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우스의 생활은 궁해졌다. 자기의 의복과 시계를 먹는다는 것,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그는 이른바 ‘성난 암소‘라는 그 형언할 수 없는 것을 먹었다. 그것은 실로 무서운 일, 빵 없는 나날, 잠 못 자는 밤, 촛불 없는 저녁, 불 없는 벽난로, 일거리 없는 주간, 희망 없는 장래, 팔꿈치에 구멍난 옷, 처녀들의 웃음을 사는 낡은 모자, 방세를 못 치러 저녁이면 잠겨있는 문, 문지기와 싸구려 식당 주인에게서 받는 모욕, 이웃들의 조롱, 굴욕, 짓밟힌 자존심, 좋든 싫든 해야 하는 일, 혐오, 고초, 낙담, 이러한 것들이 거기에 있었다. - P188

빈궁도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다. 그것은 견딜 만하게 된다. - P191

그것은 마침내 하나의 형태를 취하고 제 모양을 꾸민다. 사람은 근근히 살아간다. 다시 말해서 신통치 못하지만 살아가기에는 충분하게 발전해 간다. - P192

강조하거니와, 빈궁은 그에게 유익했다. 젊었을 때의 가난은 잘만 되면, 모든 의지를 노력 쪽으로 돌려주고 모든 마음을 희망 쪽으로 돌려주는 그런 훌륭한 면을 가지고 있다. 가난은 즉시 물질 생활을 벌거벗겨 그것을 보기 흉하게 만든다. 그로 말미암아 이상적인 삶을 향한, 말로 형언할 수 없는 비약이 이루어진다. 돈 많은 젊은이는 오만 가지 화려하고 육체적인 오락들을 즐긴다. 경마, 사냥, 개들, 담배, 노름, 맛좋은 식사 등등. 영혼의 고결하고 우아한 면을 희생시켜서 하는 영혼의 야비한 면의 일들. - P200

그는 외출할 적에는 꼭 책 한 권을 겨드랑이에 끼고 나갔는데 돌아올 적에는 흔히 두 권이 돼 있었다. - P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녀가 그를 좋아하는 것은 그녀가 그를 만나 보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을 만나 보지 않으면, 그들이 모든 점에서 완전하다고 상상할 수 있게 된다.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자 그는 이때까지 자기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태까지 자기의 조국도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이것도 저것도 알지 못했고, 일종의 고의적인 암흑으로 자기 눈을 덮었다. 그는 이제 보았다. 그리고 그는 한쪽에서는 찬탄하고, 또 한쪽에서는 열애했다. - P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 화폐제도의 특징은 희소성의 독점과 부채에 기초한 국가적 명목화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체제를 무너뜨려야 합니다. - P88

정부가 세금을 수령할 수단으로 무엇을 인정할 것인지를 선택함으로써 사실상 ‘돈‘이 무엇인지를 결정합니다. - P89

예를 들어서, 빚에 기초한 통화시스템은 경제성장을 해야 한다는 압력을 만들어냅니다. 돈을 빌린 사람들이 원금은 물론이고 이자를 갚아야 하기 때문에 추가의 돈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죠. - P90

제가 앞서 지적한 것처럼, 충족되지 않은 필요와 사용되지 않은 자원이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화폐가 고안되어 그 둘을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실험이 필요할 것입니다.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술변화는 유연하고 비표준적 노동의 확산만 가져온 것이 아니라 고용 자체에도 충격을 주고 있다. 자본주의의 장기적인 불황 속에서 반복되는 단기적 성장 국면에서도 고용은 따라 늘지 않는 ‘고용 없는 성장‘이 우리 시대의 특징이다. 이는 최근 인공지능(AI)과 로봇의 발전 속에서 아예 ‘노동 없는 미래‘에 대한 전망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본소득과 같은 것이 필요하다는 게 실리콘밸리의 영재들이 이런저런 방식으로 기본소득에 관심과 지지를 표명하는 이유이다. 일자리가 없는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해 그리고 소비를 통한 자본의 순환을 위해 조건 없는 소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P46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에 더하여 기본소득형 탄소세, 기본소득형 환경오염세, 그리고 후세대들도 누려야 할 자연자원을 고갈시키는 것에 대해서 부과하는 기본소득형 자원고갈세를 실시하면 어떻게 될까? 탄소배출량은 줄어들어 지구온난화는 자연스럽게 감소할 것이고, 자연자원도 더 절약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생태환경의 보존은 획기적으로 나아질 것이다. 즉, 천연물 기본소득은 생태적 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