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릴만한 고집'
남과 나를 가르는 기준이며 자신으로 살아온 근거다. 꼭 필요하지만 대부분은 자신을 가두는 벽으로 통할 때가 더 많다. 누군가에게 오해받는, 누군가를 곁에 머물도록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슬 머금고 붉은 속내를 드러내고 있는 '송엽국'은 질긴 생명력으로 삶의 터전을 넓혀왔다. 척박한 땅, 매마른 담장 위, 어디든 뿌리 내릴 틈만 있어도 살아남았다. 삶에 대한 고집으로부터 출발한 까닭이다. 그리하여 송엽국은 타인의 시선이 닿는 붉은빛으로 고단함을 위로 받는지도 모른다.

어제의 견디기 힘들었던 아픔은 오늘의 잠시 누리는 조그마한 위안으로 잊혀진다. 그로인해 오늘을 버티고 내일을 맞이할 수 있다. 늘상 같은자리를 멤돌면서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지만 그것도 '부릴만한 고집'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되돌이표를 찍는 일상이지만 그 속에서 내가 나로 그대곁에 머물 수 있는 이유는 '부릴만한 고집'을 부려서이고 그대가 '부릴만한 고집'을 인정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여, 나도 그대의 그 고집을 인정한다. 그대의 '부릴만한 고집'의 의미를 알기에ᆢ.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5 국립민속국악원 절기공연


"겨울, 동지맞이 송년국악잔치"


2015.12.22 화 오후 7시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프로그램
-'쟁이 하늘로 솟다' 중 사물놀이 '판굿'
-'소림' 중 기악합주 '사계절의 노래'
-판소리 춤극 '심청이 울었다' 중
-'판소리 창극 오락가락' 중


*동지의 긴긴 밤만큼이나 객석이 가득찼다. 동지를 기억하는 나이든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한해를 마무리하는 의식을 치루고자하는 마음들이 모인 것이다. 가득찬 객석을 메운 관객들의 세월도 꽉 차 보인다. 가득차서 기쁨과 행복의 감정도 자연스럽게 번진다.


한 해 동안 정성으로 마련해서 무대에 올렸던 작품들 중 선정해서 다시 관객과 만나는 자리다. 무대에 선 사람도 객석의 사람도 즐겁고 기쁜 마음으로 함께 한다. 국악을 중심으로 한 우리 문화의 누림이다. 그 한복판에 국립민속국악원이 있어 행복의 시간이었다. 2016년의 공연도 관심갖고 참여할 것이다. 공연이 끝나고 손에 들린 따뜻한 동지죽만큼 다정하다.


딸아이가 방학으로 집에오면서 국립민속국악원 공연을 접하고 난 후 두번째로 온가족이 함께했다. 짧은 방학이겠지만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시간을 함께 보네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라북도립국악원 
송년국악큰잔치


"천년의 소리를 울리다"


2015.12.17(목) 19:30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프로그램
-창작무용 : 태평화무
-남도잡가 "화초사거리"
-국악관현악단 "몽금포 타령 주제에 의한 향"
-창과 국악관현악 "수궁가 중 "토끼 세상 나오는 대목"
-창작무용 : 천지타풍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 창극단, 관현악단|


2015년 전라북도립국악원의 한해 공연을 마무리하는 자리다. 국악원이 관객과 만나 공감을 일으켰던 무대를 한자리에 모았다. 전통과 현대가 만나 새로운 문화를 만들고 향유하는 자리다.


*춤과 소리 그리고 관현악과 타악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공감의 향연이다. 정성껏 준비한 단원들의 마음이 깃든 공연에 관객의 열열한 호응은 당연한 것이리라.


"춤과 소리 그리고 관현악" 이 만난 이 어울림의 향연은 무대 위의 공연자와 관객이 다르지 않다. 이 마음과 마음이 만나 일으키는 공감은 감동으로 소통된다. 전라북도립국악원이 존재하는 이유와 근거가 여기에 있다고 보인다.


전라북도립국악원의 무용단 공연을 보고나서 전체공연을 꼭 보고 싶은 마음에 먼길 마다않고 찾아간 시간이 헛되지 않았다. 전라북도립국악원의 빛나는 무대와 이를 누릴줄 아는 전북도민이 부럽다. 가까이에 이토록 좋은 공연장이 있고 이를 활용한 무대를 만들고 누릴줄 아는 사람들이 있어 더 빛나는 우리전통문화의 산실이 되리라 믿는다. 일부러 시간을 내서라도 찾아갈 생각이다. 김수현무용단장님 벌써 다음 공연이 기다려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 기획공연-초청 명인 명무전

향연嚮宴
월하보무月下步舞

"시대의 춤을 만나다"

2015.12.15, 19:30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

*프로그랭
-호남한량무
-숨ᆞ산조
-흥푸리
-남무
-입춘
-교태
-호남살풀이
-설장고 춤

|조청명무|
최선, 김매자, 배정혜, 국수호, 문근성
|출연|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


나아감, 멈춤 다시 나아가고 멈춤. 모두가 흐름이다. 이 흐름을 관통하는 것이 호흡이다. 호흡이 달라지면 몸짓이 달라지고 달라진 몸짓은 내용을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춤의 언어는 공감을 불러온다.


호흡에 따른 몸짓의 변화로 춤추는 이의 감정과 의지가 표현되고 이렇게 표현된 몸의 언어는 다시 관객과 향유된다. 이로써 무대 위 춤꾼의 춤은 관객과의 소통 속에서 완성된다.


향연嚮宴 월하보무月下步舞의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의 기획공연 '시대의 춤을 만나다'는 춤꾼과 관객이 그렇게 완성시켰다.


함께한 춤의 명인의 춤사위와 관객의 소통이 돋보이는 공연은 지역속에서 뿌리내린 전북도립국악원의 위상을 알게하기에 충분하다. 이는 수준 높은 관객의 호흥이 있어 한층 빛나는 춤의 세계로의 나들이가 되었다.


이 귀한 시간을 함께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신 김수현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장님께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5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 하반기 정기공연 '2015 本鄕'


'韶林'소림


*프로그램
-기악합주 : '심청전 뱃노래, 신뱃노래'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 연주
-서용석류 해금산조
 해금 김승정ᆞ박선호, 장단 서은기
-서용석류 대금산조
 대금 성수봉, 아쟁 박지용, 장고 김성주
-기악합주 : 사계절의 노래(초연)
 편곡 박지용,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 연주
-태평소와 관현악
 태평소 허진,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 연주


*국립민속국악원의 기악단 하반기 정기공연은 민속악의 대부로 불리우는 고 소림 서용석 명인의 음악을 중심으로 작품을 구성하고 연주를 펼쳤다.


소림 서용석은 대금 명인으로 잘 알려진 선생은 대금뿐 아니라 해금, 가야금, 거문고 등 관ᆞ현악기를 능수능란하게 다루었다고 한다. 또한 작곡에도 능통하여 국악계 팔방미인이셨단다. 오늘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의 연주로 서용석 선생의 음악을 만난다.


올 한해 국립민속국악원의 공연을 빼놓치 않고 보려고 했다. 공연으로 만난 국립민속국악원의 연주와 공연은 빼어난 실력으로 관객과 소통하려는 열정을 만나는 감동의 시간이었다. 접하기 쉽지 않은 국악공연에 대한 갈증해소에 국립민속국악원이 있었다. 먼길 마다않고 달려가는 이유다.


오늘 기악단의 연주는 민속악의 흥으로 이어진 맛과 멋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연주가 전하는 울림은 공연장에만 머무는 것이 아닌 감동으로 가슴에 담겨 차가운 겨울을 온기로 날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다. 새해와 함께 다음 국립민속국악원의 공연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