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題三十二花帖 제삼십이화첩
 
초목의 꽃, 공작새의 깃, 저녁 하늘의 노을, 아름다운 여인
 
이 네가지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빛깔인데, 그 중에서도 꽃이 색깔로는 제일 다양하다. 미인을 그리는 경우 입술은 붉게, 눈동자는 검게, 두 볼은 발그레하게 그리고나면 그만이고, 저녁 노을을 그릴 때는 붉지도 푸르지도 않게 어둑어둑한 색을 엷게 칠하면 그만이며, 공작새의 깃을 그리는 것도 빛나는 금빛에다 초록색을 군데군데 찍어 놓으면 그뿐이다.
 
꽃을 그릴 적에는 몇가지 색을 써야 하는지 나는 모른다. 김군金君이 그린 서른 두 폭의 꽃 그림은 초목의 꽃을 다 헤아린다면 천이나 백 가운데 한 둘 정도에 불과하지만 오색五色도 다 쓰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공작새의 깃ᆞ저녁노을ᆞ아름다운 여인의 빛깔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아하! 한 채 훌륭한 정자를 지어 미인을 들여앉히고 병에는 공작새 깃을 꽂고 정원에는 화초를 심어두고서, 난간에 기대어 저무는 저녁 노을을 바라보는 이가 세상에 몇이나 될꼬? 하나 미인은 쉬이 늙고 노을은 쉽게 사그라지니, 나는 김군에게서 이 화첩花帖을 빌려 근심을 잊으련다.
 
*조선 후기를 살았던 유득공(柳得恭,1748~1807)의 글이다. 북학파 계열의 실학자로, 정조가 발탁한 네 명의 규장각 초대 검서관 중의 한 사람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김군金君은 박제가의 '꽃에 미친 김군'에 나오는 김군과 동일인인 김덕형으로 본다.
 
오매불망 기다리던 물매화가 피었다. 봄을 대표하는 매화에 견주어 가을을 대표한 꽃으로 꼽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귀한 모습이다. 더욱 봄의 매화는 쉽게 만날 수 있지만 이 물매화는 만나기가 쉽지 않다.
 
이 꽃을 만나면서부터 매년 때를 기다려 눈맞춤하고자 애를 쓴다. 말로 다 할 수 없는 감정을 전하는 꽃의 표정에 넋을 잃고 바라보는 시간이 늘어만 간다. 급기야는 뜰에 들여놓고 말았다.
 
외출하기 전 눈맞춤은 당연하고 돌아와 곁을 떠났던 짧은 시간 동안 변한 모습까지 놓치고 싶지않은 마음이다. 나이들어 무엇을 대하며 이런 마음이 생길 수 있을까. 꽃은 늘 깨어 있는 마음을 불어온다. 애써 찾아 꽃을 보는 이유 중 하나다.
 
꽃을 그린 김군이나 그 그림을 보고 심회를 글로 옮긴 유득공의 마음을 알 것도 같다. 오늘도 저물어가는 시간 이 꽃을 보러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태준 시인은 꽃이 피고 지는 사이를 '한 호흡'이라 부르자고 했다. 이 '한 호흡' 사이에는 중요하지 않은 순간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특정한 때에 주목하여 호불호를 가린다. 찰나와 무한을 포함하는 '한 호흡'에도 주목하는 순간은 있기 마련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고 같은 사람일지라도 처한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이 주목하는 순간이다. 어느 특정한 순간에 주목하여 얻고자 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매번 무엇이 스스로를 멈추고 주목하게 하는지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니 다른 도리가 없다. 그저 마음이 움직이는 순간을 지나치지 않으려 애쓸 뿐이다.

花看半開 酒飮微醉 화간반개 주음미취
此中大有佳趣 차중대유가취
若至爛漫酕醄 약지난만모도
便成惡境矣 변성안경의
履盈滿者 宜思之 이영만자 의사지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조금 취하도록 마시면,
그 가운데에 멋이 있다.
만약 꽃이 만개하고 술에 만취하면
좋지 않은 경지가 되게 되니
가득찬 자리에 오른 사람은
마땅히 이를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오매불망 기다리던 가을꽃의 백미, 물매화가 꽃문을 열기 시작한다. 한동안 곁을 맴돌다 가던 길이지만 다시 돌아서와 이번엔 아애 자리를 잡고 앉았다. 꽃의 무엇이 나를 이토록 붙잡는 이유인지 따져볼 엄두도 내지 못하고 보고 또 보길 반복한다. 떨어지지 않은 발길을 옮기면서 울렁이는 속내를 다독이는 향기에 그저 미소지을 뿐이다.

매년 반복되는 이 일이 조금씩 쌓이다보면 꽃 피고 지는 그 '한 호흡'에 들어선 자신을 만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며 알 수 없는 미소를 지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臨溪驛
得句偶書窓 득구우서창
紙破詩亦破 지파시역파
好詩人必傳 호시인필전
惡詩人必唾 악시인필타
人傳破何傷 인전파하상
人唾破亦可 인타파역가
一笑騎馬歸 일소기마귀
千載誰知我 천재수지아

임계역
떠오른 글귀 써서 서창에 붙이니
종이 찢어지면 시 또한 찢어지리라
좋은 시라면 남들이 반드시 길이 전할 것이고
나쁜 시라면 남들이 꼭 침뱉고 말리라
남들이 전해준다면 시가 찢어진들 속상할 게 없고
남들이 침뱉는 거라면 찢어져도 좋으리
한번 씩 웃고는 말 타고 돌아오나니
오래 세월 지난 뒤 그 시만이 나를 알리라

*조선사람 어세겸(魚世謙 1430~1500)이 정선에서 강릉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임계역에서 하룻밤을 묵으며 지은 시라고 한다.

무슨 감흥이 돋았는지 밤사이 창문에 시를 남겼다. 혹여나 지금 이 심정을 공감하는 이가 있어 후세에 전해진다면 글 속에 묻어둔 자신을 알게 되리라고 소망한다.

그 하룻밤이 가을 어느 때를 건너는 중이었으리라 짐작만 한다. 계절뿐 아니라 삶의 때도 그 언저리 어디쯤은 아니었을까 싶다. 스스로를 다독여야 할 시절인데 소슬한 바람이 부는 가을밤이라면 일어난 감회를 이렇게 다독이지 않았을까.

내달리는 가을에 채찍질이라도 하듯 비가 내렸다. 옷깃을 잘 여며야 하는 것은 드는 바람을 막고자 하는 것보다 나가려는 마음을 다독이는 일이 우선이다.

혼자 마시는 감미로운 차 한잔의 위로가 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至樂 지락
値會心時節 치회심시절
逢會心友生 봉회심우생
作會心言語 작회심언어
讀會心詩文 독회심시문
此至樂而何其至稀也 차지락이하기지희야
一生凡幾許番 일생범기허번

최상의 즐거움
마음에 맞는 시절에 마음에 맞는 친구를 만나고 마음에 맞는 말을 나누고 마음에 맞는 시와 글을 읽는다. 이것이 최상의 즐거움이지만 지극히 드문 일이다. 이런 기회는 인생 동안 다 합해도 몇 번에 불과하다.

*조선사람 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선귤당농소'에 나오는 글이다.

지난 주말 멀리 사는 벗들이 집들이를 핑개로 오랫만에 모였다. 짧은 만남이 주는 긴 여운을 알기에 기꺼이 시간을 낸 것이리라. 벗들의 시간은 무르익어 가며 좋은 향기를 더해간다. 일상이 녹아든 향기는 서로에게 스며들어 닮은꼴을 만들어가고 있다. 투렷한 개성이 돋보이지만 닮아가는 것을 은근히 즐기는 모습이다.

최상의 즐거움이 어디 따로 있을까. '절정의 순간이었다'는 것은 언제나 과거의 일이다. 지나고보니 그렇더라는 것이기에 늘 아쉬움만 남는다. 일상에서 누리는 자잘한 행복의 가치가 얼마나 소중한지 이제는 알기에 지금 이 순간을 놓치지 않으려 한다. 매 순간 누리는 일상의 소소한 행복이 쌓여 그 사람의 삶의 향기를 결정한다.

花樣年華화양연화는 내일의 일이 아니다. 

오늘을 놓치지 말아야 할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간이 멈춘 듯 생각도 멈춰서
되돌아가기에는 너무 늦은 것일까"

딱히 이유를 찾지 못하면서도 끊임없이 중얼거리는 노랫말이 있다. 한 노래의 가사이고 그것도 앞뒤 가사는 잘라먹고 극히 짧은 대목만 무한 반복된다. 이렇게 멜로디와 가사만 떠오를뿐 가수도 제목도 오리무중일 때는 난감하지만 그것에만 집중해도 좋다.

우여곡절 끝에 찾은 마시따밴드의 '나는'이라는 노래의 일부다. 음원을 찾고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듣지만 그 짧은 부분의 가사에 몰입되어 무한 반복적으로 중얼거릴 이유는 결국 알 수가 없다. 읊조리듯 편안한 멜로디에 노랫말 역시 억지를 부리지 않은 편안함으로 가끔 찾아서 듣는 밴드의 노래다.

느긋하게 집을 나서기 전 뜰을 돌아본다. 아침 햇살을 품은 용머리가 서로를 외면하고 등을졌다. 흥미로운 눈맞춤하지만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까지 그대로 있을지는 알지 못한다.

토라져 다문 입술처럼 불편한 속내를 겉으로 드러내고 싶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숨기지도 않은 모습과도 닮았다. 이럴때는 다른 수가 없다. 시간이 빨리 지나가 송곳처럼 뾰쪽한 속내가 누그러뜨려지길 기다리는 수밖에. 


멈춰버린 시간이 무겁다.

하루 연차를 내고 목공실에 왔다. 논 한가운데 있어 주변엔 시들어가는 꽃들 사이로 새롭게 피는 꽃이 제법 있다. 건물 그늘에 앉아 '나는'이라는 노래에 온전히 들어본다.

이 노래를 떠올리는 것이 이제 가을 속으로 들어왔다는 신호다. 얼굴을 스치는 바람이 전하는 말을 듣는다.

https://youtu.be/7m4tUs6jvE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