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파농 <검은 피부, 하얀 가면>
김영우 <제가 해보니 나름 할 만합니다>

2장

공식적인 주권 회복, 즉 제국주의 지배가 끝난 이후에도(한국의 경우는 8.15 광복) 문화적·경제적 지배가 지속되는 상황을지적하고 이에 대한 각성을 주장하는 탈식민주의(후기식민주의)사상은 프란츠 파농에서 시작되었다. 스물여섯에 쓴 파농의 대표작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은 기존의 이론을 응용한, 파급력이 큰 저서라는 점에서 융합을 상징한다. 구조적이든 개인적이든 지배/피지배의 인간관계는 문명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파의 ‘검문‘을 피하지 않고는 지난 세기를 말할 수 없다. 식민주의 심리학의 창시자인 파농은 정신분석학과 정치경제학을결합했다는 점에서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를 사유한남성이었지만, 동시에 그 자신의 이성애자 남성성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파농 이후 흑인 인권 운동과 탈식민주의 사상은 진전을 거듭했다. - P87

파농의 가장 큰 업적은 헤겔과 마르크스로 이어지는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재해석하고 전복한 데 있다. 헤겔 변증법의핵심은 주인과 노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역동적 상호 관계다. 그래서 타인을 억압하는 사람은 자신을 해방시킬 수 없고 노예의 투쟁은 주인을 구원한다. 덕분에 1980년대 한국 사회는 잠시나마 ‘노동자가 투쟁으로 자본가를 해방시킨다‘는 논리가 가능했다. - P88

지금의 자본주의는 파농의 다른 고전 제목대로 우리를 ‘자기 땅에서 유배당한 자‘로 만들었다. 우리는 착취하는 자의 언어로 말하고 그들을 더 걱정한다. - P90

분단(分) 체제의 기반은 이분법이고, 이분법은 문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가장 쉬운 논리다. 말할 것도 없이 한국의 문해력이 낮은 근본 원인은 분단과 식민주의다.
‘건국‘ 이후 지금까지 남한 사회의 문해력은 외부의 기준에 따라 좌우됐다. 반미, 반북, 친일...... 이와 관련한 언설이 그자체로 ‘생명줄‘이거나 ‘반(反)국가‘인 사회에서 어떻게 문해력을 논하겠는가. 국가보안법은 국가가 개인에게 행사하는 폭력이라는 점에서 인간과 지식 모두를 압살해 왔다. 그러나 색깔론도 국가보안법도 여전히 활발히 작동하고 있다. - P94

산업자본주의 시기에는 몸을 써서 노동(공부)을 함으로써 사회 성원권을 인정받았다. 잘하든 못하든 간에 노동은 미덕이었다. 지금은 소비 주체의 시대다. 소비가 곧 노동이다. 온라인 공간에 오래 머물면서 포털 사이트에 자기 시간을 제공하는 소비행위(검색)가 공부가 되었다. 이 대세를 거스를 기력이 있는가. 하향 평준화는 필연이다. ‘긴 글‘이나 조금만 익숙하지 않은 문장에도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근본적으로 문해력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 없는 셈이다. - P96

문해력은 자신의 가치관과 무지에 대한 자기 인식의 문제다. 그러므로 문해력 향상의 첫걸음은 에포케(epoche, 판단 정지)이다. ‘나는 모른다‘는 자세가 공부의 시작이다.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이해력부터 의심해야 한다. 물론 우리 몸에는 이미많은 의미들이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무지하다고 가정하는 데는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다. 공부가 중노동인 이유다.
잠깐의 판단 중지. 그 잠깐의 시간이 얼마나 될지는 모른다. 앎은 자기 진화의 과정이지 시비를 판단하는 행위가 아니다. 지식을 하나의 고정된 정보로 여기는 이들은 타인을 ‘가르치려 들지만, 알아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들은 우리를 ‘가르친다. - P98

동무(同舞)는 독무(獨舞)가 전제되어야 한다. 운이 좋으면 아름다운 결과가 나온다. 많은 이들이 그 어감 때문에 융합이 무언가를 합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융합은 합하는 작업이 아니라 융합하는 개별적 몸들이 접속하는 상태다. 융합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각자의 가치관이 충돌하여 새로운 사유를 만들어내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타인과 충돌할 자기만의 몸이있어야 한다. 이처럼 도반은 믿을 만한, 편한 길동무라기보다는자극과 긴장 관계에 가깝다. - P104

그래서 앎의 궁극적 목적은 배제 없는 ‘온전함(holism)‘이다. 온전함은 경계, 선입견 없이 모든 것을수용하는 자유로운 가능성의 상태를 말한다. 그러려면 일단 우리의 온 몸을 비우는 노력, 적어도 상상이라도 자주 해야 한다. - P108

분과 학문이 아니라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 분류가 융합이다. - P111

하지만 융합은 주체(사람)와 가치관의 문제이다. 1979년, 이화여대에서 출간한 《여성학》은 ‘여성의 정치 참여 형태‘ ‘경제발전과 여성의 지위‘ ‘여성 연구의 인류학적 접근‘ ‘여성 생리와 영향‘ 등 기존 학문과 ‘여성‘을 연결하고 책의 서두에는 ‘여성 해방 운동의 이념‘(정의숙) ‘여성 문제의 본질과 방향‘(윤후정) - P116

‘여성과 사회 구조‘(이효재)를 실었다. 지금 읽어도 융합의 모델로서 손색이 없는 선구적인 시도이다. - P117

공부의 기준이 다양한 사회만이 대안이다. ‘사다리‘가 하나인 것도 문제지만 그 사다리를 우리 스스로절대화하는 것이 더 큰 문제다. 비교적 평등한 사회에서도 학력격차는 있기 마련이다. 그것이 인권 침해, 취업 불평등, 인격 모독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화 만들기가 훨씬 중요하다. - P123

김영우 작가의 책 《제가 해보니 나름 할 만합니다》에는 대한민국 ‘진보적 부모‘의 솔직한 심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자녀가세상에 대한 건강하고 비판적인 시각을 갖춘, ‘그러면서도 좋은 대학에 합격하는 학생이 되길 바란다. 작가는 말한다. "우리는 아이를 다르게 키우고 싶었다. 실은 이런 마음도 욕망의 다른 이름일 것이다. 어쨌든 결론은 알아서 잘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부모가 자기 인생을 살 수 있도록, 은퇴자금을 사교육비로 날리지 않도록, 자녀가 스스로 알아서 공부도 잘하고 인성도 좋고 ‘부모 고마운 줄도 알면‘ 얼마나 좋겠는가. 물론 하늘에서 내려오는 이런 ‘천사‘는 많지 않다. - P1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ross 짜증난, 약간 화가 난
barley 보리

Then, one Saturday morning, I saw Philip and William coming out of the woods with their father, and they were carrying a lovely young deer.
This made me so cross that I started shouting at them. - P3

‘No! No! No!‘ called out Mr and Mrs Gregg, both together. ‘Don‘t shoot! Please don‘t shoot!‘
‘Why not?‘ said one of the ducks. It was the one who wasn‘t holding a gun. ‘You are always shooting at us.‘
‘Oh, but that‘s not the same!‘ said Mr Gregg.
‘We are allowed to shoot ducks!‘
‘Who allows you?" asked the duck.
‘We allow each other,‘ said Mr Gregg.
‘Very nice,‘ said the duck. ‘And now we are going to allow each other to shoot you.‘
(I would have loved to have seen Mr Gregg‘s face just then.)
‘Oh, please!‘ cried Mrs Gregg. ‘My two little children are up here with us! You wouldn‘t shoot my children!‘ - P40

And in the middle of the yard stood Philip and William, with a sack of their father‘s best barley beside them. They were surrounded by ducks, doves, pigeons, sparrows, robins, larks, and many other kinds that I did not know, and the birds were eating the barley that the boys were scattering by the handful.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장 여성과 생물학적 국민 재생산

민족의 조직원리인 ‘한핏줄‘의 중요성은 다양하다. 스위스나 벨기에 같은 몇몇 국가에서는 몇몇 특정 민족 집단들이 ‘국가‘를 구성한다. 미국이나 호주와 같은 정착민 사회에서는 ‘한핏줄‘보다 ‘같은 운명‘common destiny이 ‘국가‘ 구성의 주요 요소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통‘origin과 문화에 있어서 그 바람직한 위계질서가 표면상으로는 아니더라도 암묵적으로 존재하며, 이민 및 출산정책을 포함한 국가 수립과정의 기저를 이룬다(Stasiulis and Yuval-Davis, 1995). 이주자, 이민자, 난민으로서의 여성의 위치는 민족주의 경계 구축에 깊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국가의 차별적 출산정책은 ‘국가‘에 있는 모든 여성들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P60

그럼에도 대리모와 입양은 여성들이 아이를 갖도록 혹은 갖지 못하도록─혹은 특정 성의 아이를 갖도록-장려하는가, 단념시키는가 혹은강요하는가의 문제가 특정 역사적 시기의 민족주의 기획을 구성하는 헤게모니 담론에 달려 있다. 아래 세 가지 주요 담론 가운데 하나정도는 민족주의 인구통제 정책보다 우위에 있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내가 인구의 힘‘이라 한 담론과, 우생학 담론, 맬서스 담론이다. 이 장의 다음 부분에서는 이담론들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정책의 실제 이행과정들이나 이들에대한 여성들의 반응들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은 이 책의 영역 밖이다. - P62

여성들에게 보다 많은 아이를 낳으라는 압력은 또한 국가적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이 될 수도 있다. 일례로, 러시아에서 출산장려정책은 혁명과 내전에 이은 인구고갈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었다(Riley, 1981b: 193; Portuguese, 1996: 48). 이스라엘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출산장려 이데올로기들이 시온주의 정착기획뿐만 아니라 6백만 유태인들이사망했던 나치 홀로코스트 후유증과도 연관이 있었다. 아이가 없다는 것은또는 유태인 공동체 ‘밖‘에서 결혼하고 아이를 갖는 것조차 ‘인구학적 홀로코스트‘에 기여한다고 보았다. 1980년대 초기, 내무성의 한 원로공무원은 합법적 낙태를 고려했던 유태인 여성들에게 낙태된 태아는 살해된 유아라는 흔한 낙태반대 운동의 이미지는 물론이고 나치 집단수용소의 유태어린이 이미지가 등장하는 비디오를 강제로 시청하게 하려고 시도했(으나 다행히 실패했)다(Yuval-Davis, 1989:99).
물론 SS[슈츠스타펠Schutzstaffel, 나치 친위대] 남성들에게 ‘순수 혈통‘의 아리안 여성들과 함께 가능한 한 많은 아이의 부모가 되도록 독려했을때에도 민족을 위해 아이를 키워야 한다는 고도의 여성억압이 생명의 샘Lebensborn 5프로그램과 함께 나치 독일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나치들은 어떤 여성들에게는 아이를 가지라고 강요하면서 동시에 어떤 여성들에게는갖지 말라고 강요하기도 했다. 이는 여성의 국민 재생산에 관한 우생학 담론에서 비롯되었다. "여성을 위해 남성들이 투쟁하는 이유는 오직 가장 건강한 이를 통해 번식시킬 권리 혹은 기회를 얻기 위함이다" (Hitler, MeinKampf. Koonz, 1986: 402 에서 재인용). - P65

유념할 것은 비정부 공식 단체와 비공식 단체, 그리고 (가톨릭 교회와 같은) 종교 집단과 국가 집단 모두가 여성에게 아이를 갖도록 또는 갖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가끔은 강요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팔레스타인 여성들은 민족투쟁을 위해 더 많은 아이를 임신하라는 강한 압력을 받는다. 한팔레스타인 여성이 내게 한 말이다. "우리에게는 싸우다 죽을 아들 하나, 감옥에 갈 아들 하나, 산유국에 가서 돈 벌 아들 하나, 그리고 우리가 늙으면 우리를 보살필 아들 하나가 필요합니다." 보도에 따르면 야세르 아라파트Yasser Arafat는 "열 달마다 팔레스타인인을 한 명씩 더 잉태하는 팔레스타인 여성은・이스라엘을 내부에서 폭파시키겠다고 위협하는 생물학적시한폭탄이다"라고 말했다(Portuguese, 1996:311). - P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sio Trot (Paperback, 미국판) Roald Dahl 대표작시리즈 11
로알드 달 지음, 퀸틴 블레이크 그림 / Puffin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쯤되면 소심한 할아버지의 결혼 사기극?! 남의 거북을 생이별 시키고.. 요즘이라면 나올 수 없는 이야기 아닐지.. 로알드 달도 찝찝했는지 P.S.로 알피가 잘 살고 있다고 알려주고 말이다. 뻔뻔한 동화를 너무 다큐로 받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장 젠더와 국가의 이론 정립

이 책의 목표는 이러한 민족과 민족주의의 젠더적 이해를 위한 분석적인 기획을 도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젠더 관계가 몇 가지 주요한 차원 - P18

의 민족주의 기획에 중대하게 기여한 바를 체계적으로 점검할 것인데, 여기에는 국민 재생산, 민족 문화, 그리고 민족 시민권과 아울러 민족갈등과전쟁이 포함된다. - P19

그러나 공/사의 이분법은 페미니즘을 비롯한 사회과학 문헌에서 여성을 남성의 정반대 극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이분법들 가운데 단지 하나일뿐이다. 그 밖에 자연/문명의 구분도 있다. 여성과 자연의 동일시는 ‘문명‘화된 공적 정치 영역에서 여성을 배제하기 위한 명분이었을 뿐만 아니라어느 문화에서나 남성보다 여성이 사회적으로 가치가 덜하다는 사실을 설명하기도 했다.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인간/남성man이 동물보다 우위에 있는 이유는 생명을 제공하기 때문이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류를 지배하는 것은 출산하는성이 아닌 살해하는 성이다. (Harding, 1986: 148에서 인용) - P23

젠더는 ‘실제‘ 사회적 남녀 차이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젠더는 이들의사회적 역할들이 인종 및 민족 집합체에서 이들이 갖는 경제적 위치나 구성원권과는 정반대로, 이들의 성차나 생물학적 차이에 따라 정의되는 일단의 주체들과 관련된 담론의 양식이다. 성차 역시 담론 양식으로 이해해야한다. 담론을 통해 일단의 사회적 주체들은 상이한 성적/생물학적 구성물을 지닌다고 정의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젠더‘와 ‘성‘ 모두 담론 양식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다만 그 사안이 다를 뿐이다.
‘성‘과 ‘젠더‘ 모두에 대해 이들이 담론을 통해 의미를 구성한다는 주장과 비자연적이고 비본질주의적 성격을 갖는다는 주장으로 인해 성과 젠더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그러나 비영어권 국가에서 페미니즘 정치에 관여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곳 페미니스트들의 최우선적인 그리고 가장시급한 과제 가운데 하나가 그 지역 언어로 ‘젠더‘에 해당하는 단어를 ‘발명해 내는 것임을 알 것이다. ‘성‘ 담론과 ‘젠더‘ 담론을 구분하지 않는 한, 생물학은 그 사회의 도덕 및 정치 담론에서 운명으로 구성될 것이다. - P29

도나 해러웨이(Haraway, 1990)의 ‘상황적 지식‘ 등의 개념을 따르고 있는 게이튼스의 마지막 주장은 젠더 관계를 분석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자아는 언제나 상황적이다"라는 주장의 중요성은 젠더 관계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 관계의 분석과 관련이 있다. 몸의 상황은 생물학적이든 담론적이든 오로지 성차와 관련하여 구성되지는 않으며 자아의 상황이오로지 혹은 언제나 일차적으로 몸에 영향을 받는 것도 아니다. 게이튼스나 그녀와 같은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에게 성차가 중요한 것은 이들이 중산층 서구 중심 정신분석이론, 특히 라캉의 시선(Lacan, 1982)으로 사회를 관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계급, 민족, ‘인종‘과 국가와 같은 거시적사회 구분도 특수한 신체 ‘유형‘이나 연령, 능력과 같은 보다 주체적인 몸과관련된 차이들만큼이나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하다. - P30

이 허구는 한 집단체의 헤게모니와 국가나 시민사회 모두의 이데올로기적 장치들에 대한 이 집단체의 접근을 자연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 자연화는 민족주의와 인종차별주의의 내재적 연관성에 뿌리내리고 있다. 자연화는 소수집단들을 ‘정상‘에서 벗어났다고 추정되는 이들이라 구성한다. 이는 또한 결국에는 ‘인종청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를 해체하는 것은한편으로는 인종차별주의를 다루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 자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P33

그러나 이러한 모든 정의들에서 빠진 요소로, 오토 바우어가 강조한 요소인 ‘같은 운명‘common destiny은 민족 구성에 매우 중요하다(Bauer, 1940;Yuval-Davis, 1987a). 같은 운명은 그 방향이 단순히 과거라기보다는 미래를 향해 있으며, 특정 민족 안에서의 개인과 공동체의 동화 이상을 설명할수 있다. 한편으로 사람들이 정착민 사회나 식민지 이후 국가들에서와 같이 한핏줄의 신화가 전혀 없는 집단체와 민족들에 참여하는 주체의식을 설명할 수 있다(Stasiulis and Yuval-Davis, 1995). 동시에 이민이나 국적 취득, 개종, 그리고 기타 이와 유사한 사회적·정치적 과정들을 통해 국경 안에서벌어지는 빈번한 국경의 재구성 과정과 민족집단체의 역동적 성격을 설명할 수도 있다. - P4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4-06-12 07: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읽고 있습니다!!

햇살과함께 2024-06-12 19:37   좋아요 0 | URL
어제 졸면서 읽었더니 뭔 소린지??? 어렵네요..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