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길을 걷다 저절로 멈추는 발걸음이다.
나를 불러세워 나누고 싶은 무언가 있어 부르는 것이다.

눈맞춤하는 순간 가슴에 온기가 스며든다.
이 귀한 경험으로 긴ᆢ하루를 위안 삼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 향한 크기로만 본다면 새 것과 묵은 것을 구분하지 못한다. 우쭐해 하는 새 것에게 지나가는 바람이 슬쩍 건들어보며 한마디 건낸다.

"넌 나를 감당하려면 더 익어야되ᆢ알지?"

비람에 맞서 허리가 부러질듯 휘어지는 고비를 몇번이고 겪어야만 알 일이다. 새 것이 감당해야할 시간의 무게를 짐작하며 슬그머니 묵은 것에 기대어 본다.

여름을 맞이하는 마음 단장이 버거운가 보다. 
잔뜩 흐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수국'
짙은 녹음으로 물든 숲이 한순간 환해지는가 싶더니 여기저기 나비가 날아간다. 바람결따라 나풀거리던 나비는 어느사이 꽃과 하나되어 다시 꽃으로 핀다. 그 꽃을 보기 위함이 초여름 숲을 찾는 이유다.


혼자 피어도 그 고고한 기품은 살아있고 무리지어 피어도 그 가치를 나누지 않고 더해간다. 그 꽃무리 속에 서면 나도 한마리 나비가 되는듯 몸도 마음도 가벼워진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골짜기나 돌무더기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낙엽지는 작은키나무다. 산에 난다고 산수국이다.


꽃은 7∼8월에 희고 붉은색이 도는 하늘색으로 가지 끝에 달리며 수술과 암술을 가운데 두고 앞에는 지름 2~3㎝가량의 무성화가 있다.


주변에 양성화가 달리는 탐라산수국, 꽃받침에 톱니가 있는 꽃산수국, 잎이 특히 두꺼운 떡잎산수국 등이 있다는데 산수국으로 통합되었다고 한다.


토양의 상태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것과, 헛꽃이 진짜꽃보다 화려하여 매개체를 유혹하는 것으로부터 연유한 것인지 '변하기 쉬운 마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섬진강의 붉은마음이다.
그대도 보시라ᆢ.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게를 더하던 비 그치고도 남은 아쉬움이 노을로 붉게 여물었다. 그리하고도 못다한 여운은 밤하늘에 별로 빛날 것이다.

그렇게 여름으로 한발 더 다가선 하루는 하늘과 땅 틈으로 저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