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설 무령왕릉'
-김태식, 메디치


역사에 관심갖고 책읽기를 하던 중 만난 한권의 책이 여전히 내 책장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백제 땅에서 태어나 백제의 숨결을 이어받고자 했던 한 사람에게 참으로 소중하게 다가왔던 책이다. 바로 당시 연합통신 기자 김태식 의 '풍납토성 500년 역사를 깨우다'(2000, 김영사)가 그 책이다.


16년이 지난 후 다시 그 기자의 책 '직설 무령왕릉'으로 다시 만난다. 내겐 풍납토성 관련 그 책으로 인해 기자로 각인되었기에 여전히 기자로 남아있다.


처음엔 몰랐다. 저자 김태식이 그때의 그 기자라는 사실을. 책이 발간되며 이를 먼저 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만나고 나서야 동일인물임을 확인하고 어찌나 반갑던지ᆢ.


'권력은 왜 고고학 발굴에 열광했나'라는 부제가 암시하듯 무령왕릉 발굴 전후의 이야기를 직설적으로 하는 책인 모양이다. 이제 막 손에 들어서 머릿말도 안 읽었다는 말이다. 그러니 이 포스팅은 저자 김태식에 대한 반갑고 고마움에 대한 나만의 표현 방식인 셈이다.


이제, 그 마음 가득안고 드라마틱한 역사 현장의 첫장을 펼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 밤'

비 그치니 초록이 짙다. 밤을 밝히는 가로등 불빛에서도 감나무 새싹이 품고 있는 초록이 확인될 정도로 그 존재를 드러내기에 충분한 때가 된 것이다.

요사이 요란한 밤을 보내느라 늘 시끄러운 호랑지빠귀도 조용하고, 달도 쉬어가려는지 보이지 않는다.

무르익은 봄처럼
버거운 하루를 살아온 밤도 그렇게 여물어가는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금나무'
조그마한 종이 땅의 소리에 귀기울이는 듯 올망졸망 많이도 달렸다. 전하고 싶은게 많다는 것이리라. 붉은 색감도 꽃술도 주목하지 않으면 만나지 못할 귀한 존재들이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하며 주로 산지에서 자라는 작은키나무다. 땔감이 귀한시절 베어다 땔감으로 사용하여 수난을 당했다고도 한다.


꽃은 6∼7월에 연한 붉은빛을 띤 갈색이며 가지끝에 모여 피며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관은 종처럼 생기고 끝이 갈라진다. 열매는 9∼10월에 검은갈색으로 익으며 흰가루로 덮여 있다. 열매는 신맛이 있으며 먹을 수 있다.


가을에 익는 시큼한 맛의 열매는 토종 블루베리라고도 한다. 단풍들 때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잎도 곱다. '추상'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를 가둔다.

생명을 품고 있는 대지 위에 물을 담아 또다른 생명을 꿈꾼다. 본격적인 한해 농사 시작임을 알리는 못자리에 물을 가뒀다.


소금쟁이, 물방개 물 위 아래를 활개치는 때가 된 것이다. 

대지에 비 스미듯 봄은 그렇게 가슴에 담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쪽동백나무"
꼭 한번은 보고 싶었다. 때죽나무 꽃필때면 어김없이 생각나는 나무다. 쪽동백 피었다는 소리를 들으면 열병을 앓듯 가슴앓이를 한다. 이곳엔 없는줄로만 여기고 먼 곳에서 전해지는 소식에 목맨다는 것을 쪽동백 너도 아는 것이리라. 꽃을 보고 잎도 보고 수피까지 만져본다. 나무를 만나는 나의 방식이다. 드디어 첫 눈맞춤 했다.


한국·일본 원산이며 산지의 계곡에서 주로 자라는 잎지는 큰키나무로 줄기가 하나 또는 몇 개씩 올라오며 가지가 옆으로 많이 벌어져 위가 둥글어진다.


꽃은 5~6월에 새로 나는 햇가지에 흰색으로 핀다. 같은 길이로 어긋나게 갈라진 꽃대가 나와 가지 끝에서 모여 핀다. 꽃모양이 비슷한 때죽나무보다 잎이 크고 꽃차례가 길며 꽃이 많이 달린다.


쪽동백나무라는 가지가 쪽쪽 벗겨지고 동백기름처럼 쓴다고 붙여진 이름이며 지방에 따라 정나무, 산아즈까리나무, 개동백나무, 왕때죽나무라고도 한다.


꽃도 곱고 이쁘며 향기까지 좋지만 애써 자신을 드러내지 않음에 '겸손'이라는 꽃말을 붙였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