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음 한국사 :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 조선 1 ㅣ 민음 한국사 1
문중양 외 지음, 문사철 엮음 / 민음사 / 2014년 1월
평점 :
1392년 조선이 건국된 이후, 1398년 1차 왕자의 난, 1400년 2차 왕자의 난이 이어지는 등 우리의 15세기는 시작부터 파란만장했다. 피바람을 몰고 온 태종의 왕권 강화 작업 뒤에 온 세종의 치세는 평안했지만, 세종이 승하한 지 불과 3년 뒤인 1453년 수양대군은 계유정난을 일으켜 황보인, 김종서, 안평대군 등 정적들을 몰아내고 실권을 잡는다. 한편으로 15세기는 수백 년 뒤인 현대의 한국인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한글이 만들어지고 과학기술이 발전했으며 조선이라는 나라의 기틀이 잡혀가던 시기이기도 했다. 이 책은 빛과 그림자가 공존하는, 복잡하고도 역동적인 시대였던 우리의 15세기를 정치, 경제, 문화, 과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본다. 또, 세계사라는 더 넓은 맥락에서 우리의 15세기를 살펴보고 있다.
'용의 눈물', '왕과 비', '뿌리 깊은 나무' 등 그 동안 보아 왔던 조선시대 사극 덕분에 조선 초기 정치사의 대강의 흐름은 알고 있었다. 하지만 정확한 인과관계, 세부적인 사실은 잘 몰랐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머릿속에 명쾌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특정한 이데올로기나 이전의 통설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태도로 사료를 꼼꼼히 검토하려는 필자들의 노력 덕분이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60.jpg)
훈구와 사림은 서로 대립 관계에 있었다는 것이 통설이지만, 이 책은 그런 통설에 이의를 제기한다.
그 중에서도 『양문양공 외예보(梁文襄公外裔譜)』라는 족보를 통해 훈구와 사림이 서로 적대적인 정치 세력이었는지를 검토해 보는 내용이 인상 깊다. 이 족보는 세조 때의 대신 문양공 양성지의 외손 계열 후손들만을 모아 놓은 독특한 족보이다. 정조가 규장각을 거쳐 간 관원 중 30명이나 양성지의 외손 계열 후손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것을 기념해 만든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 실린 30명 중에는 세도정치의 발원으로 평가되는 김조순도 들어 있다. 중앙의 대지주 출신인 훈구파와 지방의 중소지주 출신인 사림파가 정치적 갈등을 벌인 끝에, 사림파가 훈구파를 몰아내고 역사의 주인공이 되었다는 것이 이제까지의 통설이다.
하지만 『외예보』에 실린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인물들, 사림의 후예라고 할 수 있는 인물들은 훈구파의 주요 인물인 양성지의 외손들이었다. 기존의 통설에서는 새로운 사회 세력으로 여겨졌던 사림파였지만, 실제로는 사림파 중에서 새로 등장한 가문 출신은 드물었고, 대부분 기존의 주요한 가문 출신이었다고 이 책은 밝힌다. 성종 대 중앙 정치의 새로운 한 축으로 등장했던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통틀어 일컫는 말. 국왕에게 간언하고 모든 관리들을 감찰하는 역할을 했다.)는 현실적이고 보수적인 대신들과 달리 이상과 원칙에 입각한 비타협적인 자세를 견지했다. 하지만 이런 상반된 태도는 훈구와 사림의 대립 때문이라기보다는 각자가 맡은 임무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었다고 이 책은 말한다. 또 성종 대 삼사 출신으로서 주요 관직에 오른 대신들의 수가 많았다는 사실을 통해, 삼사에 근무할 때 탄핵과 간쟁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했던 인물이 대신으로 승진한 후에는 관직에 맞는 현실적인 태도를 나타낼 가능성이 컸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조선의 지배 세력 풀은 우리의 통념보다도 훨씬 더 폐쇄적이고 한정적이었던 것이다. 꼼꼼한 사료 검토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조선 초기 정치사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뒤집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61.jpg)
사극 '뿌리 깊은 나무' 속 세종(한석규)의 모습. 그는 "임금이 태평한 태평성대를 보았느냐? 내 마음은 지옥이기에 그나마 세상이 평온한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고충을 이야기한다.
또한 이 책에서는 국방과 농업, 천문, 예악 등 15세기 조선의 다양한 측면들을 살펴보고 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읽으면서 놀라웠던 것은 세종이 그 다양한 측면 모두에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었다. 한 사람이 그렇게 다양한 분야의 일을 동시에, 그것도 각각 십여 년이 넘도록 준비하고 수행했다. 그런데 그 모든 분야의 일을 훌륭하게 수행했다는 것이 경이로울 정도였다.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 속에서 "임금이 태평한 태평성대를 보았느냐? 내 마음은 지옥이기에 그나마 세상은 평온한 것이다."라며 자신의 고충을 털어놓는 세종의 모습이 현실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세종이 고집했던 한글 표기 방식(받침이 어떻게 발음되든 상관없이 항상 고정된 형태로 표기할 것, 체언이나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어간의 받침으로 고정해 적을 것(예) 숲이( O), 수피(X))이 세종대 당시에는 적용되지 못했지만 현대의 한글 맞춤법의 원칙이 되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여기서 세종의 혜안이 얼마나 놀라운 것이었는지 느끼게 되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62.jpg)
최부의 표류 여정
이 책은 15세기 조선 내부의 역사도 충실하게 전하고 있지만, 거기에서 더 눈을 넓혀 15세기 세계사도 함께 살펴 보고 있다. 이슬람과 유럽 세계가 나침반, 화약, 인쇄술을 바탕으로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가고 있을 때, 거대 제국 원의 부마국으로서 세계와 연결되어 있었던 고려는 조선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세계의 다른 곳에서 일어나는 변화와는 무관하게 농업과 성리학을 근간으로 하는 안정된 국가 체계를 세워가고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표류라는 뜻밖의 어려움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보게 된 사람들도 있었다. 이 책은 제주도에서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표류당해 중국 남부까지 견문하게 된 표류민 최부의 경험을 8페이지에 걸친 부록으로 전하고 있다. 지도와 사진 자료, 도표가 각자의 자리에 짜임새 있게 배치되어, 그의 여정을 시각적으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18세기 왕의 귀환'에 이어 두 번째로 읽는 '민음 한국사' 시리즈였는데 이 책도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중고등학생 때 국사 공부를, 그리고 학부 때 전공 공부를 이 책과 함께 했다면 더 쉽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었다. 학부 전공이 역사였는데도 역사에 대해 모르는 게 너무 많은데, '민음 한국사' 시리즈 나머지 책들도 읽으면서 한국사 통사를 머릿속에 정리하고 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