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 - 제153회 나오키상 수상작
히가시야마 아키라 지음, 민경욱 옮김 / 해피북스투유 / 2022년 6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책에서의 등장인물 이름 표기가 중국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와 다르다. 현행 중국어 표기법이 실제 중국어 발음과 차이가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우선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인명 표기도 정리해 놓는다. 서평에서의 등장인물 이름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했다.
이 소설은 대만의 근현대사를 소재로 하고 있고 주요 인물들이 대만인이나 중국인이다. 하지만 대만 소설이 아니라 일본 소설이다. 대만인이었던 작가가 다섯 살까지는 대만에서 살다 그 이후로는 쭉 일본에서 살며 활동했기 때문이다. '히가시야마 아키라'라는 일본식 이름도 필명이다. 원래 대만인이었지만 현재는 일본인으로 사는 작가가 일본어로 이 작품을 썼다는 것이 이 소설만의 독특한 성격을 만들어냈다.
광대한 영토에서 장대한 역사를 거쳐와서인지 중국어권 소설들에서는 특유의 호방한 기세가 느껴진다. 워낙 험한 역사를 겪어왔기 때문에 웬만한 일은 눈도 깜빡하지 않고 훌훌 털어버리는 대인의 풍모라고 할까. 그런데 이런 대륙적인 느낌이 가벼운 일본식 문체와 만나면서 무게감이 떨어진다. 번역 후기만 빼도 470여 페이지에 이르는 소설로 적지 않은 분량이다. 단순히 분량만 많은 것이 아니라 서사와 거기에 실린 메시지의 무게가 꽤나 묵직하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묘사도 탄탄한데, 이상하게 가볍고 밀도가 떨어진다. 주인공의 치기 어린 10대와 20대 시절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그때의 감성을 일본 청춘물처럼 그려서일까.
'일본이라는 필터를 거쳤다'는 느낌은 일본식 문체 때문만이 아니다. 작가가 일본인 독자나 평단의 눈치를 본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대만의 근현대사는 백 년이 넘도록 대만을 식민 지배했던 일본과 떼어놓을 수 없는데, 이 책의 주요 독자는 일본인들이다. 그러니 역사 문제에 있어서 작가는 과거의 잘잘못을 분명히 가리기보다는 한 걸음 물러선다.
이 책의 중심 줄기는 주인공이 할아버지를 살해한 범인을 찾아가는 과정인데, 살해 동기는 대만과 중국의 근현대사와 밀접하게 얽혀 있었다. 수십 년 전 할아버지가 처단한 친일파 일가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들이 범인이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이 할아버지의 동지 쉬얼후의 아들이라고 정체를 속이고 할아버지의 양자가 되었다. 그런 뒤 수십 년 동안 원수를 갚을 기회를 노리다 결국 할아버지를 죽였다. 이 충격적인 진실이 드러나는 부분이 이 소설의 클라이막스다. 주인공은 친삼촌처럼 여겼던 사람이 할아버지를 죽인 진범이라는 것에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깊은 배신감을 느끼고, 범인은 원수의 핏줄인 주인공을 죽여야 할지 말지 갈등한다. 결국 가족으로 수십 년을 함께 살면서 쌓아온 사랑 때문에 주인공과 범인은 과거를 덮어두고 서로를 용서한다.
화해와 용서로 끝나는 결말에 감동을 받은 독자도, 평론가도 물론 있을 것이다. 국민당이든 공산당이든 친일파이든 반일파이든 서로 죽고 죽인 건 똑같다, 그럼에도 모든 원한을 끌어안는 사랑이 있었다는 것이 작가가 남기는 메시지일 것이고, 그 점이 일본 독자와 평단의 감동과 호평을 이끌어냈을지 모른다. 하지만 대만이나 중국처럼 일본의 제국주의적 폭력에 피해를 입은 나라 국민의 입장으로서는 찜찜하다. 사실 자신이 놓인 입장에서 선악을 판단할 수밖에 없지만, 그래도 역사에서의 과오와 책임은 확실히 따져야 하지 않겠는가. 소설에서 범인도, 범인처럼 주인공 할아버지의 손에 친일파였던 가족을 잃은 사람들도 자기 가족의 친일 행적은 반성하지 않는다. 범인은 아버지가 일본인인 아내를 사랑해서 버릴 수 없었던 것뿐이라며, 자기 아버지가 친일파로서 동포들과 이웃들을 착취하고 해친 것은 조금도 반성하지 않는다. 자신이 원수를 갚는 과정에서 할아버지의 동지 쉬얼후 일가를 죽인 것에도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가 죽인 사람 중에는 열두 살 어린 소년인 진짜 쉬위원(게다가 범인은 수십 년 동안 자신이 죽인 그의 이름으로 살아왔다)과 그보다 더 어린 여동생들도 았었는데도. 오히려 할아버지가 자기 가족을 죽인 것을 반성하고 후회했을 거라고 말하는 태도는 적반하장이 따로 없다(할아버지는 친일파를 처단한 것에는 한 점 후회도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살생은 살생이니 자신이 그의 손에 죽는 것은 업보라고 생각했겠지). 온 가족을 잃은 원한이 깊겠지만, 자기가 죽인 쉬얼후 일가와 자기 아버지에게 핍박당한 사람들의 원한은 어떻겠는가. '왜 자기들끼리 흘려보내기로 결정하는지 모르겠다'는 어느 한국 독자의 평은 역사에 대한 반성 없이 사랑으로 모든 것을 덮어버리는 결말에 대한 반감을 그대로 드러낸다.
이 소설이 수십 년의 세월과 대만, 중국 본토, 일본 세 나라에 걸친 장대한 서사를 펼치며, 파란만장한 대만 근현대사를 압축하며 평범한 대만 사람들의 생활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중국과 열대 지역을 섞은 듯한 대만만의 독특한 분위기는 텍스트만으로도 느껴진다.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이 상은 심사위원 전원의 만장일치로 나오키상 대상에 선정되고 "몇십 년 만에 한 번 나올 만한 위대한 걸작"이라는 찬사를 들었을 것이다. 일본의 과오는 묻지 않아 일본 독자와 평단은 껄끄럽지 않았겠지만 한국 독자로서는 껄끄럽다. 그리고 주인공이 진범을 알아채는 과정에서의 논리적 비약처럼 설익은 부분도 보인다. 대만에 관심이 많은 독자로서는 대만의 근현대사를 훑어보면서 그 속에서 살아갔던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보는 것은 흥미로웠지만, 나오키상 심사위원들이 보냈던 극찬을 보내기는 힘들다. 대만도 백 년이 넘게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았기에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친일 성향이 강하기는 하지만, 일본어, 일본 문학이라는 필터를 거치지 않은 대만 작가의 작품이었으면 어땠을까 한다.
P. S. 주인공의 친구 자오잔슝이 모시는 조폭 두목 가오잉샹은 대만 사투리(대만에서는 표준 중국어와 대만어를 모두 사용한다)를 쓰는 인물이다. 한국어판에서는 그의 대만 사투리가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사투리가 다 섞여 있는 지역 불명의 사투리로 번역됐다. 베이스는 전라도 사투리인 것 같은데, 번역자가 전라도 사투리로 번역하려 했지만 전라도 사투리에 익숙하지 않아 이렇게 된 것인지, 특정 지역에 대한 비하로 느껴지지 않게 하려고 일부러 여러 지역의 사투리를 뒤섞어 이렇게 된 것인지는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