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와 비교될 만한 한국영화가 있다면...
'바람난 가족'이 될 수 있겠다.

조각난 관계와 삶이 서로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솔직함은 기가 찰 정도로 적나라하다.

제자와 같이 사는 부,
테니스 코치와 사귀는 모,
독선적인 아들1,
방황하는 아들2

경제능력에서 오는 컴플렉스와 지적 오만함이 넘치는 부의 모습은 병적이다 못해 퇴폐적이다.
과거의 명성과 고상함은 고집이 되어, 붕괴된 한 가정의 표상으로 굳어진다.
그에게 많은 의지를 하고, 닮으려는 아들1의 묘한 연대의식은 세습적인 가정의 한 모습으로 드러난다.
거짓과 위선, 허약한 윤리의식이 뒤틀리고 꼬여서 균열의 틈이 더욱 벌어진다.

굴레와 같은 그러한 가정에서 모의 위치는 흔들린 치아처럼 고통이 스며있다.
이 남자, 저 남자 .. 바람이 멈추는 곳에 바람이 존재 하지 않듯이
그녀는 자신의 머무를 곳을 찾아 헤맨다.
아들1과 부가 매우 닮았지만, 아들2는 결코 닮을 수 없는 이유는 아마도 아들2의
출생의 비밀과 연관되어 있을 듯 싶다.(모의 성향으로 봐서.. ) 
모의 삶에 아들2가 끼어들어 있으면서도 방황할 수 밖에 없는 아들2의 모습은
길 잃은 어린양처럼 애처롭다. 여기저기에 자신의 정액을 바르고 다니는 모습에서
아들2의 고민과 갈등을 잘 말해준다.

헐리웃의 '행복한 가족애'가 가루가 되어 재탄생한 '오징어와 고래'

이혼의 풍경,
공유했던 모든 것의 배분문제에서부터
공유했던 모든 것들에 대한 아픔을
사르고 어르는 독한 영화이다.
 

점수 :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3-25 21: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주미힌 2006-03-25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답니다. 저 예산 영화이면서 요즘 영화들에 비해서 짧고..(80분이던가) ㅎㅎ

nada 2006-05-19 14: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별이 네 개네요. 전 너무 좋게 봤는데. (지금 죽 보고 있는데 라주미힌님 취향이 저랑 비슷하신가 봐요...^^)
 

이연걸의 마지막 무술 영화...
접을 때가 됐지...

80년대 무술 영화에 비하면 엄청나게 발전 했지만
관객 수준은 훨씬 더 많이 발전했잖어..

영~ 아니다...

화려한 동작만으로 관객을 잡기엔 부족한게 너무나 많다.

주성치랑 너무 비교 된다.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행복은 순결한 여신만의 것일까?
잊혀진 세상에 의해 세상은 잊혀진다.
티 없는 마음의 영원한 햇살.
여기엔 성취된 기도와 체념된 소망 모두 존재한다
(How happy is the blameless vestal's lot?
The world forgetting, by the world forgot.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Each prayer accepted and each wish resigned.)"

설마, 잊을 수가 있을까..
부를 때마다 좋았던 그 느낌과 기억의 흔적은 있는데,
그랬던 이름이 어느덧 낯선 언어로 다가온다.
더 좋았을 수도 있었는데, 왜 그것을 참을 수가 없었는지.
그 때도 지금도 이해할 수 없다.






"망각한 자는 복이 있나니, 자신의 실수조차 잊기 때문이라
(Blessed are the forgetful, for they get the better even of their blunders)"

담아두는 것조차 싫은 기억이라면 지워지는 것이 낫다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지워지면 행복할까...
기억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머리 속은 지워져도 몸은 신가하게도 반응한다.
그 장소, 그 느낌..
N극과 S극처럼 그것은 당연하다는 듯이 서로를 끌어당긴다.




남들이 부러워 했을만한 순간순간은 아직 죽지 않았다.
아니 자신들이 원하는 진정한 마음을 막을 수가 없었다.
그토록 지겹고, 저주하던 그 사람이 오히려 지워지고,
아름다운 시작을 함께 했던 그 사람으로 돌아온다.




간절함... 
꿈처럼 허무하지 않기를, 바람처럼 부질없지 않기를
짐 캐리의 진지한 하룻밤의 여행은 너무나 길고도 고독했다.

낙하하는 물처럼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단 한가지 이유는
우리는 아름다웠던 처음을 영원히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이터널 선샤인은 사랑의 기억을 포맷한 남녀의 운명적인 로맨스를 그린 독특한 소재의 영화다.
특히 초반과 후반, 그리고 꿈 속에서의 혼돈스런 기억 등의 효과가 좋다.
플롯도 좋고, 연기도 좋고, 내용도 좋고, 소재도 좋고...

 

별 반개를 깍은 이유는...
사랑을 많이(거의) 못해 봐서 100% 흡수 할 수 영화이기 때문.

점수 :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3-20 00: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태우스 2006-03-20 0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케이블에서 하더라구요. 잘됐다 하고 보다가, 야구 땜시 먹은 술이 덜깬 관계로 중간에 자버렸습니다. 짐 캐리가 이런 연기도 했던가 싶었구, 무척이나 흥미로웠는데.. 아쉽더이다.

라주미힌 2006-03-20 1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답니다.. 꼭 보세용.. ㅎㅎㅎ
 

힘과 폭력으로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는 자와
두려움의 기억으로 그것을 견뎌내는 자의 경계가
분명해 지는 공간.

학교.

힘의 불균형, 그것이 학력이던 싸움이던 간에 서열이 정해지는 최초의 공간인
'학교'에서 주인공은 세상의 룰을 배워나간다.


학교는 세상을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이자, 세상의 맛배기만큼 처절한 전장터로 변해 있었다.
맞는데 이골이 난 재희는 세상과 맞짱을 뜨기 위해 싸움의 기술을 갈망한다.
그러다가... 무협지처럼 싸움의 은둔 고수를 만나는데....



황당하게도 그는 독서실에서 무협지나 읽고 있는 '백수'의 고수.
광기의 카리스마 백윤식은 싸움의 기술을 무술 영화처럼 생활 속에서 가르친다.



"너 한번만 더 내 몸에 손대면 피똥 싼다...." 

협박과 온갖 필살기로 무장한 인간 병기 백윤식은 싸움의 고수이지만, 세상의 이단아이다.
룰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그러한 룰의 지배를 벗어나 있다. 그것은 세상의 가장 큰 위협이 된다..

 

"강해지고 싶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제정신이 아니라고 했다. 그러나 나는 그분을 닮고 싶었다."

협박만으로도 세상을 굴복시킬 수 있는 그의 힘은 동경의 대상이다.
그리고 둘 중 하나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세상과의 투쟁은 위험하지만,
언젠가는 넘어야만 하는 산이다.

"상대를 한대도 때리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 그건 네 안에 있는 두려움.
맞아본 자만 아는 두려움때문이야"

그 두려움을 깨는 것,
학생이 세상에 한 발을 내딛기 전에 깨달아야만 하는
학교의 가장 커다란 숙제이자 가르침일 지도....


백윤식의 카리스마가 아주 인상적이다.
정말 멋있는 캐릭터야...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음악과 젊음이 있어
영화는 生! 生! 달린다.



발랄, 깜찍한 일본 여고생들이 우르르르르
몰려 나오니, 이 기쁨 또한
만만치 않다. 므흣.




(이 분만 예외...  ㅎㅎㅎ)
(도도한 자세와 걸죽한 식욕의 소유자.)



(이런 미모의 선생님이 계신 곳...  다시 입학하고 싶어라... 므흣
암울했던 나의 고딩 시절이여... 사아지라.. 사아지라... 냉큼)




'스쿨 오브 락'이 아이들의 깜찍한 연주실력으로 관객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면,
'스윙 걸즈'는 일본 여고생들의 '발랄', '코믹'한 언행, 자태로 눈과 귀를 뺴앗아 긴다.
과장된 연출, 선정적이고 저돌적인 설정들이 오히려 장점이 되었다.
(아 ... 짧은 치마도 한 몫했다.. 므흣)

여차저차 해서 나머지 공부하던 얘들이 째즈를 한다는 여차저차한 내용은 사실 별 것 없지만,
재미있는 씬들이 아주 많다.
왈가닥? 날라뤼? 엽기적인 그녀?들 같은 그 분들의 세계는 나같은 '서민'에게 환상을 산산히
부수는 기쁨을 안긴다.. ㅎㅎㅎ









내공이 삼천갑자가 되어 보이는 이들의 연주에는 '흥'과 '젊음'이 젖어있다.
째즈의 맛을 살린다고나 할까.






억지스러운 설정들이 곳곳에 널부러져 있지만,
애교로 봐줘도 될듯 싶다.

이 영화는 엄격한 영화가 아니다.
스윙~! 스윙~! 스윙~!
율동감, 리듬감... 그들 자신의 자유분방한 만큼 자연스럽게 즐기면 그만이다.

하지만, 주인공들을 중심으로 배경 역할을 맡은 배역들에게 아쉬움이 있다.
울면 같이 울고, 웃으면 같이 웃고, 뛰면 같이 뛰고, 연주하면 같이 연주하는 열 댓명의 인형같은
존재들이 이 영화의 가장 큰 단점이다.

얘네들이 주인공...

허걱... 이 분이.. 1955.1.5   이시다...   조혜련 + 조정린 ㅎㅎㅎ
와타나베 에리코 (Eriko Watanabe)







(이 분은 5학년 때 우리반 반장 같다... ㅎㅎㅎ ... 범생스타일 좋아좋아.. )





이 영화의 사건의 발단이 됐던 '도시락'  
맛있겠다.



 

점수 :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월중가인 2006-04-02 1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거 진짜 보고싶어요~ 왜 우리나라는 이런 류(음악에 관련된?)영화는 안만드는 걸까요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