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초롱
보기 전에는 실물을 한번 보고 싶고 보고 난 후에는 실체를 봤기에 더 보고 싶은 꽃이 있다. 매년 먼 길을 나서는 이유다.

참 귀한 꽃이다. 다른 나라에는 없는 우리나라 특산종이며 분포지가 한정되어 있고 설악산이나 태백산 등 높은 산에서나 자라니 쉽게 볼 수 없다.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꽃 모양이 청사초롱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특유의 청보라색이 확실하게 마음을 사로잡는다. 못 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본 사람은 없다는 그꽃이다.

귀한 꽃을 벗의 부름에 함께 볼 수 있었다. 초롱불 밝히듯 맑고 밝아 더 따스한 희망을 얻을 수 있길 바란다. 꽃이 전하는 위로가 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眉宇間 隱然帶出澹沱水平遠山氣色 方可與語雅致

미우간 은연대출담타수평원산기색 방가여어아치 이흉중무전벽

얼굴에 은근하게 맑은 물과 먼 산의 기색을 띤 사람과는 더불어 고상하고 우아한 운치를 말할 수 있다.

*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선귤당농소'에 나오는 글이다. '문장의 온도'에서 한정주는 이덕무가 언급한 사람과 같은 사람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 속의 '한스 숄'과 '조피 숄',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테제' 속의 '카를 마르크스', '레닌의 추억' 속의 '블라드미르 레닌', '옥중수고' 속의 '안토니오 그람시', '동지를 위하여' 속의 '네스토 파즈', '아리랑' 속의 '김산',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속의 '신동엽',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속의 '김수영', '어느 청년 노동자의 죽음' 속의 '전태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속의 '윤상원', '나의 칼 나의 피' 속의 '김남주' 가 그들이다."

한울타리 안에 있는 사람들이라고는 할 수 없는 무리들을 본다. 속내는 감춘 채 명분을 앞세우나 이름 걸고 제 뜻을 밝힐 용기도 없다. 자신의 영리추구 이외 그들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버릴 때는 과감히 버려야 한다.

지금이 그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릇
늦여름 더위로 지친 마음에 숲을 찾아가면 의례껏 반기는 식물이 있다. 곧장 하늘로 솟아 올라 오롯이 꽃만 피웠다. 풍성하게 꽃을 달았지만 본성이 여린 것은 그대로 남아 있다. 키가 크면 큰대로 작으면 작은대로 꽃이 주는 곱고 단아함은 그대로다.

연분홍색으로 피는 꽃은 줄기 윗부분에서 꽃방망이 모양으로 뭉쳐서 핀다. 흰꽃을 피우는 것은 흰무릇이라고 한다. 꽃도 꽃대도 여리디여린 느낌이라 만져보기도 주저하게 만든다.

어린잎은 식용으로, 뿌리줄기는 식용이나 약용으로, 비늘줄기와 어린잎을 엿처럼 오랫동안 조려서 먹으며, 뿌리는 구충제로도 사용하는 등 옛사람들의 일상에 요긴한 식물어었다고 한다.

꽃은 '무릇' 이러해야 한다는듯 초록이 물든 풀숲에서 연분홍으로 홀로 빛난다. 여린 꽃대를 올려 풀 속에서 꽃을 피워 빛나는 무릇을 보고 '강한 자제력'이라는 꽃말을 붙였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봉선화

여인의 손톱에 깃든 봉황

詠金城鳳翔花 영금성봉상화

五色雲問紫鳳翎 오색운문자봉령

隨風何日落寒庭 수풍하일락한정

高飛不復翔天仞 고비불복상천인

留作西風一種馨 유작서풍일종형

금성의 봉상화를 읊다

오색구름 사이 날던 자줏빛 봉황 깃털

어느 바람 타고 찬 뜰에 떨어졌는가?

다시는 천 길 위로 높이 날지 못하고

가을바람에 한 송이 꽃향기로 남았네.

-성현, 허백당집 권1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서른 여섯 번째로 등장하는 성현(成俔, 1439~1504)의 시 "詠金城鳳翔花 영금성봉상화"다.

봉선화는 꽃의 생김새가 봉황을 닮아 봉선화라고 부른다. 우리말로 봉숭아라고도 한다. 꽃잎으로 손톱에 물들인다고 해서 '染指甲花 염지갑화', 규중 여인들의 벗이라고 하여 '閨中花 규중화'라고도 한다.

이름이 붙여진 것에서 엿볼 수 있듯 사람들의 일상에 깊숙히 들어와 오랫동안 사랑받던 꽃이다.

조선사람 이옥은 '흰봉선화에 대한 부白鳳仙賦'에서 흰봉선화는 그림의 안료나 술과 음식의 재료, 종기의 치료약 등 다양하게 쓰이는 쓸모가 많은 꽃이라고 했다.

아직도 시골마을을 가더라도 골목길 담장 밑에는 무리지어 핀 봉선화를 볼 수 있다. 손가락에 물들이진 않더라도 여전히 사랑받는 꽃이다.

여름동안 뜰 한구석에 봉선화가 피고 지기를 반복했다. 이미 열매를 달고 익으면 씨앗을 멀리 보낼 준비가 끝난 것도 있다. 내년에도 그자리에서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애기앉은부채

꽃 찾아 다니다 만나는 자연의 신비스러운 것들이 한둘이 아니라는 것을 알지만 이 또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에 하나다. 한동안 눈앞에 어른거리는 것은 당연하고 오랫동안 볼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 크다.

습기 많은 여름에 핀다. 작은 크기로 땅에 붙어 올라와 앉아있는듯 보이며 타원형으로 된 포에 싸여 있는 모습이 이채롭다. 앉은부채라는 가부좌를 틀고 앉은 부처님과 닮아서 ‘앉은부처’라고 부르던 것이 바뀐 것이라고 한다.

애기앉은부채는 앉은부채와 비슷하나 그보다 작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앉은부채는 이른 봄, 눈 속에서도 꽃이 피는 반면 애기앉은부채는 고온다습한 여름이 되어야 꽃이 핀다.

자생지가 많지 않고 더러는 파괴된 곳도 있기에 앞으로 얼마동안 볼 수 있을지 미지수다. 귀함을 알기에 상처를 입기도 하지만 그 귀함을 모르기에 무참히 파괴되기도 한다. 이 자생지가 그렇다.

올해는 매년 보는 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만났다. 환경이 비슷한 것으로 보이나 더 넓게 분포되어 있어서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