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도쿄. 우장춘, 이태규, 리승기

1935년, 우장춘의 논문 <종의 합성>이 발표된다. 다윈의 진화론이 수정되는 엄청난 논문이었다. 그때까지 일반적으 로 알려진 다윈의 이론에 따르면, 이종교배로 만들어진 새로운 종은 생식능력이 없었다. 따라서 학자들은 새로운 종은 동종 교배를 통해 태어난 개체들이 자연선택을 거치며 분화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고 믿고 있었다. 그런데 우장춘은 배추와 양배추라는 서로 다른 종을 교배하는 과정에서 유채 같은 새로운 종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다. 이 를 학계에서는 ‘우의 삼각형(U‘s Triangle)‘이라 부른다. 전문학교 출신인 우장춘은 이 논문으로 도쿄제국대학의 박사 학위를 받게 되며 단숨에 국제적인 명성을 얻는다. - P181

1938년 7월 교토제국대학 조교수로 임용된 리승기는 합성섬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그리고 1939년 드디어 일본 최초의 합성섬유 ‘비날론‘ 개발에 성공했다. 나일론의 대항마로 여겨진 이 섬유로 리승기는 교토제국대학 공학 박사 학위를 받고 순식간에 일본 과학계의 주목을 받는다. 같은 해, 듀퐁은 나일론 스타킹을 출시하며 대박을 터뜨렸다.
한편, 1938년 12월 이태규는 일본과 대결 중인 미국으로 연수를 떠났다. 일본 정부가 국비 지원을 거부한 가운데 이태규는 고집스럽게 아인슈타인이 있던 프린스턴대학으로 갔다. 여기서 그는 양자역학을 화학에 접목한 고분자화학의 대가 아이링 교수의 제자가 된다. - P185

이처럼 태평양전쟁은 합성섬유 전쟁이기도 했고, 그 중심에 교토제국대학의 조선인 과학자 리승기와 고분자화학 이론을 만들던 이태규 그리고 고무를 연구하던 박철재가 있었다. - P187

1940년 함흥. 황진남의 귀국

황진남이 프랑스에서 귀국할 무렵, 과학 교육 등의 애국 계몽 운동이 일시에 무너지는 일이 벌어진다. 이것이 바로 일제가 안창호를 중심으로 엮은 ‘수양동우회 사건‘이다. 수양동우회는 안창호가 미국에서 만든 흥사단의 국내 조직이고, 안창호의 요청으로 이광수 등이 주도한 모임이다. 이들은 무력 투쟁이나 이념보다 교육과 계몽을 강조한 온건파였다. 그러나 일제는 이것마저 두고 보지 않았다.
이 사건에서 안창호가 고문으로 1938년 사망했고, 나머지 대부분은 전향서를 써 살아남았다. 하지만 살아남은 데 그치지 않았다. 전쟁을 찬양하고 적극 지원을 독려한다. 존경받던 지도자 윤치호, 이광수 등의 이런 모습에 모두가 충격을 받았 다. 그나마 소극적인 저항은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것이었다. 최규남은 교단에서 쫓겨나 농사를 지었고, 최규남의 처남 채동선 역시 칩거하고 농사에 몰두했다. - P193

변절은 사회주의자들도 마찬가지였다. 1923년 진주에서 시 작된 형평사 운동은 사회주의 운동과 결합하여 순식간에 전 국으로 퍼졌지만, 이 무렵에는 쇠퇴하고 있었다. 여전히 백정을 천대하던 농민의 반형평사 운동도 있었지만, 형평사 운동 지도부의 노선 분열도 있었다. 일본 유학파 장지필은 사회주의 노선을, 강상호는 민족주의 관점을 유지해 서로 갈라섰고, 이후 강상호는 형평사 운동에서 손을 뗀다. 게다가 1927년 고려혁명당 사건으로 장지필이 구속되고, 1933년 형평청년전위 동맹 사건으로 형평사 지도부가 무너지자 형평사 운동은 급 격히 위축되었다. 이에 장지필은 1935년 형평사를 대동사로 변경하는데, 대동사는 서서히 친일로 돌아서 1938년에는 비행기를 헌납하기에 이른다. - P195

하지만 친일파로 전향한 동지들과 어울리던 이현욱의 불편 했던 속내가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1940년. 임화를 간호하다 결핵에 걸린 그녀는 친정인 마산으로 홀로 내려가 요양하며, 글쓰기에 몰두했다. 글쓰기를 통해, 그녀는 자신을 깊이 성찰한다. 무엇보다 여성으로서의 자아를 조금씩 깨닫기 시작 한다. 1940년 12월, 그녀는 ‘임화의 부인‘이라는 딱지를 떼고 ‘지하련’이라는 필명으로 단편소설 <결별〉을 써서 등단한다. 그리고 변명으로 가득 찼던 동시대 지식인들과 결별 했다. - P199

많은 애국 계몽 단체가 친일로 돌아섰지만 조선어학회가 반일 운동을 유지하게 된 계기 중 하나는 1940년 극적으로 발견된 《훈민정음해례본》이다. 경북 어느 고택 서가에서 발견된 이 책의 존재를 알게 된 간송 전형필은 무려 1만 원이 넘는 거금을 주고 샀다. 당시 서울 시내 기와집을 열 채 살 수 있는 금액이었다.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elling up 눈물이 그렁그렁하다

Scene No. 30
[Monica‘s room / Friends are there]

Ross Well? Isn‘t that amazing?

Joey We‘ve gotta see now?
What are we supposed to be seeing here?

Chan: I think it‘s about to attack the Earth.

Ross Monica, Are you welling up?

Mon: No.

Ross: You are, you‘re welling up.

Mon: I am not!

Ross You‘re gonna be an aunt.

Mon: Oh shut up! - P1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리버 트위스트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51
찰스 디킨스 지음, 이인규 옮김 / 민음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 불쌍하고 불쌍한 올리버. 나약하고 어린 올리버를 유혹하고 옭아매는 악의 힘, 그 사이에서도 질긴 생명력으로 이어가는 삶. 죽음의 고비를 넘긴 올리버에게 또 어떤 일이 펼쳐질지, 출생의 비밀이 어떻게 밝혀질지 2권이 무척 궁금해진다. 소년소녀동화로 읽은 디킨스는 진정한 독서가 아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규남과 도상록

1934년 과학데이. 양자역학의 도입

1935년 조선 전역에 발명 붐이 일어나 ‘과학데이‘를 기점으로 특허 출원이 무려 5배나 증가하게 된다.
다음 해인 1936년 드디어 조선에 양자역학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를 소개한 주인공은 최규남과 도상록이었다. 1923년의 ‘상대성이론‘ 전국 순회강연도 그렇지만, 이 무렵 대중 과학 운동이 보급한 지식의 수준은 꽤 높았다. 그들은 교양 과학 뿐 아니라 당시 최신 과학 이론도 소개한 것이다. - P157

1920년대 상대성이론이 조선을 휩쓸었듯이 조선의 지식인 들은 새로이 떠오르는 양자역학 도입에도 과감했다. 대중 잡 지였던 《별건곤》이 1934년 1월 세계 과학계의 최대 존재는 아 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막스 플랑크의 양자론이라고 소개 한 이래 당시 신문들은 이를 둘러싼 논쟁도 보도했다. 1935년 7월 9일 《동아일보》는 ‘상대성원리의 비약‘에서 아인슈타인이 두 이론의 통합에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이어 10월 4일 ‘양자론에 관한 논쟁‘ 기사에서는 그해 가장 뜨거운 이슈였던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의 논쟁을 비교적 상세히 알렸다. - P160

1938년 1월 4일, 최규남은 ‘첨단 과학: 미래전의 신병기‘라는 장문의 《동아일보》 기고문에서 무인비행기, 즉 드론을 소개하며 미래는 무인 기술이 지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무선 조종을 위한 전자기파 기술의 최신 동향과 여기서 파생된 초기 형태의 레이저도 소개한다. 특히 로켓 발전에 주목하며 3단 로켓이면 달 탐사가 가능하다는 것과 대륙간탄도미사일도 예측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기 불과 1년 전이었다. - P171

두 사람 모두 김용관이 주장한 ‘이화학 연구소‘를 꿈꾸었고, 두 사람 모두 《동아일보>의 ’나의 백일몽‘이라는 코너에 안타까움 을 남겼다. 발명학회가 1934년 ‘과학데이‘를 이끌고, 다시 그 해 여름 과학지식보급회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도, 김용관은 산학협동 기반의 ‘이화학 연구소‘ 설립을 끊임없이 주장했다. 1935년 제2회 과학데이의 대성공으로 그의 주장은 더욱 강해졌지만 과학데이의 성공은 당국의 탄압을 불러왔고, 명망가들의 지원은 소극적으로 바뀌었다. ‘과학데이‘ 운동이 독립 운동임을 간파한 일제는 1937년부터 옥외 집회를 금지하고, 1938년 다섯 번째 ‘과학데이‘를 마친 김용관을 체포하면서 ‘과학지식보급회‘는 해체된다.52 또한 발명학회가 일본발명학 회의 지부로 흡수되면서 과학 대중화 운동은 위축되고 친일화되었다. - P1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도 사례들 - 지참금 살해, 양수천자와 여아낙태, 강간, 공물로서의 결혼지참금, 희생자 이데올로기

5장 여성에 대한 폭력과 계속되는 자본의 원시적 축적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설명의 문제는 이들이 모두, 맑스주의자이아니건 간에 상관없이, 아주 협소한 자본주의적 ‘경제‘ 개념에 기초해있다는 점이다. 이 개념은 가사노동, 출산, 육아를 생산적 노동‘의 범주에서 제외하고, 여성을 소비 단위로 축소시킨다. 이 주장의 핵심에는여성을 ‘비생산적‘이고 의존적인 가정주부로 보는 생각이 자리하고 있다. 지참금 살해, 여아낙태, 강간, 어린 여아에 대한 방치 등 여성에 대한 모든 폭력이 결국은 여성이 경제적으로 ‘비생산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여성은 부담이자 짐이기 때문이라는 이론적 전제로 귀결된다. 이이론에 따르면 반여성적 경향은, 엥겔스의 유명한 말처럼 여성이 사회적 생산으로 다시 진입하게 되면, 즉 여성이 ‘돈 버는 취업을 하게 되면치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논리는 인도만이 아니라 세계 어디나 존재하는 현실을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최소한 여성의 40%가 집 밖에서 사회적으로생산적인‘ 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서구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아내 구타와 여성에 대한 폭력은 모든 계급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취업을 해서 돈을 버는 여성뿐아니라 ‘한낱 가정주부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성에 대한 폭력은 소련에도(Women in Russia, Almanac, 1981 참조), 중국에도(Croll,
1983), 짐바브웨(성매매가 금지된 곳이다), 유고슬라비아 등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들에도 있다. - P339

사실 등가교환의 법칙을 여성노동에 적용해서는 안 된다. 여성노동은 (자본주의적) 경제에서 따로 분리되어 있으며, 은폐되어 있다. 여성은 가정에서, 들판에서, 공장에서 일을 그만둔 적이 없으며, 출산과 육아를 그만둔 적이 없다. 그러나 이 노동을 사회적으로 생산적인 노동으로 더 이상 여기지 않으며, 보이지 않게 만들었다.
따라서 결혼지참금을 여성의 평생 생계비에 대한 보상으로 볼 수는 없다. 여성은 사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일하는 중심 노동력이기 때문이다. 이는 중산층 가정에서도 자주 목도되는 현실이다.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을 자본주의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더 이상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남성이 여성 노동에 의존하는 것이 여성이 ‘부양자‘ 남성에게 의존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을 보게 될 것이다. - P341

결혼지참금은 대도시에서, IAS의 공무원, 의사, 엔지니어, 치과의사, 사업가, ‘진보적인‘ 자본가적 농장경영자 등 가장 선진적인‘ 남성 사이에서 가장 고액가로 관행화되어 있다. 여성에 대한 강간과 성희롱은 인도 농촌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대도시에서 더욱 증가하고 있다. 첨단의 근대 기술은 태아 성별테스트와 여아낙태에 이용되고 있다. 도시의 교육받은 중산층 사이에서 ‘문명화 과정‘을 가로막고 있는것은 ‘인도의 시골이 아니다. 그것은 ‘야만주의의 아버지‘인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문화 그 자체이다. 여성에 대한 잔혹행위는 자본주의와 별개가 아니다. 이는 자본주의의 기본적으로 사납고 약탈적인 특성이 발현된 것이다. 이는 자본주의 역사에서 한시도 사라진 적이 없다. - P345

나는 이런 생각을 받아들이는 입법자와 남성 학자가 자신들이 만든 인류의 캐리커처에 대해 생각해 보았는지 궁금하다. 여성, 남성, 섹스에 대해 공유하는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이런 통속적인신화만은 아니다. 더 결정적인 것은 이런 신화들 대부분이 권위 있는학자와 그들의 이론에 의해 등장하고, 과학적으로 정밀하게 구성되며, ‘증명‘된다는 사실이다. 모든 도서관에는 남성의 성적 욕망은 기본적으로 공격적이며 통제할 수 없고, 여성은 고유의 섹슈얼리티를 갖고 있지않으며, 남성의 공격적인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여성의 생물학적 운명이라는 점을 증명하려는 책들이 가득하다. 이들 학자와 학파 중 가장 유명한 예로 다윈을 들 수 있다. 다윈은 진화의 기초가 되는 것은여성을 성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경쟁에서 남성들이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본능을 통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P349

강간은 동물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인간인 남성이 발명한 것이다. - P350

프로이트에 따르면 여성은 자신의 ‘타고난 여성적 역할을 받아들이는 것을 통해서만, 즉 그녀의 ‘미숙한‘ 음핵(클리토리스) 섹슈얼리티를 포기하고 남성의 성욕을 만족시켜주는 데필수적인 질의 섹슈얼리티로 옮겨가는 것을 통해서만 완전히 성숙한 섹슈얼리티에 이를 수 있다. 프로이트와 같은 권위 있는 학자가 질의 오르가즘이 여성 섹슈얼리티의 ‘성숙한‘ 형태라는 이론을 강화시켰다고 하는 것은 놀랍다. 프로이트는 질에는 신경말단이 없기 때문에 오르가즘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었음에도 그런 이론을 주장했다. 그는 음핵이 여성의 적극적인 성기이며, 따라서 여성은질을 통한 삽입 없이도 오르가즘을 생산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남성 섹슈얼리티에 몰두했던 프로이트는 여성을 불완전하거나 거세당한 남성이고, 음핵은 작은 남근이며, 사회에서 종속적인 역할을 바꾸려는 여성의 시도는 남근선망의 결과라고 규정했다. - P351

공격자들은 종속된 이들이 상황을 자연이 부여한 것으로, 혹은같은 의미지만, 신이 부여한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만들지 않으면, 자신이 정복하고 종속시킨 이들에 대한 통제를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가없다. 남성에 대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창안자들은 여성에 대해서도 그에 어울리는 이데올로기를 창안해 왔다. 이는 영원한 희생자의 이데올로기, 자기희생의 이데올로기(근대 서구적 버전으로는 여성 피학성의 이데올로기)이다. 힌두교와 민간 신앙은 어머니와 빠띠브라따Pativrata 10 역할을 해내는 자기희생적인 여성을 이상화한다. 여성은 고유의 정체성을 갖지 않으며, 다른 이들에게, 주로 남편과 아들에게 봉사하기 위해 태어났다. 여성은 자신의 생명, 자신의 몸, 자신의 섹슈얼리티에 대해 자율성을 갖고 있지 않다. 그녀는 수단이며 대상이지, 주체가 아니다. 사티, 시타 등 자기 희생적인 힌두 종교의 여성들이 지금도 소녀들에게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이들은 교과서, 영화, 소설 등을통해 널리 회자된다. 강간 희생자들이 반격을 하거나 자신을 변호하기보다는, ‘좋은‘ 여성이라는 ‘명예‘가 무너졌다는 이유로 자살을 하는 것이 놀라운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여성이 자신은 약하고, 남성의 보호가 필요하며, 맞서 싸울 수 없고, 혹은 맞서 싸우면 안 된다고 느끼는자기 인식을 갖고 있다. 그런 인식 속에서, 현실에서든 상징적으로든, ‘자기희생‘은 그들이 자신의 인간성을 되찾기 위해 거쳐야 하는 활동이 된다. - P352

여성에 대한 폭력과 강압적인 노동관계를 통해 여성 노동을 갈취하는 것은, 따라서,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부분인 셈이다. 폭력은 자본주의적 축적 과정에 필수적인 것이지, 주변적인 것이 아니다. 자본주의는 그 축적 모델을 유지하기 위해 가부장적 남녀관계를 이용하고, 강화시키고, 심지어 발명해내야 했다. 세계 모든 여성이 ‘자유로운 임금노동자, ‘자유로운 주체가 된다면, 이윤을 착복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게 될 것이다. 이것이 제3세계에서부터 제1세계까지 가정주부, 노동자, 농민, 창녀 등 모든 여성이 공유하는 점이다. - P3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