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성의 개념과 그 경계들>

- 2013학년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봄 학술대회


2013년 6월 8일에 개최할 예정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의 학술대회 주제는 ‘시민성의 개념과 그 경계들’입니다.

2012년에 이어 2013년에도 ‘시민성’에 대한 주제를 계속해서 탐색해 나갈 예정입니다.

근대 세계는 시민성의 모색과 재구성 속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본질적 질문과 그 정의를 만들어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과정에서 제도화된 시민권의 확립과 법적 장치를 만들어내기도 했지만, 먼저 물어야 할 것은 제도와 질서 이면에 면면히 흐르는 시민성의 역동들일 것입니다.

본 학술대회에서는 근대적 시민성의 발현과 변형되는 지점을 살펴봄으로써 ‘시민성’의 개념에 대한 미래적 전망을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시민성과 시민권이 국가적, 법적 제약과 규정 속에서 재구성되는 양상과 새롭게 모색되어야 하는 ‘시민성’의 개념을 대안적으로 찾아볼 생각입니다.


◎ 일시 : 2013년 6월 8일(토) 오후 1시

◎ 장소 : 서강대학교 정하상관 610호



◎ 세부 일정

13:00 - 13:30 개회사
최기영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장)



사회자 : 박숙자

13:30 - 14:20 시민성 - 국가, 민족, 가족을 넘어서
발표자 : 김동춘 (성공회대), 토론자 : 정진아 (건국대)

14:20 - 15:10 무정부주의적 시민성? 한나 아렌트, 자크 랑시에르, 에티엔 발리바르
발표자 : 진태원 (고려대), 토론자 : 김정한 (고려대)


15:10 - 15:30 휴식


15:30 - 16:20 민주주의와 성차 : 차이와 평들을 다시 상상하기
발표자 : 이명호 (경희대), 토론자 : 박미선 (한신대)

16:20 - 17:10홍수와 잠수 혹은 강변엔 누가 사는가; 정동의 과잉됨과 시민성의 공간
발표자 : 권명아 (동아대) 토론자 : 김경수 (서강대)

 

 

-----------------------------------------------------------

 

학술대회 하나 공지하겠습니다. 6월 8일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가 주최하는 "시민성의 개념과 그 경계들"이라는

 

제목의 학술대회입니다. 저도 발표를 하나 맡게 됐는데, 제 발표는 "무정부주의적 시민성? 아렌트, 랑시에르, 발리바르"

 

입니다. 제 발표문의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정부주의적 시민성? 아렌트, 랑시에르, 발리바르

 

이 글에서 우리는 무정부주의적 시민성이라는 도발적인 주제를 다뤄보려고 한다. ‘무정부주의적 시민성’이라는 발표문의 제목은 명백한 용어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무정부주의가 국가에 대한 부정을 뜻한다면, 시민성은 국가와의 관계를 떠나서는 사고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식의 주제는 처음부터 그다지 의미 있는 논점을 제기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럼에도 굳이 이처럼 도발적인 제목을 선택해서 발표를 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집약될 수 있다. 첫째는 현대 유럽정치철학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바깥의 정치의 합리적 핵심을 바로 무정부주의적 시민성에서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다.

 

둘째, 우리의 생각에 이는 한나 아렌트의 현대적 유산이라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이러한 유산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쟁점 중 하나는 자크 랑시에르와 에티엔 발리바르가 아렌트의 정치철학을 평가하는 매우 상반된 방식의 함의는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랑시에르는 아렌트 정치철학에서 민주주의와 거리가 먼 엘리트주의의 전형적인 특징을 발견해낸다면, 발리바르는 민주주의에 대한 급진적인 재해석의 가능성을 읽어낸다. 더욱이 이는 랑시에르의 민주주의론과 매우 가까운 어떤 것이다.

 

셋째, 아렌트를 둘러싼 이러한 논쟁은 민주주의에 본래적인 무정부성 및 그것에 기반을 둔 시민성의 가능성이라는 쟁점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민주주의는 어느 정도나 무정부성을 포함하고 있는가? 그리고 무정부성에 기반을 둔 시민성이란 과연 가능한 것인가? 또한 그것이 현재 민주주의 정치체가 직면한 위기에 대해 무언가 의미 있는 전언을 제시해줄 수 있는가? 이것이 우리가 이 발표에서 제기해보려는 쟁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쾅! 2013-06-07 1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어차피 하버마스나 국내의 최장집 교수 및 백낙청 교수 같은 이들에게 기대한 적도 없었다.

굳이 내 생각을 드러내자면 이렇다.

국가 없는 사회는 가능하다.

국가 없이는 살 수 없다는 생각 자체가 이 사회가 사람들에게 세뇌해 온 생각이다.

국가에 대한 이전과는 다른 시각, 국가 없이 살아가는 사회에 대한 자유로운 상상이 왜 불가능한가?

統一 국가가 아니라 아예 人口 數에 맞춰서 2800 個의 작은 크기의 국가들로 쪼개어 버린다는 想像,

국회의원을 제비로 뽑는다는 상상,

국가가 없는 사회에 대한 다양한 상상이 왜 불가능하며 그것이 왜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인가?

국가없는 사회도, 아니면 국가형태, 그것도 아니면 민주주의조차도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국가없는 민주주의 사회라는 게 그렇게 가당치도 않은 이야기인가?


쾅! 2013-06-07 1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無國家가 바로 無政府라는 생각도 일종의 세뇌 아닌가? 그럴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은 할 수 없는가?

시민사회와 시민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난 민주주의는 정말로 불가능한가?

아마 이렇게 생각하면 저 토론에 끼워주지도 않겠지.

전두환을 비판하면서 시공사 책을 읽고 시공사 책을 추천하는 민주주의자들의 세상에서는 말이다.
 

여러 모로 공감이 가는 칼럼을 하나 링크해둡니다. 

문재인 씨를 지지한 분들 가운데는 이명박이나 새누리당 또는 박근혜 지지자들을

자기의 (계급적) 조건을 몰인식하는

단순무식한 이들로 치부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칼럼이 보여주듯이

그들은 나름대로의 현실적 근거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중을 너무 단순하고 무식한 존재로 생각하지 않는 것,

그것이 싸움을 새롭게 전개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필요한 일일 수도 있습니다.

 

----------------------------

 

누가 박근혜 정부를 만들었는가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65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3-01-14 17: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놀라운 것은 박근혜가 중학교 1학기 무시험 제도를 도입하려 한다는 것이다. 시험이 없는 대학교나 고등학교 같은 것을 발마스 님이 상상한 적이나 있는가?

아무런 평가를 하지 않고 자기가 듣고 싶은 과목을 듣고 필요없으면 듣지 않고 시험 자체가 없는 학교를 발마스 님이 상상한 적이나 있는가?

오히려 박근혜가 더 급진적인 것 같다. 발마스 님보다

casio replica 2013-01-24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무런 평가를 하지 않고 자기가 듣고 싶은 과목을 듣고 필요없으면 듣지 않고 시험 자체가 없는 학교를 발마스 님이 상상한 적이나 있는가?

오히려 박근혜가 더 급진적인 것 같다. 발마스 님보다
 

정말 뒷북이긴 하지만,

레디앙에 실린 심보선 시인의 인터뷰를 한 편 올립니다.

대선이 다 지나간 마당에 이런 인터뷰가 무슨 소용이냐고 힐난하시기 전에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심보선 시인의 말에 공감하는 대목이 아주 많습니다.

  

4명의 노동자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나니

시인의 인터뷰가 더 절절히 다가옵니다.

 

----------------------------------------

 

 

나는 왜 김소연을 지지하는가

 

http://www.redian.org/archive/47867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asio replica 2013-01-24 14: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대선이 다 지나간 마당에 이런 인터뷰가 무슨 소용이냐고 힐난하시기 전에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정말 안타까운 일입니다.

벌써 4명째 숨을 거두었는데 ... 

정말 안타깝네요. 

 

 

 

숨진 한진중 노동자 아내 “박근혜 당선에 절망하더니…”

http://media.daum.net/society/newsview?newsid=20121227084005391

 

 

외대 노조위원장 빈소 지키던 부위원장 사망

http://media.daum.net/society/newsview?newsid=2012122700320962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eplica watches 2013-01-24 14: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정말 안타까운 일입니다.

벌써 4명째 숨을 거두었는데 ...

정말 안타깝네요.
 

[한겨레 21]에 "지제크 현상, 삐딱하게 보기"라는 기사가 실렸네요.

 

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2397.html

 

 

기자가 얼마전에 발표한 [푸코와 민주주의]라는 제 논문의 일부도 인용을 했군요.

 

해당 논문을 참고하길 원하는 분들은 아래 주소로 가보세요.

 

http://blog.aladin.co.kr/balmas/5637210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편네 2012-07-16 17: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진태원 고려대 연구교수(철학)는 프랑스 철학자 브뤼노 카르센티의 용어를 빌려 지제크식 급진주의를 ‘바깥의 정치’라 이름 붙인다. “나름의 방식으로 해방의 정치를 추구하지만, 그 가능성을 제도적인 정치의 외부에서 찾는다”는 이유에서다. 바깥의 정치는 진정한 민주주의의 이상(인민의 지배)을 실현하기 위해 자유민주주의 체제 바깥에서 ‘진정한 정치의 장소’를 발견하고, 그 지점에 근거해 체제 극복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정치다. 문제는 바깥의 정치에는 역사에 대한 경험적 분석이 없다는 점이다. 진 교수는 말한다.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겠다고 하지만, 지제크에겐 마르크스가 수행한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정밀한 해부나 국가와 통치 유형에 대한 분석이 없다.” 지제크가 ‘역사적 분석’을 ‘역사철학적 비평’으로 대체하려 한다는 얘기다.

여편네 2012-07-16 17: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조금 다른 얘기지만 한겨레 신문도 따지고 보면 우파적인 신문이며 자본주의 사회를 유지하는 데 아주 도움을 주는 이데올로기들 만들어내는 "좋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바깥이 없다는 것은 저도 동의합니다. 이미 안에 갇혀 있는 거죠. 다만 경험적 분석이라는 것이 다소 마음에 걸리는 군요. 마르크스는 이론적 분석을 한 게 아닌가요? 제도 정치만 정치라는 뉘앙스도 좀 있는 듯 하구요.

balmas 2012-07-16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겨레 신문도 따지고 보면 우파적인 신문이며 자본주의 사회를 유지하는 데 아주 도움을 주는 이데올로기를 만들어내는 "좋은" 역할을 하고 있다 ---> 그럼 어떻게 할까요? 그리고 제가 한겨레 신문이 좌파적인 신문이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나요?

제가 바깥이 없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나요?
제 글에 "경험적 분석"이라는 단어가 있나요?
제 글에 제도 정치만 정치라는 뉘앙스가 어디 있나요?

질문하시는 건 좋은데, 일단 누구에게 하는 질문인지 좀 분명히 하시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글을 좀 읽고 질문을 하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김병준 2012-07-21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태원이형, 안녕하세요.. 정말 한참 전 과천연구실에 나갔던 김병준입니다. 기억도 잘 안나시죠? ^^;
말씀드리고 싶은게 있는데, 이메일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신지요.
감사합니다.

balmas 2012-07-21 22:57   좋아요 0 | URL
병준씨 오랜만입니다.^^ 그럼 기억하죠. 벌써 20년 가까이 됐네요.^^
잊지 않고 찾아줘서 고맙습니다. 제 메일주소는 jspinoza@empal.com이니까
연락주세요. 반갑습니다. :)

김병준 2012-07-22 07: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형 감사합니다. 이메일 드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