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정치
후기구조주의 이론
앤드리아 드워킨 <포르노그래피: 여성을 소유하는 남성>
차이 페미니즘
글로리아 안살두아 <국경 지대>
에이드리언 리치
토니 모리슨 <빌러비드>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윅
주디스 버틀러
수전 팔루디 <백래시>
이성애 규범성
퀴어 연구
앤 카슨, 사랑과 상실
도나 헤러웨이

4부. 페미니즘을 다시 쓴 1980년대와 1990년대

주로 보수적이었던 1980년대와 1990년대라는 배경 속에서제2물결 페미니즘의 전개는 어떻게 기술되어야 할까? 따지고보면 물결들이란 각기 다른 속도로 넘실대다가 어쩌다 한 번씩 무리 지어 움직이는 법이다. 20세기가 끝나갈 무렵에 이르 - P339

면 두 가지 접근 방식이 페미니즘적 사고방식을 재형성했다. 하나는 우리가 이번 장에서 논의할 정체성 정치이고 다른 하나는다음 장에서 폭넓게 다루게 되는 후기구조주의 이론이다. 이 두이론의 영향을 받으며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라는 단어가 혹시다양한 배경과 지향을 가진 사람들을 억지로 융합시키는 것은아닌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VOR정체성 정치는 인종적, 민족적, 언어적, 영적 기원의 탐색에전념하는 여성들의 연대를 고취시켰다. - P340

‘남성이 지배하는 문화 속에서 성의 자유라는 것이과연 얼마나 많은 해방을 가져다주었는가.‘ - P342

드워킨은 온갖 형태의 검열에 반대하는 시민 자유론자들에게동조하면서 곧장 "섹스 지지파"로 알려진 페미니스트들과 대립했다. 역사적으로 여성의 성적 쾌락 경험을 금지해온 도덕적 경건함을 경계하던 이 섹스 지지파 페미니스트들은 성 표현이 노골적인 예술과 포르노의 구분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엘런윌리스는 "나를 흥분시키는 것은 에로틱한 것이고 남을 흥분시키는 것은 포르노"라는 것이라며 포르노 반대자들에 대해 빈정거렸다. 드워킨은 이런 입장이 적과의 동업이라고 비난했다. "포르노는 이론이고 강간은 실천"이라는 로빈 모건의 견해에동의했던 것이다. - P343

케이트 밀릿의 『성정치학』에서 영감을 받아 쓴 드워킨의 『포르노그래피 : 여성을 소유하는 남성』(1981)은 포르노산업이 묘사한 여성의 굴욕적 이미지가 여성에게서 인간성을박탈하고 여성에 대한 폭력을 조장했다는 수많은 페미니스트들의 믿음을 반영했다. 드워킨은 외설 잡지와 영화가 남성들에게오늘날 해로운 남성성이라 불리는 특성을 주입했다고 믿었다. - P344

분리주의자들은 프로이트, 특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발현되기 이전 시기에 맺는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둘러싸고 다시 한번 씨름하면서, 자신들의 추측에 대한 증거를 찾아냈다. 예를 들어 도러시 디너스틴은 미소지니가 여성의 임신과 양육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니까 아기가 맨처음 경험하는 타자는 대개 어머니인데, 아이는 자라면서 자신의 불안감과 적대감을 ‘전혀 인간이라고 볼 수 없는‘ 타자인 여성 인물에게 투사시킨다는 것이다. 심리학자 낸시 초도로는가족 로맨스의 또 다른 결과, 즉 남자아이뿐만 아니라 여자아이도 가장 이른 시기에 욕망하는 것이 어머니라는 점에 대해 고찰했다. 여자아이는 여성 인물에게 1차적 애착을 갖기 때문에, 동성애가 그들의 에로틱한 삶의 중요한 요소로 남게 된다는 것이다. 초도로에 따르면 여자아이와 어머니는 상호 동일시를 하는반면, 남자아이는 스스로를 어머니와 반대되는 존재로 규정한 - P345

다. 이런 상호 의존 관계에 에워싸여 성장하는 여성은 유동적인자아 경계선을 습득하는 반면, 자아 경계선이 고정되어 있는 남성은 자기 정체성을 규정함에 있어서 투쟁적인 태도를 취하게된다. 캐럴 길리건은 이 같은 통찰을 윤리학으로까지 확장시켰다. - P346

안살두아는 "젠더만이 유일한 억압은 아니다"라고 선언했다.32 『국경 지대』에는 민족과 지리가 중요하게 등장한다. 그녀는 이 책에서 멕시코계 미국인들의 문화와 멕시코 문화에 대한이해를 높이고 멕시코계 미국/멕시코 문화와 흑인 문화, 북미토착 미국인 문화, 앵글로색슨계 미국인 문화, 그리고 다른 나라 문화와의 소통을 증진하기 위하여 역사, 자서전, 신화를 이용했다. 그녀는 책의 핵심부에서 "메스티사 의식"이라는 역설적사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논했다. 메스티사 의식은 다층적 정체성을 지니고 사는 법을 배워야 하는 국경선 경계 지대의 거주민들이 물려받은 상충하는 충성심에 대한 인식을 말한다. - P351

에이드리언 리치가 20세기 말 미국의 도덕적 타락에 기여한인종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를 가장 선명하게 다룬 시인이었다면, 인종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의 뒤얽힌 영향을 가장 단호하게 다루었던 소설가는 토니 모리슨이다. - P366

"흑인 페미니스트들은 너무나도 익숙한 진퇴양난의 감정을느끼기 시작했다. 우리는 가정 폭력에 반대했던 것인가, 아니면인종차별주의에 반대했던 것인가?"
백인과 흑인의 차이를 감안할 때, "여성의 책임"과 "공모 관계"를 강조하던 모리슨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혹시 인종차별주의 사회에서 흑인 남성이 경험하는 체계적인 모욕과 폭력을 의식하고서, 흑인 여성이 여성운동에서 핵심적인역할, 즉 백인 여성이 모두 긍정하지만은 않겠지만 아무튼 그런역할을 하고 있다는 그녀의 확신을 밝혀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생각이 든다. 그녀는 프랜시스 빌의 통찰을 확장한 셈이었는데, 빌은 1970년의 에세이 「이중의 위험」에서 만일 백인 페미니스트들이 흑인 여성들의 동참을 원한다면 반드시 인종차별주의에맞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벨 훅스가 그녀의 저서 『난 여자가 아닙니까?』 (1981)에서 강조한 것과 같은 주장이었다." 모리슨은 흑인의 권리가 여성의 권리에 종속될 수 없다는 자신의믿음을 절감하도록 독자들을 극단으로 모는 위험을 감수했다. - P376

페미니스트들의 저술 활동에도 변화가생겨난 것이다. 문학 저술활동에서 철학적인 담론으로 이동했다는 뜻이다. 퀴어 이론의 출현은 점점 커지는 학계 내부 페미니스트들과 학계 외부 페미니스트들의 분열의 신호탄이 된 셈이었다. 이 새로운 이론가들이 정체성 정치 옹호자들이 지지하던 사회적 범주들에 균열을 일으키는 중에도 이 같은 현상은 계속됐다. - P3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first day I showed up at school with the hearing aids I thought kids would make a big deal about it. But no one did Summer was glad I could hear better, and Jack said it made melook like an FBI agent or something. But that was it. Mr. Browne asked me about it in English class, but it wasn‘t like, what the heck is that thing on your head?! It was more like, "If youever need me to repeat something, Auggie, make sure you tellme, okay?"
Now that I look back, I don‘t know why I was so stressed about it all this time. Funny how sometimes you worry a lot about something and it turns out to be nothing. - P215

I loved hanging out by the campfire after dark. I loved the bits of fire dust would float up and disappear into the night air. And how the fire lit up people‘s faces. I loved the sound the fire made, too. And how the woods were so dark that you couldn‘t see anything around you, and you‘d look up and see abillion stars in the sky. The sky doesn‘t look like that in NorthRiver Heights. I‘ve seen it look like that in Montauk, though:like someone sprinkled salt on a shiny black table.
I was so tired when I got back to the cabin that I didn‘t needto pull out the book to read. I fell asleep almost as fast as my headhit the pillow. And maybe I dreamed about the stars, I don‘t know. - P258

When we got to the fairgrounds, the sun was just starting to set. It was about seven-thirty. The shadows were really longon the grass, and the clouds were pink and orange. It looked like someone had taken sidewalk chalk and smudged the colorsacross the sky with their fingers. It‘s not that I haven‘t seen nicesunsets before in the city, because I have-slivers of sunsetsbetween buildings-but I wasn‘t used to seeing so much sky inevery direction. Out here in the fairgrounds, I could understand why ancient people used to think the world was flat and the skywas a dome that closed in on top of it. That‘s what it looked likefrom the fairgrounds, in the middle of this huge open field. - P25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곡 2023-12-23 16: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햇살과함께님 크리스마스 연휴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오랜만에 소설 읽기. 무슨 소설을 읽을까 읽지 않은 소설 책장을 살피다가 12월에 읽으려고 했던 마거릿 애트우드의 <도덕적 혼란>을 꺼내다가 하드커버라 지하철에서 읽기 불편하니 포기. 며칠 전 <김겨울의 라디오 북클럽> 팟캐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간 얘기를 들어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으로 정했다. 하루키는 몇 년 전에 <기사단장 죽이기> 읽고 역시 나는 하루키와 안맞아 하고 생각. 20대에 읽은 <상실의 시대>는 나쁘지 않았던 기억(물론 자세한 내용은 기억이...)에 다시 읽어보려고 샀던 <노르웨이의 숲>. 첫 페이지 비행기 ‘금연 사인‘부터 충격. 그땐 그랬지. 아침에 30페이지 읽은 감상. 아 오글거려. 오글거린다. 참고 읽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사의 글에 나온 변진경 기자에 대한 감사 부분을 읽고 이 책이 시사인(과 한겨레21)에 연재된 글임을 알았다.
시사인 구독자여, 그동안 한번도 안 읽었나, 기억을 못하나??

11. 선의만으로 사람을 살릴 수 없을 때

파격적인 소득 보장 정책을 도입하려면 먼저 우리 실정에맞게 각론을 세심하게 설계하고, 핀란드가 했던 것처럼 사회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증명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국민 앞에 내놓고 판단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정책은 의료 시술처럼 이루어져야 합니다. 엄밀한 연구로정확하게 진단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의사가질병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의학적 근거에 따라 처방 및 치료하는 과정 같은 정책이 사람을 살리는 진짜 정책입니다. - P161

12. 안심 소득 혹은 기본 소득이라는 대안

학자로서 저는 같은 재원으로 불평등 개선 효과(부의 재분배 효과)가 월등한 안심 소득을 지지하는 쪽입니다. 기본 소득은 강력한 누진세제를 도입하는 데 따른 국민의 동의가 반드시 있어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소득은 낮은 불평등 개선 효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당분간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 1위의 오명을 쓰고 있습니다. 빈곤 상황이 이만큼 위중하기 때문에 어려운 분들을 우선 집중적으로 도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심 소득과 기본 소득은 모두 실제 현장에서 연구 중입니다. 2023년 7월 처음 지급하기 시작한 안심 소득은 우리나라최초의 사회 실험입니다. 서울시의 지원 가구 중에 무작위로1,300가구를 뽑아 안심 소득을 지원하고, 2,600가구는 기존 방식의 사회복지 혜택을 받게 됩니다. 향후 5년간 시범 사업을지속하면서 그 효과를 연구할 예정입니다. - P172

14. 의사에게도 봉사 정신보다 인생의 성취가 우선이다

즉, 의사들이 스스로 의료 취약 지역에 갈 수 있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근무 환경을 개선해야 합니다. 금전적 인센티브는 기본입니다. 가령, 지방 의료 기관에 가산 수가를 주어 더 많이 보상하는 것이죠. 하지만 단순히 임금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에 더해 이런 의사들이 보람을 찾고, 사회에서 존경받을수 있도록 돕는 비금전적 인센티브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비로소 의료 취약 지역에서 자기 인생의 성취를 이루고자 하는 의사들이 나타날 것입니다. 좋은 정책은 인간 본연의 욕망을 있는 그대로 이용하면서 공공선을 창출해낸다는걸 명심해야 합니다.
2020년 의사들이 파업을 했던 것은 단순히 의사 정원 확대에 반대해서만이 아닙니다. 그 이면에는 장기간 개선되지 않은의료계의 산적한 문제들이 있습니다. 한때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 생활>의 흉부외과 교수 김준완이 40세가 넘어서도 집에 잘 가지 못하는 것은 이미 오래된 현실입니다. - P194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아마티아 센Amartya Sen이 1990년 그의책 《1천만 명도 넘는 여성이 실종되었다More Than 100 Million Women Are Missing》에서 처음 언급한 ‘실종 여성 missing women‘은 실존했어야 할 여아의 예측치와 실제 여아 수의 차이를 말합니다.‘ <17-1>은 지난 수십 년간 실종된 여성의 수인데, 이런 끔찍한 일은 대부분 남아 선호가 뚜렷한 중국과 인도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일어났습니다.
여아가 사라지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초음파로 태아의 성별을 감별한 후 낙태를 선택하거나(성별 선택 낙태), 태어난 여아를 죽이는 것(산후 성별 선택)입니다. 여기서는 후자를 (미필적 고의에 의한) ‘영·유아 살해‘라고 부르겠습니다. 둘 다 죽음의 현장을 쉽게 포착할 수 없으니 그 수는 추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 P225

17. 우아한 정책이 양성평등을 앞당긴다

가령 여아보다 남아에게 사교육비를 10% 정도 더 씁니다. 남아의 엄마는 여아의 엄마보다 노동시간을 더 줄여가며 아이를 돌봅니다. 집안일도 여아가 더 많이 합니다.
부모의 이런 반응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같은 돈과시간을 투자해도 남아가 누리는 미래 소득이 여아보다 크기때문이죠. 그래도 희망적이게 출생 이후 차별은 크게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는 성별 임금 격차가 31.5%로 OECD 회원국 중독보적인 1위입니다(<17-4> 참조). 이는 동종 업계에서 같은일을 하며 생기는 차별이 아닙니다. 남녀의 직업(직군)과 직위차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여성은 임금이 더 많은 의학과나이공계로 진학할 확률이 남성보다 낮습니다.
다행히 직군 차이는 지난 20년 동안 많이 개선됐습니다. 이제 행정고시, 외무고시, 변호사 시험 합격자의 남녀 비율은거의 비슷합니다. 여성 의사 비율도 20년 전에는 약 15%였는데, 현재는 의대 입학생의 30%가 여성입니다. 이공계 여학생의 비율도 30%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 P231

양성평등으로 가는 또 하나의 축은 사회 시스템을 ‘가정‘ 친화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하버드대학교의 저명한 경제학자 클로디아 골딘Claudia Goldin은 많은 정규직 일자리가파트타임이라면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자율출퇴근제도는 가정 친화적인 변화이지요. 또 ‘여성‘에게만 초점을 둔 정책보다 ‘가정‘에 초점을 둔 정책이 좋습니다. 가령 여성의 경력단절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 도입보다는, 출산 · 질병 등 다양한 어려움 때문에 직장을 포기하는 일이 적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여성은 오랜 세월 태어나면서부터 차별을받았습니다. 차별의 역사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여성에 대한 추가적 배려가 필요합니다. 배려하는 방법이 우아하면 남성들도 쉽게 수긍할 것입니다. 더 이상 추가적 배려가 필요 없는 세상도 빨리 오겠지요. - P2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t just feels so weird," I said, "to not have people talking toyou, pretending you don‘t even exist."
Auggie started smiling.
"Ya think?" he said sarcastically. "Welcome to my world!" - P1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