 호위 무사들이 태수가 거하게 취하자 변장을 풀고 태수를 죽인다. 그리고 한씨 부인을 데리고 고구려로 돌아가 안장왕에 오른다.


김제 벽골제: 백제의 기술, 전라도와 신라의 노동력 제

마한 - 한반도 중남부에 자리 잡고 있던 부족 국가 통칭. 목지국을 중심으로 해서 중앙 집권화가 되기 직전 형태의 국가들의 모임. 


임나일본부설: 일제 식민사관 중 하나. 4세기 중엽 일본 열도의 야마토왜가 한반도 남부에 진출. 백제, 신라, 가야 지배. 임나일본부라는 통치기관 설치. 6세기 중엽까지 한반도 지배. <전라도 천년사><일본서기>


남원: 고랍국


무려라: 국경 요새 <수서> 당나라 역사책 / 광개토대왕 21년 장수왕 79년 문자명왕 28년 안장왕 12년. 석탄 풍부. 612년 수나라에 빼앗김. 

요수: 요하 건너편에 있던 영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봉준, 혁명의 기록 - 동학농민전쟁 120년, 녹두꽃 피다
이이화 지음 / 생각정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봉준 장군의 일대기를 잘 서술한 책이다. 

어린 시절부터 사형당하기 전까지.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이 없었으면 동학농민혁명도 없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화, 그게 뭡니까? 재미만만 한국사 19
보린 지음, 김윤정 그림, 하일식 감수 / 웅진주니어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76 강화도 조약

1886 미국 선교사 스크랜턴 부인 이화학당 세움

1887 경복궁에 처음 전등 설치

1894 일본에서 인력거 들어옴

1895 우체사 세움

1897 독립 협회 독립문 세움

1898 양화점 생김

1899 서대문과 홍릉 사이 처음 전차 다니기 시작. 인천과 노량진 사이 철도가 놓임

1902 독일 여성 손탁 호텔 세움

1905 일본과 을사늑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 신분, 그것이 알고 싶다 재미만만 한국사 15
김리라 지음, 이경택 그림, 하일식 감수 / 웅진주니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인>

1. 양반 : 나랏일을 하는 관리(문과, 무과). 토지, 노비, 유교 경전. 갓(말의 털. 호박) 

2. 중인: 잡과에 합격하거나 낮은 관직에서 일하는 사람 - 의사, 전의감, 법률(율과), 역과(외국어), 음양과(천문학), 화원(화가) 전문직업. 서리(관청에서 양반 도움), 향리(지방 관청에서 일하는 하급 관리), 군대 하급 지휘관, 서얼

3. 상민: 관직 없는 사람 (평민) 백성, 농부, 상인, 수공업자, 어부. 잡곡밥. 두끼 (아침, 저녁). 주먹밥. 세금. 특산물. 부역


<천인>

1. 천민, 노비: 주인의 재산. 광대, 갖바치(가죽으로 신발이나 생활용품 만듬), 기생, 백정


안채/사랑채/사당/행랑채

장원급제: 종이꽃 어사화를 관모에 꽂고, 말을 타고 풍악을 울리며 사흘 동안 축하 행진. 

소과/문과(대과)

쓰개치마(장옷)

군역: 16세 이후. 양반은 군역 의무 없고 상민만. 


<조선 연혁>

1392 조선 건국

1394 한양 천도

1402 신분증 호패법 실시

1466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 지급, 직전법 

1485 경국대전

1669 노비종모법 (어머니 신분을 자식이 그대로 따름)

1708 특산물을 쌀로 내는 세금 제도 (대동법)

1725 탕평책

1750 균역법 군역 부담 덜어주는 세금 제도

1894 시분제 폐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찾기 대장 김지우 - 제13회 비룡소 문학상 수상작 난 책읽기가 좋아
장희정 지음, 김무연 그림 / 비룡소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심리학을 공부했다. 낮에는 어린이들과 마음을 나누며 심리치료와 상담을 하고 밤에는 어린이들의 마음을 담은 책을 쓰고 있다. 


<찾기 대장 김지우>는 두 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찾기 대장 김지우는 1학년에 올라간 지우의 심리를 보여준다. 친구가 없어 쉬는 시간에 종이접기를 한다. <기초 색종이 접기> 지우는 물건을 잘 찾는다. 엄마의 가방, 아빠의 시계, 내 물병, 신발주머니, 우산, 아래층 할머니의 푸들 순심이. 학교 가는 길에 놀이터에서 그네를 탄다. 유치원 때 생각이 난다. 미끄럼틀 위에서 파란색 운동화 한 짝을 발견한다. 작년에 다니던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의 신발이다. 주머니에 짝궁 지우개가 있다. 1학년 3반에 갔는데 친구들과 선생님이 지우를 찾았다.


2. <자꾸만 화장실> 오선호는 1학년 3반에 다닌다. 화장실이 너무 크고 귀신이 나올까봐 무섭다. 참다 참다 선호는 수업 도중에 화장실로 간다. 화장실에서 이상한 소리가 난다. 최유준이 몰래 혼자 울고 있었다. 둘은 단짝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