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사람으로 살고자는 소망에도
목숨을 걸어야만 살 수 있는
이 땅의 모든 평화로운 이들에게 붉은마음을 바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광양시립국악단 제11회 정기연주회


'관현악 연희에 취하다'


2015.11.5. pm 7.30
광양문화예술회관 대극장


*관현악을 위한 '길을 열다' -작곡 김성국
*관현악&광양 '전어뱃노래' -작곡 이화동, 편곡 강종화
*관현악&설장구 '소나기' -작곡 이경섭
*관현악을 위한 '판놀음' -작곡 김성국, 편곡 강종화


ᆞ비나리, 상모돌리기, 판굿 등 대부분의 프로그램 이 풍물을 기초로 하였다.
ᆞ기악, 현악 연주자들이 모두 상모를 돌리고 풍물을 하는 판굿 형식으로 진행된다.
ᆞ'감상'이라는 틀 보다는 '같이 즐기는'무대로 진행된다.


*젊디젊은 연희다. 젊음을 표출하기 위한 처절한 몸짓이다. 그러다 보니 여기 저기 아우성만 남았다. 연희에 주목하다 보니 현악은 맥을 못춘 격이다.


조화 속 공감을 일으키는 매개는 무수히 많다. 그 중 하나가 관객의 호응 아닐까 싶다. 관객의 호응으로만 본다면 대단히 성공적인 공연이다. 연희, 그것이 본래 판 속에서 함께 어우러짐에 있다면 "관현악 연희에 취하다"는 성공적 공연으로 봐도 되지 않을까?


"기악, 현악 연주자들이 모두 상모를 돌리고 풍물을 하는 판굿 형식으로 진행된다."는 기존의 상식을 깨는 실험적 공연은 공연자 스스로 즐기는 공연으로 의미가 있을듯 싶다.


다소 낯선 공연의 모습과 관람석 보다 높은 무대, 무대 위 소리가 관객에 전달되지 못하는 음향장치, 현란한 싸이키 조명 등 다소 어설퍼 보이는 공연이지만 관객의 환호성이 젊은 '광양시립국악단'의 앞날에 커다란 힘으로 작용하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억하는 사람들'


서도역의 가을 - 시월의 노을로 덮다
2015.10.31 오후 3시


열차가 멈추고 떠난 열차와 함께 사람들 기억 속에서도 사라져 가는 곳, '서도역'이다.
최명희의 '혼불'의 배경이 되었던 장소였고, 기차역에 대한 소회를 안고 있던 사람들의 정성으로 보존된 곳이다.


시월의 마지막 날 낮, 이를 기억하고자 사람들이 모였다. 노래하고 시를 읇고 소리를 하며 연주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짙어지는 가을만큼이나 깊어진다.


저물어가는 가을볕에 반짝이는 은행잎과 국화꽃 향기는 사람들이 사라져 이제는 퇴색한 역사의 빈 공간을 채워준다.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어 서도역의 가을은 더 두텁게 쌓여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5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판소리 춤극 "심청이 울었다"


2015.10.30~31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바람 부는 바다, 인당수
북소리는 두리둥 둥둥둥 갈 길 재촉하는데
정화수 떠 놓고 나를 위한 마지막 인사
눈을 감고 치맛자락 무릅쓰고
뱃전으로 우루루ᆢ풍덩!


"심청은 왜 인당수에 자신을 던져 스스로 죽었을까?
심봉사가 뜬 눈이 육신의 눈일까?
뺑덕이네는 또 어떤 사연이 있어서 심봉사의 등을 쳐 먹고 살까?
갖가지 사연을 가진 수많은 봉사들이 맹인잔치에 참석한다.
이 모든 사연을 끌어 안고 심청은 운다."
-지기학 예술감독


"더 이상 메마른 세상이 되지 않기 위해선 울어야 한다. 나를 위해서든 타인을 위해서든 아니면 당신을 위해서든 말이다. 울지 않는 것은 스스로의 나약함과 거짓된 생에서 비롯되는 피상적 일상에 대한 허위를 감추기 위해서 일 뿐이기에."
-무용연출가 이재환


*춤극이다. 대사는 몸짓과 의상, 무대장치에 판소리가 어울어진다. 심청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춤꾼들의 몸짓으로 살아난다.


언어로 전달되는 감정 표현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몸의 언어는 익숙치 않다. 극의 이야기를 따라가기가 만만치 않다는 말이다. 집중된 이미지의 표현에 주목하여 전달되는 극의 효과를 전달받기에 버거웠다. 춤극이기에 몸짓으로 표현되는 감정전달에 집중되는 것은 이해되나 소리 언어인 판소리도 더 많이 활용되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화려하고 현란한 몸짓에 스토리가 묻혀 감동을 이끌어 내는데 무리가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심청이 울었다'는 것은 곧 '울음'에 주목한다는 것인데 울음으로 대치되는 감정의 변화나 심정의 전환이 무엇을 통해 가능할까? 심청이 울어서 달라진 것은 무엇일까? '울음'은 질적변화를 담보한 감정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매개다. 심청의 울음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슴 한켠 쌓인 무게가 해소되는 계기로 작용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제100회 정기연주회


Autumn Breege


2015.10.29 19:30
광주문화예술회관 소극장


보름을 갖지난 달빛이 그윽한 정취를 자아내는 가을밤 국악관현악의 선율과 함께한다. 형식에 치우치지 않은 조그마한 소극장의 공간이기에 연주자와 관객의 긴밀한 호흡에서 오는 공감의 기회다.


Program
*관현악 : Sinfonietta No. 1 - 작곡 신동일
*25현 가약금협주곡 : 새산조 - 작곡 박범훈, 가야금 김한아
*해금협주곡 : 메나리 - 작곡 박경훈, 해금 김민희
*창작판소리 : 노총각 거시기가 - 작사 김은경, 편곡 김만석, 소리 남상일
*창과 관현악 : 장타령 - 편곡 김만석, 소리 남상일
*Odyssey-긴 여행 - 작곡 민영치, 편곡 이고운, 장구 민영치


창작 판소리가 들어가긴 했지만 오롯하게 관현악 중심의 연주회라고 봐도 무방하다. 지역에서 초연되는 세 곡의 관현악과 25현 가야금과 해금 협주곡은 새로운 곡이 주는 신선함에 한층 무르익은 연주자들의 노력이 더해져 가을밤의 정취를 더 깊게 느끼게 해준다.


특히, 해금협주곡의 메나리 연주자 김민희의 구음이 주는 울림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다. 또한, 민영치 작곡의 'Odyssey-긴 여행'은 작곡자의 연주회에 직접 참여로 작곡가의 곡에 대한 자신의 연주 참여가 가져다 주는 기대감이 있더 더 깊은 울림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공연안내**

*제101회 정기연주회
2015.11.26(목) 오후 7시30분 광주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제102회 정기연주회
2015.12.215(화) 오후 7시30분 광주문화예술회관 소극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