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모닝 예루살렘
기 들릴 지음, 해바라기 프로젝트 옮김 / 길찾기 / 2012년 7월
평점 :
몇 년 전 예루살렘에 갔을 때 가장 당황스러웠던 것은 내가 상상했던 예루살렘의 모습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었다. 예루살렘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아래 사진처럼 바위돔 사원의 거대한 황금색 돔이 보이는 예루살렘 성의 모습이다. 실제로 예루살렘에 가면 볼 수 있는 풍경이지만, 이 풍경이 예루살렘의 전부는 아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76.jpg)
건너편에서 바라다 본 예루살렘 성벽 안 구시가지. 이슬람의 성지 중 하나인 바위돔 사원의 황금색 돔이 보인다. 성벽 아래에는 수많은 무덤들이 있는데, 유대교의 전승에 따르면 메시아가 오는 날에 성벽 아래 무덤들에 묻힌 사람들이 모두 부활한다고 한다.
내가 묵고 있던 숙소가 있는 동예루살렘의 풍경은 이 두 번째 사진에 더 가까웠다. 이것이 사람들이 익숙하게 아는 예루살렘의 또 다른 모습이다. 다닥다닥 붙은 낡고 허름한 건물들, 길가에 아무렇게나 널린 쓰레기들과 건축자재들. 예루살렘이라기보다는 아랍권 국가의 한 가난한 동네로 보이는 황량한 풍경.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78.jpg)
이 책의 작가 기 들릴도 국경 없는 의사회의 행정직원인 아내를 따라 동예루살렘에 왔을 때, 자신의 상상과는 다른 동예루살렘의 황량한 모습에 놀랐다. 내가, 그리고 그와 그의 가족들이 머물렀던 동예루살렘은 원래 아랍인들의 영역이었지만, 1967년 전쟁으로 이스라엘에 합병된 곳이다. 국제사회에서는 이곳이 팔레스타인의 서안 지구에 속한다고 보고, 이곳의 주민들도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이스라엘에서는 이스라엘 영토라고 주장한다. 가난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사는 황량한 동예루살렘의 모습은, 중동이라기보다는 유럽의 도시처럼 보일 정도로 번화하고 깨끗한 서예루살렘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저자는 1년 동안 예루살렘에 머무르면서 이런 예루살렘의 다양한 모습을 만화로 기록했다. 그 기록이 이 책 『굿모닝 예루살렘』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84.jpg)
분리장벽 앞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주민의 모습. 이처럼 예루살렘에는 억압과 일상이 공존한다.
이 책에서 작가는 예루살렘에서의 일상을 담담하게, 하지만 세밀하게 기록한다. 그가 본 예루살렘은 폭력과 일상이 아무렇지도 않게 공존하는 곳이다. 검문소에서 누군가 돌을 던지자 검문소를 지키던 이스라엘 군인들은 최루탄을 쏘아서 아수라장이 된다. 그 와중에도 빵 장수는 참깨빵을 팔겠다고 군중들 사이를 헤집고 돌아다닌다. 작가는 유대인들의 불법 정착촌에 있는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사려다 '정착촌에서 물건을 사는 것은 이스라엘의 점령을 인정하고 부추기는 행위'라는 국경 없는 의사회 직원의 말을 떠올리고 쇼핑을 포기한다. 그런데 막상 쇼핑을 포기하고 나오니, 정작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그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고 돌아가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정착촌의 유대인 가족은 총을 메고 동물원 나들이를 한다. 너무나 아무렇지 않은 모습으로 폭력과 일상이 공존해 비현실적이기까지 한 예루살렘의 일상을 작가는 유머러스하게 풀어간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8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13/pimg_7978711981906690.jpg)
기 들릴이 작업실로 사용했던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병원 구내의 예수승천교회의 사진(위)과 만화에서 그려진 교회(아래). 그는 이 교회 목사의 양해를 구해 교회 안의 작은 방에서 이 만화를 그렸다.
작가는 예루살렘에서 일어나고 있는 폭력과 억압을 목소리 높여 비난하지 않는다. 그저 폭력과 억압 속에서도 묵묵히 살아가는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보여줄 뿐이다. 그는 그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논평하는 대신, 그곳 사람들이 그런 일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직접 그들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그가 보여주는 예루살렘과 예루살렘 사람들의 모습은 내가 머물고 있을 때와 그렇게 달라지지 않아, 읽으면서 반갑기도 했고 슬프기도 했다. 그는 내가 머물고 있던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병원의 게스트하우스와 같은 구내에 있는 예수승천교회에서 이 만화를 그리고 있었다. 내가 예루살렘을 여행한 뒤 몇 년 뒤의 모습인데도, 만화 속 교회를 포함한 예루살렘 곳곳은 그때와 같은 모습이었다. 분리장벽과 검문소, 정착촌, 그 때문에 고통 받으면서도 아무렇지 않은 듯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도 그때와 같아 나를 슬프게 했다. 내가 예루살렘을 떠난 지 몇 년이 지난 뒤에도 예루살렘은 전과 같은 모습이었고, 그가 예루살렘을 떠난 지 몇 년이 지난 지금도 예루살렘은 전과 같은 모습일 것이다.
지금도 때때로 이 책을 보면서 예루살렘을 기억한다. 머물고 있으면서도 몰랐던 사실들을 알게 되기도 하고, 내가 미처 보지 못했던 부분들을 보게 되기도 한다. 예루살렘에 갔던 사람들에게나 예루살렘에 가지 않았던 사람들에게나, 이 책은 예루살렘과 예루살렘 사람들, 그들이 겪는 폭력과 일상을 기억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가 망각과 무관심에서 벗어나 폭력 속에서도 일상을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을 기억할 때, 예루살렘과 예루살렘 사람들의 현실은 조금씩이라도 변화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