딴지에서 퍼온 사진입니다.  간만에 업데이트 하는 Hall of Shame에 당당히 입성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전에 podcast에 올라온 강신주의 감정수업 (보충수업)편을 듣고 있다.  강신주 박사가 하는 일에 대한 존경도 있고, 뱃심있게 센소리를 하는 것도 대단하다는 생각을 한다.  원래 사람은 젊고 경험한 것과 아는 것이 적을 때에는 이런 저런 이야기를 쉽게 한다.  배우고 경험한 것이 적으니까 세상은 단순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나이를 먹어가면서 조금씩 사람은 너그러워진다.  타인의 실수에도 모자람에도.  세상이 그리 단순하게 흑백으로 양단될 수 없다는 것을 배워가기 때문이다.

 

그런데, 강신주 박사는 나이도 배움도 경험도 적지 않을터인데, 어떤 이야기에 있어서는 에누리가 없이 강한 발언을 한다.  그 중에 내가 공감하는 이야기도 있고 그렇지 못한 것도 있는데, 아마도 누구나 개인적인 호불호가 있을 듯 싶다.

 

문예창작과에 대해서:

무척 신랄하게 비판을 한다.  글은 그렇게 쓰는 것이 아니라고.  그러니까 기교를 배워서 끼워 맞춘다는 뜻 같다.  기실 예전에는 작가로 등단하기 위해서 사숙을 하거나 다른 일을 하면서 부단히도 습작을 하여 그 과정이 쌓이면 등단을 하곤했다.  조정래 선생도 그랬고, 대다수의 작가들이 다른 일을 하면서 자신의 속을 긁어들어가 글을 쓰고 버리고를 되풀이 한 끝에 전업작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만큼 깊고 넓은 다각도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작가들의 글이 나왔었다.  그러다가 어느 시점부터인지 작가가 되려면 문창과를 가야하는 것이 정설이 되어버렸다.  개인적으로 보수적이기는 하지만 강신주 박사의 관점에 공감한다.  나 역시 문학적인 글을 그렇게 깊이 내면으로 들어가서 다양한 경험 끝에 쓰여지는 것이지 기교를 배워서 쓰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문창과가 생산할 수 있는 글쟁이는 방송작가 정도가 아닌가 싶다. 

 

문창과는 학교마다 유명한 전대의 소설가나 문학가를 데려다가 교수를 만들어주고 그 댓가로 학맥을 만들어냈다고 하면 심한 비판일까?  이제는 등단을 위해서 any 문창과가 아니라 특정 문인이 교수로 있는 특정 대학교의 문창과를 나와야 한다는 이야기도 어디선가 보았다. 

 

강신주 박사의 발언이 여러 사람을 불편하게 하겠지만, (그런 이유로 나는 심한 표현은 삼가는 편이다) 상당부분 설득력이 있게 들린다.  문학으로써의 글쓰기는 그렇게 4년간의 교육과정을 통해 배워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루키 비판:

일종의 문학적인 포르노라고까지 말한다.  인생 경험이, 찐한 사랑경험이 없는 사람에게나 먹히는 정도라고.  하지만 진짜를 경험한 사람이 보면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라고.  하루키를 좋아하는 나 자신에게 비추어 생각해보면 그리 틀린 이야기가 아닐지도 모르겠다만, 그래도 일단 하루키는 좋다.  그가 들려주는 심각한체 하는 이야기도 좋고, '노르웨이의 숲'같은 이야기도 좋다.  오에 겐자부로는 인정하면서 왜 하루키는 인정하지 않는 것일까?  궁금하다. 

 

희재류의 인간들이 강경발언을 쏟아내는 것은 주목받고 싶고 먹고살아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강신주 박사의 거침없는 발언은 그가 그만큼 이제는 어느 경지에 올라 세상의 이목을 초월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나아가서 그는 care하니까, 사람에 대한 애정이 있기 때문에 그런 말도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는다.  되도록 빠른 시일내에 그의 책을 읽어보고 싶다.  그리고 그 발언에 대한 타당성을, 특히 하루키 비판에 대한 부분을, 따져 보고 싶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saint236 2014-08-28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신주의 책을 읽다보면 어느새 그런 생각이 멀리멀리 사라집니다. 때론 이 사람이 잘난체 하고 있구나 이런 생각만 남더라고요...호불호가 갈리는데 전 호에서 불호로 옮겨 가고 있는 중입니다.

transient-guest 2014-08-29 02:02   좋아요 0 | URL
그래도 잘난체만 갖고는 지금의 성원을 얻기는 어렵지 않았을까 싶은데요, 사람들에 대한 애정은 그런대로 인정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일단 책을 읽지 않았기 때문에 결론짓기는 어렵지만, 분명히 독선적인 의견이 있습니다.

노이에자이트 2014-08-28 1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이를 먹으면서 너그러워져야 하는데 실제로 그런 사람은 드물죠.오히려 나름대로 고집이 생기고 나이를 먹으면서 남에게서 배우려는 마음가짐도 없어집니다.걸핏하면 남을 가르치려고 하고...그냥 가만히 있는 게 좋을 사람들이 나서서 호통치고 잔소리 하고 그러죠...

하루키는 깊이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깊이 있는 사람들일까요? 하하하...

transient-guest 2014-08-29 02:03   좋아요 0 | URL
ㅎㅎㅎ 나이를 먹는건 쉬운데 잘 먹는건 쉬운일이 아니겠어요.ㅎㅎ 저는 누가뭐래도 아직은 하루키가 좋습니다. 제 젊은 시절에서 missing된 무엇인가를 보게 되더라구요. 뭔가 그립고, 아련합니다.

Alicia 2014-08-28 18: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강신주가 하루키의 글에서 어떤 점을 보고 폄하했는지는 모르겠어요. 하지만 곰곰 생각해보면 성애 묘사하는 장면에서 강신주가 지적하는 부분이 엿보이기도 해요.
강신주가 잘난 체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 어떤 뻔뻔함 때문인데, 강신주가 좀 뻔뻔해지라고 부추기는 대상들은 어떤연유로 자존감을 상실하거나 자존감이 약해진 사람들인걸 감안하면, 그 뻔뻔함도 과히 나쁘지는 않다고 봐요.

transient-guest 2014-08-29 02:04   좋아요 0 | URL
저도 그런 부분에는 동의합니다. 본질을 보라는거죠, 피하지 말고. 그런데, 어떤 비유나 예를 드는 부분 또는 특정한 의견을 피력하는 부분에서는 호불호가 갈리겠어요.
 

온라인 상에서 읽을 때와는 또다른 느낌으로 보았다.  단순히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의 이야기를 '장그래'와 주변인물을 통해 그려내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처음과는 좀더 복잡하고 심오하게 다가온다.  단순한 시각으로만 보면 기업만화의 한 유형으로만 볼 수도 있겠지만.

 

하지만 그렇다고 이 만화가, 젊은이의 대다수, 아니 어쩌면 직장인의 대다수가 '미생마'인 요즘, '완생마'가 되는 것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지금 어떤 대안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그저 삶은 살아지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 같기도 하고, 틈새를 파고들어 끈질기에 달려들어 한번의 기회를 노리는 바둑판의 승부처럼 그렇게 버티는 거라고 말하는 것 같기도 하다.  요컨대 잘 모르겠다는 것.

 

그나마 일종의 해피엔딩으로 끝낸 마지막을 보면, '장그래'들의 인생에도 그간 열심히 살아온 것에 대한 댓가가 따른다는 말을 하고 싶었는지 모르겠다. 

 

내가 생각하는 요즘 젊은이들은 참 불쌍하다.  나 역시 원하는 전공을 택한 덕분에 취업과는 거리가 먼 공부만 줄창했고, 대졸과 동시에 갈 곳이 없어진 기억이 있다.  당시의 .com 붐도 나와는 관련이 없었고, 지금도 high tech이나 IP계열과는 무관하며 주식도 할 줄 모르는 나이기에 오로지 로스쿨만이 어떤 현실적인 대안이었는데, 그나마 학교를 다니면서 보니 취직이라는게 그리 녹록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찌어찌해서 적성에 맞는 분야에서 어렵사리 취직을 하여 실력을 키운 댓가로 이제서야 겨우 원하는 수준의 벌이를 만들어가고 있지만, 그것도 지금 학교를 졸업하는 사람들에 비교하면 훨씬 나은 형편이라고 하겠다.

 

아주 극소수의 학교나 학과 또는 수준의 공부를 끝낸 사람들이 아닌 이 시대 대다수의 젊은 사람들은 직장을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봉급수준을 보면 내가 대학을 졸업하던 시점에서 크게 오르지 않은 정도의 월급이라도 엔지니어가 아니라면 감지덕지해야 한다.  한국만 그런 것이 아니라 그저 그런 정도의 대학교에서 보통의 전공을 끝낸 젊은 사람들은 예전처럼 보통의 desk job을 찾을 수가 없다.  그런 그들이 모여있는 곳은 스타벅스와 식당, 그리고 이런저런 언저리 직장이다.  세 사람이 벌어서 겨우 house sharing을 support할 수 있는 정도의 봉급을 맞출 수 있는 것이 특히 이쪽 지역인데, 그렇다고 거주비용이 저렴한 지역에는 job이 없다. 

 

그런 그들에게 '장그래'처럼 열심히 살면 좋은 날이 온다고 얘기해줄 수 있을까? 

 

사실 한국의 경우 3D업종에서는 그나마 사람을 구할 수 없다고 하는데, 그런 대안조차 이곳에서는 흔하지 않다.  그리고 말이 쉽지 수도권에서 desk job에 대한 꿈을 갖고 대학을 나온 사람이 3D로 발상을 전환하는 것도 쉽지는 않을 것이다.  인생을 이만큼 살았고, 이만큼 겪은 내 정도의 나이라면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기껏해야 편의점에서 온갖 시달림을 받으면서 알바를 하는 것보다는 3D업종이 낫지 않겠나 싶다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그건 경험에서 체득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무엇인가를 해야한다는 절박함의 산물이다.  기실 번듯한 직장이라는 허세를 벗겨내면 대기업 계열사에 양복을 입고 출근해서 작업복으로 갈아입고 잡일을 하다가 퇴근하는 무늬만 대기업 사원보다는 건실한 3D가 더 좋아보이기는 하지만, 그것도 내 생각처럼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미생'이 나온지도 근 2년이 지났다.  하지만, 수 많은 '미생'들의 현실은 더 나빠진 것 같다.  앞으로도 더 좋아질 것 같지도 않다.  이를 어찌해야 할꼬...

 

오늘 새벽에 끝내기 운동을 하면서 남은 부분을 다 읽었다.

역시 소소한 재미를 주는데, 역시나 여느때처럼 중구난방으로 마구 읽어서 추리의 연결이 끊어진 덕분에 스토리의 개연성을 잃은 부분이 있다.

 

미스 마플이 또 등장하고, 익숙한 사람들이 나오는데, 논리적인 추리보다는 연상퀴즈가 떠오를 만큼 심한 반전이 있어 그저 소설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정도이다. 

 

정통 추리소설이기는 하지만, 왠지 거기에는 조금 미치지 못하는 느낌.

 

 

일이 다시 속도를 내고 있어 그럭저럭 열심히 일하는 와중에도 조금씩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요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종의 셜록홈즈 동인소설 같은 '경성탐정록'의 두 번째 이야기를 읽었다.  팬이 쓴 글답게 홈즈의 오마쥬로 가득찬 글이고, 그리 어려운 이야기도 아니기 때문에 쉽게 읽히는 책이다.  홈즈 = 설홍주로, 왓슨 = 왕도손이라는 중국계 의사로 설정했고, 심지아 허드슨 부인은 허도순 부인으로 설정했으니 이 소설은 셜록홈즈의 한국화 소설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게 형제가 구상을 했는데, 추천인의 말처럼 이는 엘러리 퀸을 떠올리게 한다.  물론 그들만큼 전문적인 글쟁이들은 아니기 때문에 심오하고 신묘한 내용보다는 재미있게 한번 읽어볼 수 있는 이야기 정도로 기대하면 좋겠다.  지금은 어디에 보관하고 있는지 모르지만, 예전에 설홍주/왕도손의 캐릭터 일러스트도 돌아다니던 것이 기억난다.  작가 한동진씨는 개인블로그도 운영하고 딴지에서도 정기적으로 글을 올리는데, 딴지영진공에서도 가끔씩 나와서 기괴한 목소리와 깊은 덕후성을 뽑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디어 손에 넣은 필립 K 딕의 걸작선집 첫 권을 읽었다.  내 기억이 맞다면 이 책은 토탈리콜의 원작이다라고 썼다가 방금 찾아보니 틀린 것을 보았다.  암튼 필립 딕의 소설들 중 영화화된 것이 많아서 생긴 착각이리라 (암 그렇고 말고...)


양극화, 부족한 자원, 쟁투, 멸절의 징후, 정신병 등등 수 많은 모티브들은 2014년의 현실에 대비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만큼 이 소설에서 사용된 장치들의 연속성은 시대를 넘어 지금의 나 또한 공감할 수 있을 정도이다.  작가의 혜안이 돋보이는데, 이런 암울한 미래를 그렸지만 무려 1994년에 이미 화성에 이주민이 살고 있다는 설정은 작품이 쓰여지던 당시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줌과 동시에 현실성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지금의 예상으로는 내가 노인이 되는 시기에 첫 화성 이주 우주선이 뜨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그나마도 돌아올 수 없는 one-way ticket이다.  


우리 과학기술의 발전이 더딘 것인 탓도 있지만, 어쩌면 우리가 제어할 수 있는 딱 그 만큼의 진보만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있거나 'monitoring'을 당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두 번째 책을 읽으면서 '미생'도 열심히 보고 있는데 이미 한번 독파한 책이라서 큰 감동보다는 작은 재미를 느끼는 정도이다.  '미생'처럼 유명한 작품인데, 겨우 이제서야 구한 내 책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판'이다.  참으로 책을 팔아서 먹고살기 어려운 시대같다.  나라도 좀더 열심히 읽고 사들여서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어야지 싶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9-01 19: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9-02 08: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9-05 00: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9-05 02: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간 너무 자주 밀린 후기를 한꺼번에 정리하느라 고생을 해서 이번에는 얼른 적어보았다.


파인만의 강의들 중 두 번째로 쉬운 이야기라고 하는데, 기본적인 수학공식이나 법칙, 그러니까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모르고 읽으니 죽을 맛이다.  솔직하게 이야기 하자면 하나도 알아듣지 못했다.  아무래도 수학이 없는 물리학 강의는 적어도 수학을 다시 배워놓기 전에는 읽지 못할 듯.  자연과학 지식을 쌓겠다는 거창한 목표가 마구 흔들려 버린 한 순간이었다.  그러니까, 에세이 쟝르의 과학 '이야기'는 읽을 수 있겠지만, 아주 조금 진지한 이야기로 들어가기만 해도 하늘과 땅끝의 차이만큼이나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어르신들 말씀에 공부에는 다 때가 있다고 하는데, 틀린 말은 아니다.  언제든지 시작할 수 있고, 나이에 따라 시기에 따라 일장일단이 있지만, 젊을 때에는 확실히 이해나 습득이 빠르고, 나이가 들면 공부에 대한 진지함이 그 나머지의 부족함을 채우는 것이 아닌가 싶다.


지금 내 사무실 겸, 서재는 추리소설 풍년이다.  한 달전에 지른 상품들이 지금 모두 도착하였기 때문인데, 읽지 못한 크리스티 전집이 약 40권 정도가 남아있고 (모든 권수를 맞추면 더 늘어날 것이다), 캐드파엘과 동서 미스테리 문고의 책까지 합해서 못해도 40권 이상이 더 들어온 것 같다.  그리고 요꼬미조 세이시와 마츠모토 세이초의 작품 몇 권까지 합하면 거의 100여권의 추리소설이 나의 손길과 관심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바쁜 일정을 잘 소화해내면 또 중간에 시간이 비는 한 주가 있을 것이고, 운동을 하면서 틈틈히 읽고, 그런 시간에 머리를 식히면서 한 권씩 읽어나가는 것은 미래의 즐거움이다. 


재미있게 읽은 이번 '침니스의 비밀'의 트릭은 거의 막바지에 가서 간파할 수 있었다.  중간에 의심도 좀 했지만, 워낙 주의를 분산시키는데 능한 크리스티라서 바로 알아채지는 못했다.  개연성이 조금 떨어지는 면이 없지는 않지만, 빠른 진행과 활극이 가미되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FI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licia 2014-08-22 1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시도조차 하지 않는 저보다 백배 나으세요. 저는 읽다 흥미없으면 관두기도 잘하는데, 평소에도 느끼는 거지만 인내심이 많으신 것 같애요. 크크.^---^

transient-guest 2014-08-23 02:09   좋아요 0 | URL
열심히 사리를 만들면서 살고 있지요..ㅎㅎ 그냥 하던 것을 계속 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남들보다 조금 나은 것 같아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