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통화전쟁
하마다 가즈유키 지음, 곽해선 옮김 / 작가정신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소련의 붕괴를 예언할 수 있었던 지표는 바로 루블의 국제통화로서의 무가치를 예로 들고 있다. 1990년 미국 재무부와 CIA는 ''루블 위조 작전"으로 소련의 숨통을 끊었다고 한다. 보이지 않는 곳에 이런 물밑 작업은 비일비재하나보다. 미국이 쌍둥이 적자로 허덕이고 있지만 아직 건재한 이유는 바로 미달러의 국제통화로서의 가치가 강세이기 때문일 것이다. 미국 달러의 60% 이상이 해외에서 유통된다고 한다.

 저자가 일본인이기 때문에 일본의 경제상황에 대한 묘사가 잦다. 특히 1985년 플라자 합의로 인해 그 뒤 3년간 80% 가까운 엔고가 연출됐다고 한다. 그로인해 미국 내 사들인 빌딩과 골프장 등 자산을 잃게 되었다. 필자는 일본의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 외화를 달러에서 유로로 바꾸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한다. IMF는 "일본 기업의 도산을 지금의 3배로 늘려야 한다" "일본 전역에 실업자가 넘쳐나지 않으면 진정한 개혁은 성공할 수 없다"고 했다.

조지 소로스가 말하는 '달러 장벽'으로 인해 미국의 재정 적자와 무역적자를 은폐하려 하고 있다.

 우리는 흔히 기업의 투명성하면 미국식 기업들 떠오른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한다. IBM, GE, Intel, Cisco Systems같은 미국의 우량기업도 분식결산을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실상이 드러나지 않는 이유는 대기업들이 미국 내 주요 미디어의 대주주이기 때문이라고 한다.(34쪽) NBC는 GE, CBS는 바이어콤, ABC는 디즈니, CNN은  AOL 타임워너의 산하 기업이다. 뿐만 아니라 GE의 잭 웰치는 장기적 시장 전략을 특기로 삼는 경영자가 아니라 실체 없는 정보조작에 능한 경영자로서 인기를 모았다고 한다.

필자는 회계부정 스캔들이나 장기 불황에 흔들리는  미국은 최대 무기인  달러 약세 전략을 이어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상황을 보면 저자의 예상이 맞는 것 같다. 저자가 일본인이기 때문에 결국 일본의 통화 정책을 비판하고 앞으로 달러, 유로, 위안에 대응할 수 있는 동아시아의 통화를 구축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 싶어하는 듯하다.

 


 플라자합의란..

1985년 9월22일 프랑스와 독일, 일본, 미국, 영국 등 선진 5개국 중앙은행 총재가 만나 미국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절상유도하며 이것이 순조롭지 못할 때에는 정부의 협조개입을 통해 목적을 달성한다는 등의 내용에 합의한 것.

1978년 2차 석유파동을 겪은 미국은 고금리 정책으로 전환, 달러가치는 높아지면서 경상수지 적자는 심각한 양상을 띠게 되자 플라자 합의를 유도하기에 이른다.

이 합의로 당시 1달러당 260엔대를 보이던 달러화는 약세로 반전하며 10년간에 걸친 장기하락 추세에 진입, 95년 4월에는 환율이 엔화에 대해 사상 최저수준인 80.6엔, 독일 마르크화는 1.36마르크까지 하락하였다. 그러나 1995년 이후 일본 및 독일 등 선진국경제가 부진을 면치 못하는 반면, 미국경제는 저물가 아래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함에 따라 미 달러화는 다시 강세로 전환하게 된다. (출저: 네이버 오픈사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ink (Mass Market Paperback) - 『블링크』 원서
말콤 글래드웰 지음 / Back Bay Books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 was fascinated by the minute I took hold of it.

I read the Tipping Point quite a long time ago, and i remembered it was also very eye catching.

However blink is more psychological and personal. The author shows us the importance of trusting our instincts. I remember watching Oprah..it was a show on child molesters.. and how we should always listen to that nagging voice in our mind when we feel something is not right .. especially concerning children...we humans have been taught to always look at the facts,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give everyone the benifit of the doubt...but actually we should listen to our instincts..of course they can be wrong.. because our emotions can be programmed and deprogrammed

 THis book also shows how are sixth sense can be trained to react in intense situations

our judgement when hightened can save us but it can also blind us

I learned never to be overconfident about my split judgeme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있는 우리 헌법 이야기
한상범 지음 / 삼인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나라의 헌법제정 개정의 역사를 보면 헌법을 통치자들의 야욕을 위해 손본 '정치적  상처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무엇보다 개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정치적 배경부터 살펴봐야 한다. 그 중 가장 흥미로웠던 것을 5차 개헌이다. 이때부터 우리나라는 부통령제 없이 대통령에게 권한이 집중된 기형적 체제가 되었다. 왜 우리나라는 부통령 대신 국무총리가 있는지 확실히 알게되었다. 국무총리는 대통령이 신임하면 누구라도 국회의 동의를 받아 국무총리로 임명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에 문외한이라도 국무총리로서 대통령의 유고시 권한 대행을 할 수 있게 된다.(72쪽)

 

 


  • 보안처분: 예방구금이나 보호관찰과 같은 범죄에 대한 사전 사후의 형사 정책적 처분
  • 구속적부심사청구권: 영미법상의 인신보호영장제도, 구속의 적법성 여부를 심사, 불법 구속된 자를 구제하는 제도, 누구든지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할 때에는 적부의 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12조6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한의 기아 - 기아 정치 그리고 외교정책
나초스 지음, 황재옥 옮김 / 다할미디어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본으로을 읽었었다.  <THe Great North Korean Famine>

식량안보에 관심이 있어서 선택하게 된 책이었다. 여태까지 막연하게만 알고 이었떤 북한의 식량사정과 기아와 외교의 관계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제시해줬다.

우선 기아의 정의와 기아의 정치학과 외교관계 등을 여러 사료를 통해 심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무엇보다 식량원조 이후의 북한 전후상황이 탈북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대북원조를 외교협상에서 '당근'으로 쓰는 경우가 많으나 인권과 외교를 결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 필자와 공감하게 되었다. 단직적으로 봤을때는 대북원조가 북한의 군사를 먹여살리고 체제유지에 기여한것 같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북한사회에 바깥세상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조금이나마 바로잡고 또 50년동안 적으로 알고있던 일본, 한국, 미국이 제일 많이 원조를 한 사실을 알게 되어 진정한 적이 누구인지 되새김질할 기회가 되었다.

레이건 대통령이 말했듯이 'a hungry child knows no politic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이누도 잇신 감독, 츠마부키 사토시 외 출연 / 마블엔터테인먼트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친구의 추천으로 보게 된 영화. 전혀 배경지식이 없었던 나로서는 이 영화가 일본영화라는 사실부터가 놀라왔다. 제목만 봐서는 프랑스의 예술영화 같은 느낌이었는데...

영화를 보고나서 이것저것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영화 곳곳의 함축적 의미들, 대사, 배경 등등 다시 보면 또 다른 의미를 발견할 것 만 같은....내가 제일 기억에 남는 장면은 물론 신기한 바닷속 모텔(?)도 있고, 요리하다 쿵쿵 떨어지는 조제, 가발을 뒤집어 쓰고 고대하던 사강의 속편을 읽는 조제 등등 많지만 무엇보다 남자 주인공을 좋아했던 여자가 조제 앞에 나타나 따귀를 때리고 복지학과를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장애인을 자기와 동등한 인격으로 존중하지 못한 죄책감으로 취직도 포기한 그 여학생의 모습입니다. 오히려 그 여대생이 우리 일반인을 대변하는것이 아닌지...조제와 남자주인공은 정말 특별한 사람들 같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책으로 꼭 읽어보고 싶은 영화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