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매년 구매하는 젊은작가상. 작년엔 별로였던 기억이지만 안사면 서운하니 올해도 구매. 독립서점 갈 때 사려고 미뤄두었는데 교보 옆을 지나가다 그냥 구매했다.

<산골 아이> 임길택 선생님 유고 시집 모음집 개정판이다.

<숙영낭자전>과 <연암 산문집> 시리즈 모으는 중이다.

<건강지속력> 보리에서 나오는 스타일의 책이 아닌데 건강관련 책이기에 주문했다.

요즘 책을 많이 못읽고 있다. 집중력, 그나마 없던 집중력도 도둑맞고 있다. 달리기는 꾸준히 하는 중이지만 하프 뛰고 나서는 장거리 달리기도 자주 못하고 있다. 나 뭐하지? 야구와 야구/달리기 유투브 보느라 시간 뺏기고 있나? 유투브 보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 일단 달리러 나가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5-05-18 20: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요즘 5km 달리기도 힘들어요 ㅠㅠ

햇살과함께 2025-05-19 17:57   좋아요 0 | URL
저도 주중에는 3~4키로 겨우 달리네요.
어제 일찍 자서 오늘 아침엔 5키로 달렸습니다!

cyrus 2025-05-19 06: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응원하는 삼성 라이온즈가 추락하는 중이라서 당분간 야구 관심을 접고 책에 집중해야겠어요. ^^;;

햇살과함께 2025-05-19 17:59   좋아요 0 | URL
삼성이 잘 나가다가 요즘 좀 주춤하네요.
그렇지만 게임차가 적어서 2~3경기만 이기면 순위가 쭉쭉 올라가니 반등할 겁니다~
 

11장 혼자 걷는 도시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에 따르면 "도시를 특징짓는 공간구조(근본적으로, 도시의 집약적 구조)는 이동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데 유리하다.
여기서 이동이라는 말은 당연히 공간 이동을 뜻하기도 하지만, 주로 계층 이동을 뜻한다."5길거리 (street)‘라는 단어 그 자체에 초라함, 미천함, 에로스, 위험성, 혁명성을 상기시키는 모종의 거칠고 더러운 힘이 있다. 거리의 남자(man of the streets)는 거리의 규칙을 따르는 남자일 뿐이지만, 거리의 여자(woman of the streets)는 창녀(streetwalker)와 마찬가지로 자기의 섹슈얼리티를 파는 사람이다. 거리의 아이(street kid)는 부랑아, 거지, 가출한 아이를뜻한다. ‘길거리 사람(street person)‘이라는 신조어는 길거리 외에 달리 갈곳이 없는 사람을 뜻한다. ‘거리에 밝다(street-smart)‘는 말은 도시에서의 - P285

생존법칙을 잘 안다는 뜻이다. "거리로(to the streets)"가 도시 내 혁명의 고전적 구호가 된 이유는 사람들은 길거리에서 공적 존재가 되기 때문이요공적 존재가 된 사람들의 권력이 길거리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길거리생활(the street)‘은 모든 사람, 모든 사건이 한데 섞일 수 있는 도시라는 강물의 급한 물살에 휩쓸린 삶을 뜻한다. 길거리에 모든 것을 함께 싣고 흘러가는 강물의 위험과 마력을 동시에 부여하는 것은 바로 이 계층 이동가능성, 즉 구획과 차별의 부재다. - P286

한편 찰스 디킨스의 삶은 런던에서 펼쳐졌다. 오랜 세월 동안 디킨스는 런던을 걸었고, 디킨스의 글은 런던을 걷는다는 것의 의미를 파헤쳤다. 그는 런던의 삶을 노래하는 뛰어난 시인이었고, 그의 몇몇 소설은사람들의 드라마일 뿐 아니라 런던이라는 도시의 드라마이기도 했다. 『우리 둘 다 아는 친구 (Our Mutual Friend)』를 보자. 그저 먼지라고 표현되는것들, 어두운 박제 동물 가게, 부자들의 비싸고 싸늘한 실내장식 등은 각 - P297

각의 장소와 관련된 사람들의 초상화다. 사람이 장소가 되고 장소는 사람이 된다고 할까. 등장인물이 그저 어떤 분위기, 또는 어떤 태도의 화신일 수도 있고, 장소가 어엿한 인격을 풍길 수도 있다. 디킨스에 대한 최고의 평자 중 하나인 G. K. 체스터턴(G. K. Chesterton)에 따르면, "이런 종류의 리얼리즘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몽상에 잠겨서 걸을 때뿐이다. 주변을관찰하면서 걸을 때는 이런 종류의 리얼리즘을 얻을 수 없다." 디킨스의어린 시절과 관련된 유명한 일화 중에 아버지가 채무자 감옥에 갇히고디킨스 자신은 구두약 공장에 보내졌던 일이 있다. 체스터턴은 이렇게 어렸을 때 집을 떠나 낯선 공장에서 일하면서 낯선 숙소에서 지낸 경험, 곧런던이라는 낯선 도시의 낯선 사람들 사이에 덩그러니 놓이게 된 외로운 아이의 경험이 디킨스의 예민한 장소 감각의 원천임을 짚어냈다. "우리 중에 길거리를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길거리로 나설 때도 우리는 낯선 사람의 집이나 방에 들어갈 때처럼 주저한다. 우리 중에 길거리에서 환하게 빛나는 수수께끼를, 길거리밖에는 있을 곳이 없는 낯선 종족(길거리의 여자, 길거리의 아이(street arab), 눈부신 태양 아래서 그 옛날의 비밀들을 수 세대에 걸쳐 간직해오는 유목민 종족)을 간파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밤의 길거리를 이해하는 사람은 더 없다. 밤의 길거리는 문이 잠겨 들어갈 수 없는 거대한 집이다. 그 집에 들어갈 열쇠를 쥐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가 바로 디킨스다. [・・・・・・] 그는 그 집에서 가장 안에 있는 문도 열수 있다. 그 문을 열고 들어가면 비밀의 복도가 나온다. 그 복도의 벽은또 다른 집들로 되어 있고 그 복도의 천장은 반짝이는 별빛들로 되어 있다." 디킨스는 도시에서의 걷기가 어떤 형태로 바뀔 수 있는지를 보여준 최초의 작가 중 하나다. - P298

한편 도시에서 사람이 고독한 이유는 낯선 사람들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낯선 사람들에 둘러싸인 낯선 사람이 되어보는 일, 비밀을 간직한 채로 말없이 걸어가면서스쳐 지나가는 다른 사람들이 간직하고 있을 비밀을 상상하는 일은 더없는 호사 중 하나다. 한 사람의 정체성이 분명하게 정해지지 않은 가능성들 앞에 열려 있다는 것은 도시생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기도 하고, 가족의 기대, 공동체의 기대에서 벗어나게 된 사람들, 하위문화 실험, 정체성 실험을 시도하게 된 사람들에게는 해방적 상태이기도 하다. 아울러관찰자의 상태(냉정한 상태, 대상에 거리를 둔 상태, 예민한 감각을 발휘하는 상태)이기도 하고, 성찰해야 하는 사람, 창작해야 하는 사람에게 유익한 상태이기도 하다. 약간의 우울, 약간의 고독, 약간의 내성은 삶의 가장 세련된 재미에 속한다. - P302

데이비드 보이나로비치의 『칼들과 가까이: 분열의 회고 (Closer to theKnives: A Memoir of Disintegration)』는 그 전까지 나온 모든 도시 경험들의 요약처럼 읽히기도 한다. 그는 드퀸시처럼 도망자이면서 드퀸시의 친구 앤처럼 성매매 아동이었고, 디킨스와 긴즈버그처럼 자기 도시의 분위기와 풍경을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눈부시게 밝은 환각의 소유자였다. 성애, 도취, 불법이 만연한 암흑가라는 비트 세대의 소재를 차용한 작가들은대개 윌리엄 버로스(William Burroughs)의 무도덕 성향, 즉 암흑가의 여파나 정치에 주목하기보다 그 서늘함에 주목하는 성향을 보였다. 반면 보이나로비치는 자기가 도망치는 아이, 게이 남자, 에이즈 환자로서 겪은고통을 야기한 체제에 맹렬한 분노를 표했다.(그리고 1991년에 에이즈로 세상을 떠났다.) 기억, 만남, 꿈, 판타지, 격정을 콜라주하면서 섬뜩한 은유, 고통스러운 이미지를 박아 넣은 그의 글 속에서 보행은 노래의 후렴 같기도하고 음악의 비트 같기도 하다. 그의 글에서는 뉴욕의 어느 길거리나 건물 복도를 혼자 걸어가는 그 자신의 이미지가 거듭 등장한다. 한때 존슨과 새비지가 잘 곳이 없어서 밤새 걸어 다녔듯이, 성매매로 생활하던 시절의 보이나로비치도 같은 이유로 밤새 걸어 다니곤 했다. "어느 날 밤에는 700블록, 800블록을 걸어 다니기도 했다. 우리는 그렇게 맨해튼 섬 전체를 걸어 다닌 셈이었다." - P312

12장 플라뇌르, 또는 도시를 걷는 남자

"풍경화였다가 숙소였다가." 발터 베냐민이 보행자의 파리 경험에 대해 쓴 구절이다. 도시를 연구하고 도시를 거니는 기술을 연구한 뛰어난 학자 중 하나인 베냐민은 파리의 매력에 이끌려 파리의 뒷골목들을 헤매는 신세로 전락한 수많은 사람 중 하나이기도 했다. 파리라는 주제는 1940년에 세상을 떠난 그의 마지막 10년간의 모든 글 속에서 다른모든 주제 위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그가 처음 파리를 여행한 1913년 이후로 그의 파리 여행 기간은 점점 길어졌고, 1920년대 말에 결국 파리로 거처를 옮겼다. 고향 베를린에 대한 글을 쓰면서도 펜 끝은 파리를향해서 걸었다. "도시에서 길을 잘못 찾는 일은 흥미로울 것도 없고 새로울 것도 없다. 길을 잘 모르기만 하면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도시를 헤매는 일, 마치 숲속을 헤매듯 도시를 헤매는 일에 필요한 훈련은 길을 찾는 일에 필요한 훈련과는 전혀 다르다. 도시를 헤매고 돌아다니는 사람이 간판들, 도로의 이름들,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집들, 노점들, 술집들로부터 메시지를 듣는 방식은 숲속을 헤매고 돌아다니는 사람이 자기 발에 밟힌 잔가지로부터, 멀리 어느 황새의 요란한 울음소리로부터, 갑자기 나타난 고요한 빈터에 불쑥 피어 있는 한 떨기 백합으로부터 - P318

그런 도시 탐험 가운데 하나였던 조르주 상드는 남장을 하고 도시 탐험의 대열에 합류했다. "내가 파리의 포장도로 위를 걸어가는 것은 배가 얼음 위를 떠가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가냘픈 구두는 이틀이면 망가졌고, 나막신을 신은 날은 항상 넘어졌고, 치마는 항상 질질끌렸다. 나는 여기저기 진흙이 묻거나 지치거나 감기에 걸렸고, 내 구두와 의상은 [……] 놀라울 정도로 순식간에 해졌다." 남장은 전복적 의미를띠는 사회적 행위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지만, 그녀는 남장을 실용적 행위로 설명했다. 처음 남자 옷을 입어본 그녀는 거동의 자유를 느끼면서그 느낌에 탐닉했다. "새로 생긴 장화는 이루 말할 수 없이 마음에 든다. [……] 작은 뒤축에 쇠를 박아서 발을 보도 위에 단단하게 디딜 수 있었다. 나는 파리를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종횡무진 돌아다녔다. 세계 일주를 떠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내가 입은 옷도 똑같이 튼튼했다. 나는 날씨에상관없이 외출했고, 시간에 상관없이 귀가했고, 극장에 상관없이 바닥좌석(parterre)을 샀다." - P329

같은 글에서 아렌트는 자기도 1960년대에 파리에 산 적이 있다고말했다. "파리에서 외국인이 고향 같은 편안함을 느끼는 이유는 파리라 - P340

는 도시 전체가 내 방 같기 때문이다. 집을 안락한 곳으로 만드는 방법이집을 그저 자고 먹고 일하는 곳으로 사용하는 게 아니라 집에 마음을이고 사는 것이듯, 도시에 마음을 붙이고 사는 방법은 아무 정처 없이, 아무 목적 없이 도시를 마냥 걸어 다니는 것이다. 그러니 파리에서 체류를지탱해주는 것은 무수한 카페들이다. 길거리에는 그런 카페들이 줄지어늘어서 있고, 보행자들은 카페들 앞을 지나가면서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대도시 중에서 걸어서 돌아다닐 수 있는 곳은 이제 파리뿐이고,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사람들로부터 활기를 얻는 도시는 단연 파리다. "내가 1970년대 말에 가출해서 파리로 왔을 때만 해도 (일부 파리 남자들의 하찮은 색욕과 무례를 무시한다면) 파리는 보행자의 천국이었다. 돈 없고 어렸던 나는 어디든 몇 시간씩 걸어 다녔고 박물관에 잘 들락거렸다. (18세 미만은 공짜다.) - P341

드 세르토의 비유는 무시무시한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도시가 보행자들이 발화하는 언어라면, 탈보행 도시는 단순히 침묵에 빠지는 것을 넘어 사어(死), 즉 구어 표현, 농담, 욕설 등이사라지고 형식적 문법만 겨우 남아 있는 언어가 될 위험이 있다. 바일리는 자동차로 질식할 것 같은 파리에 살면서 이 퇴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그의 언어학자적 표현을 빌리면, 도시의 사교적· 창의적 기능을 위협하는 것으로는 "저질 건축이 있고, 영혼 없는 도시계획이 있고, 길이라는 도시 언어의 기본 단위에 대한 무관심, 길을 살아 있게 하는 말의 강물, 끝없이 흐르는 이야기에 대한 무관심이 있다. 길과 도시를 살려두려면 길과 도시의 문법을 이해해야 하고 그 문법을 꽃피우는 새로운 발화를 생성해야 한다."" 바일리에게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보행(그의 표현을 빌리면, 두 다리의 생성 문법)이다. 바일리가 생각하는 파리는 - P344

길거리를 걷는 사람들이 만드는 이야기책 내지 회고록이다. 파리에서 보행자가 없어진다면 그 책은 읽히지 않는 책, 읽을 수 없는 책이 될지도 모른다. - P3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 I try, in the short amount of time I have, to take care of all these things as best I can. And I have to keepup my running to prepare for the NYC Marathon. Evenif there were two of me, I still couldn‘t do all that has tobe done. No matter what, though, I keep up my run-ning. Running every day is a kind of lifeline for me, soI‘m not going to lay off or quit just because I‘m busy. If Iused being busy as an excuse not to run, I‘d never runagain. I have only a few reasons to keep on running, anda truckload of them to quit. All I can do is keep those fewreasons nicely polished. - P73

People sometimes sneer at those who run every day, claiming they‘ll go to any length to live longer. But Idon‘t think that‘s the reason most people run. Most run-ners run not because they want to live longer, butbecause they want to live life to the fullest. If you‘re - P82

going to while away the years, it‘s far better to live them with clear goals and fully alive than in a fog, and I believe running helps you do that. Exerting yourself to the fullest within your individual limits: that‘s the essence of running, and a metaphor for life-and for me, for writing as well. I believe many runners would agree.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장 멋진 신세계로 향하는 체외발생

태아의 안전과 임신한 사람들의 행동을 지나치게 강조하는일은 아이들을 보호하는 일과는 관련이 없다. 만약 관련이 있다면, 여성의 자궁을 ‘통제 가능한 환경‘으로 취급하고 옹호하는 사람들은 국가가 이민자의 아이들을 부모와 떨어지게 하는 일에도반대해야 할 것이다. 또 임신한 여성들과 갓 엄마가 된 사람들을감금하는 일에도 반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임신한 사람의몸을 공공재로 인식하고 재생산을 통제하여 젠더 및 인종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받는 사람들에게 지배력을 행사하려는 것이야말로 이데올로기적 접근 방식일 것이다. 재생산을 통제하기 위한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 수단은 바뀌었지만, 임신 중 무책임한행동 및 부모의 ‘적합성‘에 대한 이른바 국가의 염려는 지금도 일 - P132

부 지속되고 있는 우생학의 인종차별주의 전통이다. 특정 집단의사람들이 미래의 아이들에게 ‘위험하다고 생각될 때 인공자궁기술을 이용하여 임신을 인계받을 수 있다는 생각은 중립적인 프로젝트가 아니다. 이미 알다시피 새로운 프로젝트도 아니다. - P1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장 인공 위탁모

배아에 여느 세포덩어리 이상의 가치가 없다거나 반대로 배아가 신성하다고 모두가 동의한다면 연구의 한계를 설정하는 일은 간단해질 것이다. 하지만 생명의 시작 시점에 대한 문제는 아주 복잡하다. 배아 연구에 대한 규제는 아마 우리가 만드는 법과지침에 감정이 반영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예일지 모른다. 여러분이라면 사람들의 관점이 극단적으로 갈리는 사안을 어떻게 규제하겠는가? (나를 포함하여) 어떤 사람들에게는 배아가 세포덩어리에 지나지 않는다. 임신 초기에 나는 메스껍고 피곤한증상을 느꼈지만, 내 안의 배아가 아기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부터 이 증상에 의미를 부여했다. 배아가처음부터 내 몸이 아닌 배양접시 위에 있었다면 내가 느끼는 감정은 용도에 따라 달랐을 것이다. 그저 연구용이라면 이에 다른생각을 덧붙이지 않았을 것이다. 이 세포 조직은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고 여겼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임신을 시도하려고 기르는 착상용 배아라면 강한 애착을 느꼈을 수도 있다. 불임 때문에어려움을 겪고 기술의 도움을 받으며 부모가 되기 위해 상당한신체적·정서적 난관을 헤쳐나가는 사람들에게는 배아가 아주 중요하다. 실험실에서 배아를 배양하는 과학자들은 이런 세포들을 - P63

연구하는 일이 불임에 대해 더 잘 알고 향후 유산과 선천적인 질병을 예방하는 데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안다.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