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운 청년 새끼 - 망가진 나라의 청년 생존썰
최서윤.이진송.김송희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겉표지의 일러스트부터 범상치 않다. 배경의 남산타워를 보아 서울로 추정되는 도심의 한 높은 건물 옥상에서, 한 청년이 뛰어내릴 준비를 하고 있다. 줄도 없는 번지점프로 이 ‘헬조선’을 탈출하려는 것이다. 그림 속 청년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살아가고 있는 많은 청년들이 이렇게라도 절망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을 것이다. 기성세대들은 그들에게 X세대, 88만 원 세대, N포세대라는 이름을 하사하며 그들을 정의하려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쓴 청년들은 청년들이 다른 누군가에 의해 명명되고 정의되는 것을 거부한다. 지금까지 붙여진 온갖 이름들 대신 그저 ‘미운 청년 새끼’라고 스스로를 부른다. 그리고 자신들이 청년세대를 대표한다고 자부하지도 않고, 그저 ‘내’ 이야기일 뿐이고 거기서 우리를 발견한다면 다행일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저자들의 바람대로, 그들의 ‘내’ 이야기는 많은 청년들의 ‘내’ 이야기와 겹쳐지며 우리를 발견하게 한다.
그들의 솔직한 ‘내’ 이야기는 단순히 개인의 푸념에 그치지 않는다. 저자들과 우리는 지금의 한국이라는 같은 사회를 살아가면서 많은 경험을 공유해 왔기 때문이다. 성공한 기성세대들은 자신의 성공 신화를 과시하며, ‘노오력’도 하지 않으면서 불평만 하는 청년들이 한심하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저자들도 우리들도 안다. “좋아하는 일, 꿈이라는 허울을 위해 그 외의 것들을 모두 포기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순간부터 삶은 조금씩 피폐해져 간다는 것을.”(p. 95.) 일상을 포기하고 마른 걸레처럼 자신을 쥐어짜며 온갖 스펙을 쌓아도 “창의성 있으면서도 순종적인 인재”라는 모순된 인재상에 미치지 못해 좌절하고, 겨우 취직을 해도 노동의 대가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며 자신을 소진시키는 삶. 많은 청년들이 이러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청년들의 나약함에 대한 질타로 마무리되는 소위 멘토들의 충고를 듣는 것보다,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며 공감하는 것이 훨씬 더 위로가 된다.
저자들은 또한 청년들 중에서도 여성들이 약자가 된다는 것을 놓치지 않는다. 여성은 아름다워야 하고, 외모지상주의에 반기를 드는 여성들은 못생긴 여성들로 치부된다. 1910년대 모던걸들은 사치와 허영, 성적 방종의 주범으로 지목되었었다. 100년 전부터 차별과 억압은 계속되어, 2010년대의 여성들은 ‘-녀’로 일반화되고 범주화되며 정부가 만든 ‘전국 가임기 여성 분포도’에서 볼 수 있듯이 아이를 생산하는 도구로 치부된다. 같은 청년인 젊은 남성들 중에서도 여성이 자신이 겪은 차별과 폭력을 이야기해도 듣지 않고 여성을 혐오하는 사람들이 있다. 저자들은 청년이자 한 여성으로서 ‘자기답게 살 권리’가 ‘혐오할 권리’를 앞서는 사회를 꿈꾸고, 다른 존재가 나를 규정하고 억압하는 대로 살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저자들의 이러한 소망과 다짐이 실현되길 함께 바라게 된다.
이렇게 청년들은 사방이 둘러싸인 것처럼 갑갑한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그 현실을 이야기하는 저자들의 문체는 유쾌하고 발랄하다. ‘노오력’이 부족하다며 훈계를 늘어놓는 꼰대들, 열정을 착취하는 고용주들, 여성들을 잠재적인 연애 대상, 결혼 대상으로만 보고 평가하는 남자들. 저자들은 청년들의 일상까지 억압하는 모든 것들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팍팍한 삶도 웃음으로 승화시키지만, 삶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들의 본질을 날카롭게 파악한다. 현실을 직시하고 비판하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연대하는 공동체를 꿈꾼다.
누군가에게는 이 책의 솔직한 이야기가 밉고 불편하게 다가올 것이다. 바르고 건실하게 표백된 청년의 이미지만을 진정한 청춘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특히 그럴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누군가가 규정한 청년의 예쁘고 바른 모습을 거부한다. 누구에게도 규정되거나 정의되지 않고, 그저 자신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어떤 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그 이야기가 우리의 이야기가 되고 우리의 목소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