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당사자: 연구자, 피해자, 운동가로서 나

나는 증언자들이 어디에도 말할 수 없는 이야기를 털어놓음으로써 그들의 상처가 조금이라도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그것은나의 자기 중심적 기대였을 뿐 그들은 망각하고 회피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여기서 고통은 신체적 고통(‘아픔‘, pain)과 정신적 고통(‘괴로움‘,
suffering)을 모두 의미한다. 근대 서구 철학에서 고통은 ‘pain‘과
‘suffering‘으로 구분되었고, 의식 작용을 수반하는 정신적 괴로움이 몸의 고통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고통당하는 사람에게 고통은 몸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이고 감정적인 것으로서 이러한 구분은 무의미하다. 그들의 고통은 절대적인 고통이다. 몸에가해지는 아픔의 느낌은 보편적이어서, 우리가 흔히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로할 때 쓰는 ‘생각하기 나름‘이라든가 ‘네가 강하면 이겨낼수 있다‘ 따위의 고통을 상대화하는 언어는 그들의 고통을 치유하는 데 무기력하며 때론 아무 의미가 없다. - P55

재판 이혼 시 남편의 과실(過失)이 많을수록 위자료나 재산 분할에서 아내에게 유리하지만 사례 여성은 소송장에 남편이 딸과 조카, 이웃집 어린이를 성폭행한 사실을 적지 않았다. 그런데 그 이유가 무려 여덟 가지이다. 내용은 남편에 대한 증오, 사랑, 주변 사람에 대한 걱정, 자책감, 실리적 이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여성의 삶의 맥락에서 ①~⑧이 모두 같은 비중은 아닐 것이다. 내가 그녀의 이야기 중 어느 부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무)반응하느냐에 따라, 그녀는 위와 다르게 진술할 수도 있다. 증언자의 이야기는 연구자의 가치 개입, 듣는 사람과 말하는 사람을 둘러싼 정치적상황과 상호 주관성(inter-subjectivity)에 의해 의미 있는 자료로 선택되기도 하고 그냥 버려지기도 한다. - P75

3장 여성의 눈으로 보는 ‘아내 폭력’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모든 여성이 피지배자로서 근본적인공통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여성의 종속이 가부장제가 규정한 남녀 간의 신체적 성차에 근거하기 때문에, 억압의 원인은 여성의 출산과 성행위에 대한 남성의 통제, 곧 여성의 육체에 대한 남성의 통제에 있다고 보았다. 즉, 여성의 몸이 여성 동질성의 최소 단위가 되는 것은 신체 구조가 같기 때문이 아니라 성 차별 사회가 여성의 몸에 부여하는 사회적 평가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의 몸에 대한 - P86

통제는 계급이나 인종에 따른 여성 억압보다 더 근원적인 억압의 형식, 모든 사회적 모순들의 마지막 원인이라는 것이다. - P87

여성 폭력에 대한 급진주의 페미니즘 이론의 가장 핵심적인 통찰은 폭력과 폭력을 통한 위협, 공포는 권력 관계의 부산물이나 이차적인 것이 아니라 위계 관계의 구조적인 토대로서 남성 지배와 여성 종속의 중요한 동인(動因)이라는 것이다. 즉, 남성 폭력은 그 자체로 독립적인 권력의 한 형태이다. - P88

‘아내 폭력‘처럼 남성 중심적(가해자 중심적) 시각이 가시적이고 체계적인 영역도 없다. 사회는 남성의 폭력행동 자체에 대한 정치적인 분석과 비판보다는 남성이 폭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과이유에 초점을 둔다. 남편은 아내를 때릴 수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기 때문에 언제나 ‘아내 폭력‘ 현상은 성(차)별적으로 해석된다. 피해 여성과 가해 남성의 경험이 해석, 재현, 담론화되는 데 이미 그출발선이 다른 것이다. ‘아내 폭력‘은 현재의 가족 제도와 사회 구조를 지탱하고 있는 성별 관계에 의한 여성 문제들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지 않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아내 폭력‘에 대한 질문은 (안때릴 수도 있는데 왜 때리는가‘보다는, ‘아내를 때릴 수 있는 권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로 전환되어야 한다. - P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luto

"Chris, what do you want me to say?" Mom answered. "They‘re our friends. Isabel is my good friend, just like Auggie is your good friend. And when good friends need us, we do what we can to help them, right? We can‘t just be friends when it‘s convenient. Good friendships are worth a little extra effort!"
When I didn‘t say anything, she kissed my hand.
"I promise I‘ll only be a few minutes late," she said.
But she wasn‘t just a few minutes late. She ended up being morethan an hour late.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장 더러움에서 오염까지

3장 더러움에서 오염까지

성스러움의 두 얼굴
성스러움이라는 것, 두 얼굴을 지닌 채 다양한 변이를 이루는 그것은 과연 무엇일까? 성스러움의 한 면은, 살해 행위와 속죄 행위가 그것이 투사하는 모든 종류의 기제들과 강박관념적인 의식들과 더불어 만들어 내는 사회적 관계 자체이다. 다른 한 면은 안쪽의 좀더 내밀하고 눈에 보이지 않으며 드러나지도 않는 곳으로, 고대적 이원론에서 본다면 융합이 가능할 듯하면서도 동시에 위협하는 존재인, 취약성과 불안정한 동일성의 불확실한 공간을 향해 선회하는 부분이다. 그와 같은 성스러움의 내면은 주체/대상의 비분리를 향한다. 언어가 주체/대상의 비분리를 그린다면, 그것은 공포와 혐오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되지 않을까? 방어와 사회화 과정이라는 한 면과 공포와 무관심의 과정이라는 반대면, 프로이트가 종교와 강박신경증 사이의 닮은 점으로 지적한 얼굴은 성스러움의방어적인 얼굴로 간주되어진다. 그와는 다른 주관적인 경제성에 비추어 볼 때, 성스러움의 방어적인 얼굴은 후퇴 없이 접근해야 할신경증으로 향하는 공포증 같은 것이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ule of thumb(눈대중)이 이런 뜻이었어?!!!

머리말_모든 것의 시작

1970년대 미국 사회 운동의 중요한 축이었던 발본적(拔本的), 근본적이라는 의미의 급진주의(radical) 페미니즘은 기존 페미니즘이공적 영역에 한정돼 있다고 비판하면서, 사적인 문제로 여겨지던 성과 사랑, 가족을 정치학으로 이론화했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공권력의 폭력만이 ‘정치적 문제가 아니고, 소위 ‘부부 싸움‘은 대칭적인 싸움이 아니라 일방적인 남성 폭력의 중립적 표현이며, 여성에게는 국가보다 남성과 맺는 ‘사적‘ 관계가 정치와 권력의 근본 문제라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여성들이 당하는 폭력은 거의 파트너

프리모 레비는 평생 ‘경험한 자아‘와 ‘말하는 자아‘ 사이의 간극에 시달렸다. 홀로코스트 피해자가 그 비극을 경험하지 않은 ‘특권‘을 가진 자에게 베풀어야 하는 배려와 관용. 나는 이 부정의를 참을 수 없다. 나는 이것이 우리 사회에서 고통, 폭력, 슬픔이 연구되기 어려운 이유라고 생각한다. 고통은 피할 수 없다. 그러나 고통이 언어화될 때만이 우리는 위로받을 수 있다. 내 고통이 역사의 산물이라는인식만이 우리에게 위안을 준다. 그런 점에서 학문이란 무엇인가, 지식이란 무엇인가에 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싶다.

저는 오늘꽃을 받았어요
- 피해 여성이 피해 여성에게 주는 편지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제 생일도 아니었고 다른 특별한 날도 아니었답니다.
지난밤 우리는 처음으로 말다툼을 했어요.
그가 던진 수많은 잔인한 말들에 저는 정말 가슴이 아팠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그가 미안해하는 것도,
그리고 그가 한 말이 진심이 아니었다는 것도 알아요.
왜냐하면 그가 오늘 제게 꽃을 보냈거든요.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우리의 기념일도 아니었고 다른 특별한 날도 아니었답니다.
지난밤 그는 저를 벽으로 밀어붙이고 목을 조르기 시작했어요.
마치 악몽 같았어요.
현실이라고는 믿을 수 없었죠.
오늘 아침 깨어났을 때 제 몸은 온통 아프고 멍투성이였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그가 틀림없이 미안해할 거라는 걸 알아요.
왜냐하면 그가 오늘 제게 꽃을 보냈거든요.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어머니의 날‘도 아니고 다른 특별한 날도 아니었답니다.
지난밤 그는 저를 또다시 때렸어요.
이제까지 어느 때보다 훨씬 심하게요.
만약에 그를 떠난다면, 저는 어떻게 될까요?
어떻게 제 아이들을 돌보나요? 돈은 어떻게 하고요?
저는 그가 무섭지만 그를 떠나기도 두려워요.
하지만 지금 저는 그가 틀림없이 미안해할 거라는 걸 알아요.
왜냐하면 그가 오늘 제게 꽃을 보냈거든요.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오늘은 아주 특별한 날이었답니다.
제 장례식 날이었거든요.
지난밤 그는 결국 저를 죽였습니다.
죽을 때까지 때려서요.
만약에 그를 떠날 만큼 용기와 힘을 냈다면,
저는 아마 오늘 꽃을 받지는 않았을 거예요.

* 이 시는 가정 폭력 생존자이자 여성운동가인 폴레트 켈리(Paulette Kelly)의 작품이며, 신혜수의 번역문을 다듬어 수정했다.

1장 ‘아내 폭력’, 가부장제의 축도

‘아내 폭력‘이 비정치적 문제라는 전제 아래, 그것이 사회적 이슈여야 하는 이유를 심각성에서 찾고 있다. 폭력 문제를 고려하는 데가장 기본적인 관심사라고 할 수 있는, 여성의 몸이 아프고 고통을 당한다는 여성 개인의 권리 침해에 대한 우려와 문제 의식은 없다. 한국 사회에서 ‘아내 폭력‘은 언제나 아내(여성)에 대한 폭력이아니라 가족에 대한 폭력으로 환원된다. 즉 한국 사회에서는 가정 폭력(domestic violence, family violence)이 원래 의미인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violence in the family)이 아니라 가정에 대한 폭력(violence against family)으로 여겨진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까지 ‘아내 폭력‘에 대한 접근 방식은 주로 ‘폭력으로부터 가정을 보호하자‘
는 가족 유지를 근간으로 한 것이었다. - P28

이러한 시각은 같은 가정내 폭력인 아동 학대를 한 ‘인간‘의 미래를 짓밟는 행동, 노인 학대를 미래의 ‘자신‘을 학대하는 것으로접근하는 것과 확연히 구분된다. 이는 대다수 가정 폭력 연구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인데, 아동/노인 학대는 피해자개인의 권리 침해로 이해되지만, ‘아내 폭력‘은 여성의 인권보다는가족 해체에 대한 우려가 더 우선시된다. 그래서 아동/노인 학대는사회의 즉각적인 개입이 강조되지만 ‘아내 폭력‘은 부부 간의 심리 - P29

적인 문제로 경시되면서 ‘비바람은 집안에 들어가도 법은 집안에 들어갈 수 없다‘15)는 논리가 강조된다. - P30

이처럼 가정 폭력이 왜 근절되지 않을까 하는 문제는 가정 폭력이 왜 근절되어야 할까라는 질문과 맞닿아 있다. 현재 한국 사회의일반적인 통념은 남편의 폭력으로 인해 가족이 파괴되기 때문에 가정 폭력이 나쁘다고 이야기한다. 그런데 조금 생각을 뒤집어보면가족은 무조건 소중하다는 생각, 혹은 어떤 일이 있어도 가족은 해체되면 안 된다는 가족 유지 이데올로기 때문에 그토록 극심한 폭력으로도 (남성 중심적) 가족이 빨리 파괴되지 않는 것이 실은 더 큰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피해 여성들이 가정을 지키기 위해 폭력가정을 떠나지 못해서 가정 폭력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어떤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현재의 가족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사고 방식을피해자, 가해자, 사회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한, 우리가 그토록 지 - P31

켜야 하는 가족이 과연 누구를 위한 가족인가를 새롭게 질문하지않는 한, 가정 폭력은 근절되기 힘들다. - P32

19세기 영국의 관습법 (common law)은 ‘엄지손가락 법칙(rule of thumb)‘이라고 하여 매의 굵기가 남편의 엄지보다 굵지만 않으면아내 구타는 정당하다는 원칙을 발전시켰다. 대략적으로 잰다는 뜻인 영어의 ‘rule of thumb(눈대중)‘이라는 말도 여기서 유래했다.26)18세기 프랑스 법은 구타를 인정하되, 날카롭거나 위협적인 도구의사용은 금지하고 때리고 차거나 뒤에서 누르는 것으로 제한했다고 한다. - P35

리처드 겔즈의 연구에 따르면, 5년간 미국에서 ‘아내 폭력‘으로 사망한 여성의 수는 베트남 전쟁에서 사망한 미국인의 수와 비슷하며 미국의 소아마비 환자 모금 본부(March of Dimes)에 의하면 임신중 남편의 구타가 기형과 유아 사망의 주 원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36) 일본 정부의 조사 결과 기혼 여성의 5퍼센트는 ‘아내 폭력‘으로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고 호소하였다. - P38

한편, 여성의 경험에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는 명명(naming) 작업은 여성주의자에게 딜레마를 안겨준다. 여성학에서 명명은 현상을여성의 입장에서 재구성하는 것과 정치적 지향을 동시에 포함하는(double-edged) 작업이어야 하는데, 아내 폭력 개념은 이 점에서 한계가 있다. 나는 이 글에서 여성이 인간이 아니라 단지 아내로 간주되기 때문에 폭력을 당하는 현실에 대한 분석과 여성의 정체성이 더는 아내로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동시에 하고자 하는데, 아내 폭력 용어는 이러한 관점을 모두 포괄하지 못한다. 즉, 이 개 - P45

념은 아내 폭력이 아내에 대한 폭력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폭력으로 제기되어야 한다는 본 연구의 입장과는 모순되는 것으로, 이 문제에 대한 여성주의 정치학의 대안적 가치를 담고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은 한정적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아내폭력이 아니라 ‘아내 폭력‘으로 표기한다. - P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하는 몸 2권. 1권 만큼 임팩트가 크진 않았지만, 2권의 부제처럼 ‘몸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다(1권의 부제는 몸의 기억과 마주하는 여성들).

생리중단시술도 가능하고, 탐폰도 생리컵도 가능하고, 머리도 밀어보고, 바이크도 타보고, 막춤도 춰보고, 사고도 치고, 늙어가고 배 나온 내 몸도 받아들이며, 작가 요조의 말처럼 말랑말랑하게 늙었으면 좋겠다.

<월경컵 사업가 심윤미의 몸>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망설이지 말고 저지르세요. 제가 저지르는 인생을 47년 살았는데요, 큰 사고는 안 나요. 물론 내가 정말 원하는 일인가, 이것이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일인가, 이런 고민은 충분히 해야겠지만 누군가가 말린다는 이유 때문에 고민하지는 않았으면 좋겠어요. 사고 치세요. 다가오는 해에는 사고친 여성들의 기사가 넘쳐났으면 좋겠습니다. - P313


작가 정지민의 말처럼 내 안에 내재된 ‘한국 남자‘ DNA에 뜨끔하다. 우리집 권력 1순위(비공인?)로 가부장적인 남성처럼 되지 않기 위해 페미니즘을 계속 읽어야 한다.

<작가 정지민의 몸>
저는 결혼하면 남편이 가사를 안 도와주거나 시가가 저를 충분히존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줄 알았어요. 그런데 막상 결혼해서 살아보니까 제 안에 내재된 ‘한국 남자‘ DNA를 발견했어요. 아빠에게 배운 걸 그대로 집에서 하고 있더라고요. 제가 밖에서 일하고 남편이 프리랜서로 집에 있는 상황인 게 큰 이유일 텐데요. 밖에서 일하는 입장이 되니까 저도 별다를 바 없이 다른 남성들처럼 이야기하더라고요. 단순히 여성이라서 페미니스트가 되는 게 아니듯이 자기가 조금더 많은 권력을 누릴 수 있는 자리에서 성찰 없이 행동하면 누구나 다 가부장적인 남성처럼 될 수 있구나 생각했어요.
남편이 전기밥솥에 밥을 넘칠 정도로 해둬요. 밥을 조금만 더 하면 밥솥이 폭발하겠더라고요. 그러다보니까 맛이 없었어요. 한번은 짜증을 냈어요. ˝왜 이렇게 밥을 한 번에 많이 해, 나눠서 하지.˝ 그런데 남편도 집에서 일을 하거든요. ‘나눠서 하면 밥을 너무 자주 해야한다. 나는 한 번에 많이 해놓는 게 좋다‘라고 하더라고요. 저는 순간 ˝우리 엄마는 이렇게 안 했는데, 우리 엄마는 맨날 밥해줬어˝ 라고 이야기했어요.
그 이야기를 하고 남편 얼굴을 봤더니 ‘매우 빡침‘이라고 쓰여 있더라고요. 저한테 ˝네가 한 말을 다시 한번 생각해봐라˝라고 했어요. 그게 결국 남편들이 아내에게 ‘우리 엄마는 이렇게 안 해줬다. 우리 엄마처럼 해달라‘고 하는 말이랑 똑같다는 걸 깨달았어요. 큰 반성을 했죠.- P33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4-01-19 10: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작가 정지민의 말을 읽으며.... 우리 모두, 누군가에게는 큰 빡침의 제공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잠시 숙연해집니다.
햇살과함께님 덕분에 좋은 책을 찾았네요. 함 찾아봐야겠어요!!

햇살과함께 2024-01-19 14:31   좋아요 1 | URL
제 안에 아직 많습니다. 한국 남자, 상남자, 거친 남자, 마초...
2권보다 1권이 더 좋긴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