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아빔, 새로운 단어도 배우고~
『한밤의 왕국』 또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해체와 탈주의 이야기다. 특히 그림책을 통해 상상미술관(musée imaginaire)을 구현한 미술실 장면에서는 아르침볼도, 클림트, 반 고흐, 로댕, 모네와 같은 과거의 작가들은 물론, 마티스, 모란디, 부르주아, 니키 드 생팔, 뱅크시 등 20세기 작가들도 자연스럽게 전시되어 독자들에게 발견의 재미를 선사한다. 팔레트를 들고 그림을 그리고 있는 사람이 비춰진 거울 - 반 에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이나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을 연상시킨다 - 이나 책상 위에 놓인 도화지 속 그림책 장면은 미장아빔(mise-en-abyme)을 통한 메타적인 미술사 해석을 반영한다. - P139
미장아빔은 문학이나 회화에서 예전부터 사용되어온 기법으로, 그림 속에 거울과 같은 액자가 들어있거나 소설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가 펼쳐진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작품 속에 다른 작품이 삽입되어있는 것을 뜻한다. - P140
그림책은 세 번 읽는 책이라고 한다. 어렸을 때, 부모가 되어 아이에게 읽어주면서, 그리고 나이가 들어 인생을 돌아보면서 읽는다는 뜻이다. 필자로 말하자면 아무리 애써도 두 번밖에 못 읽겠다. 어렸을 때 그림책을 읽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 P143
살다가 힘들 때….… 돌아가고 싶은 때, 돌아가고 싶은 곳이 있는데, 엄마와 함께 책을 읽은 시간들이 ‘그때’를 만들어 주신 거예요. 힘들 때 가장 쉽게 스위치오프를 할 수 있는 게 책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독서는 즐겁자고 하는 것인데, 좋아서 읽는 독서의 목표에 가장 가까운 것은 어린 시절의 독서잖아요. 함께 그림책을 읽는 건, 아이에게 앞으로 사는 게 힘들 때어떻게 하면 되는지 그 방법을 알려주신 거예요. - P145
어머니가 읽어주신 그림책은 그림책 내용은 기억나지 않아도, 그 시간의 느낌이 기억납니다. 어머니의 목소리에 집중하고 그림과 글자를 관찰했던 포근한 순간들입니다. 함께하는 시간과 그 순간의 감각이 의미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 P147
어린이 곁에는 감동하는 어른이 있어야겠지요. 감동하는 어른이란 세상을 관찰하며 경직되지 않고 그 경험을 아이와 나누는, 자신을 들여다보며 어린이를 존중하는 어른입니다. - P148
이 모티브는 ‘곤경에 처한 아가씨(damsel in distress)‘ 라고 일컬어지며 서양문화에서 굉장히 오랫동안 되풀이되며 강화되었다. 가장 오래된 원형은 그리스 신화 속에 페르세우스가 안드로메다를 구해내는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 P152
이야기를 빚는 자들이 무엇을 괴물로 만들어 없애려하는지 들여다보면, 이들의 공포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남자를 죽이는 용이 여자라면, 여자가 용과 같은 힘이 있는 존재라는 뜻이다. 놀랍지 않은가. 용을 죽이고 아가씨를 구하는 많은 이야기 속에서 용이나 뱀은 ‘남성의 잣대로 볼 때’ 감당하기 어려운 부정적인 여성성이다. 그래서 죽인다. 그리고 오로지 남자들이 감당할 수 있는 나약한 여성성만 구해내 품에 안는다. 여성이라는 한 존재 내에서 부정적인 여성성을 척살하고, 나약한 여성성만을 걸러내는 취사선택이 이루어진 것이다. - P155
이 이야기에 길들여지며 여성들은 왕자님 혹은 기사가 백마를 타고 나타나 자신의 삶을 극적으로 바꾸어주길 기다리는 존재가 되었다. 이야기는 그래서 힘이 세다. 먼저 이야기 속에서 그런 존재가 되고, 그 다음 현실에서 실제로 그런 존재가 된다. 이야기는 현실을 이렇게 빚는다. 여성은 왕자에게 구원을 받는 아름다운 로맨스에 세뇌되어, 삶의 주체성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 P156
할머니 너무 귀엽다 ㅎ 소피아는 가끔 버릇없고 가끔 애늙은이 같고 ㅎ
"할머니, 모든 게 이렇게 다 괜찮으면 가끔씩은 뒈지게 지루해.""그래?" 할머니가 말하며 담배를 새로 꺼냈다. 열두 개 중 이제야 두 개째를 꺼낸 것이었다. 언제나 남들 모르게 담배를 피우려고 했으니까."아무 일도 안 일어나잖아." 손녀가 말했다. "항로 표지에 기어오르려고 했더니 아빠가 안 된대.""안됐네." 할머니가 말했다."아니야." 소피아가 말했다. "안된 게 아니지. 뒈질 일이지.""뒈진다는 말은 어디서 배웠냐? 아까부터 그 말을 쓰는데.""몰라. 괜찮게 들리잖아.""보라색은 뒈질 색깔이지." 할머니가 말했다. - P54
"사랑은 참 이상해." 소피아가 말했다. "사랑은 줄수록 돌려받지 못해.""정말 그래." 할머니가 말했다. "그럼 어떻게 하지?""계속 사랑해야지." 소피아가 위협하듯이 말했다. "더욱더 많이 사랑해야지."할머니는 한숨을 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 P60
"거봐!" 소피아가 말했다. "다 되잖아! 이제 새 물통을 찾아 줄게!" 하지만 할머니는 낡은 물통이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그리고 행운에게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도 옳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둘은 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천천히 느긋하게 노를 저었다. 집에 왔을 때는 4시가 넘었고, 버섯은 가족 모두가 먹기에 충분했다. - P72
이런 수정이 있었네요!! 우리집 책은 옛날 버전이라 고기가 들어가는 버전.아이들 왈 “만두엔 고기지~!”동심을 잃어버린 것들 ㅎㅎ
‘디지털네이티브‘라는 말이 있다. 우리말로 하면 ‘디지털 원주민’ 정도로 번역된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디지털 환경에 능숙하게 적응하며 살아가는 세대를 일컫는 말이다. - P66
달리 생각해보면 디지털네이티브는 평생을 디지털 환경에서 디지털기술을 소비하고 살아야 하는 디지털자본주의의 종신 소비자를 뜻하는 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 P67
아울러 미국 IT기업의 세계시장 지배는 각 나라의 공공재인 정보통신망을 거의 무상으로 이용하는 특권적 지위로 가능했다. - P68
이러한 디지털자본주의로의 전환은 네트워크의 확장이나 디지털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신자유주의 국가정책과 이에 편승한 디지털자본의 팽창전략에 의해 추동되었다. - P69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감시자본의 고객은 많은 사람들이 흔히 착각하고있는 것처럼 사용자인 우리가 아니다. 우리는 마땅히 우리 자신이 고객의 지위를 누려야 할 것처럼 생각하지만 감시자본의 고객은 따로 존재한다. 즉, 감시자본의 고객은 사용자의 행동잉여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맞춤형 광고를 사가는 광고주이다. 구글은 사용자의 서비스 개선에도 데이터의 일부를 활용하지만 이보다 훨씬 많은 양의 데이터를 광고에 활용한다. 조금 거칠게 표현하면 구글과 같은 감시자본에게 사용자는 행동잉여 데이터라는 원재료를 무상으로 공급해주는 자원일 뿐이다. - P71
우리는 구글에서 자신이 필요한 것을 검색한다 생각하지만, 실상은 역으로 우리가 구글에 의해 검색당하는 것이다. - P72
그런 의미에서 디지털네이티브라는 말은 폐기되어야 한다.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에 능숙한 아이는 없다. 단지 그러기를 바라는 사회와 어른이 있을 뿐이다. 어릴 때부터 그러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싶은 부모가 있을 뿐이다. 기술의 세계와 멀어질수록 인간의 자율성은 커진다는 너무나 간단하고 명확한 이치를 되새길 때다. 매 순간 감시자본주의의 원재료가 되어 소진되는 삶을 스스로 멈춰야 한다. - P77
꽃비 배우님 바이크 뽐뿌질 엄청나다! 바이크의 매력에빨려들듯!
트바움, 트위터를 하고 바이크를 타는 사람 또는 여성. 트바움을 기본형으로 하고 남성임을 강조하고자 하면 트바맨움이라고 부르면 되지. 트바움이라는 단어를 만들고 그 내용을 트위터에 올리자 많은 사람들이 ‘움‘이라는 이름 아래 모였다. 자연스럽게 ‘움‘이라는 표현에 동의하는 사람들, 페미니스트들이 모이게 되었다. - P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