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자기가 지향하는 독서, 좋아하는 작가, 또는 다른 비슷한 유형의 특정인사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어떤 논리나 이론적인 당위성이 필요하지 않고, 다만 철저하게 자신만의 취향이나 선택에 따른 것이니까 호불호는 있을 수 있어도 옳고 그름을 논할 주제는 아니다. 다치바나 다카시는 나에게 바로 이런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나도 그처럼 자기만의 공간을 책과 다른 미디어적인 부산물로 가득 채워 놓고 글을 쓰고 강연을 하면서 한 세상을 보냈으면 좋겠다. 글재주도 없고, 강연은 꿈 같은 소리라서, 그저 그의 삶을 mimic하는 것은 독서로 만족해야 하는 처지라서 이는 물론 그냥 희망을 가장한 요망사항일 뿐이다. 다만, 사무실을 확장하거나 아니면 더 여유가 되어 자기만의 업무공간으로써의 건물을 마련할 수 있다면, 작더라도, 그 공간을 내 책과 영화 같은 것들로 가득 채울 수 있어도 좋겠지 싶다. 책을 읽고 쓰는 것이 자신의 밥줄이고, 따라서 다카시의 고양이 빌딩은 단순한 놀이를 위한 동굴이 아닌 삶의 공간인 것처럼, 나의 사무실도 그렇게 꾸며지면 좋겠지 싶다. 시간을 아끼고 조금 더 아늑한 심리적 배려를 위해 자기 소유의 건물이나 공간이라면 더욱 좋겠는데, 여기에 운동을 할 수 있는 weight room과 나무 floor가 깔린 작은 도장 공간을 함께 넣으면 참 좋겠다. 예전에 다니는 검도장 건물이 그랬는데, 반 채 정도가 이층까지 터진 도장이고, 나머지는 강연실 두 채와 함께 이층으로 나누어 살림공간을 만들어 놓았던 것 같다. 여기에 책이 들어가고 업무를 볼 수 있는 구조라면 더없이 좋겠다. 이런 공상을 하면서 일을 하면서, 그렇게 하루는 또 지나간다.
나름대로 대단히 유명한 인사라고 생각하는데, 그리고 그의 책을 찾아가면서 읽고 있는데, 나는 다카시가 암에 걸린 사실을 이제서야 알았다. 2006-7년 경의 일인 듯 싶은데, 아직까지는 재발하지 않고 살아 있는 것 같다.
방광암에 걸린 그는 치료과정을 거치면서 그 특유의 진지한 태도로 암에 대한 조사를 하고 이를 NHK 다큐로 찍어냈다. 이 책에서도 그가 늘 해온 것처럼 자세한 조사를 하고 책을 일고 암에 대한 리포트를 실제 사례에 비춰, 의사의 현실적인 관점과는 사뭇 다른, 하지만 더없이 현실적인 케이스 사례로 스터디했다.
암의 근원에는 생명의 비밀이 숨어있고 암의 작용은 근본적으로 생명력의 작용이기에 근절보다는 공존하는 치료가 미래의 지향점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어느 정도 맞아떨어졌을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쇠약해진 몸이 결국 이를 견디지 못하고 스러지는 것을 볼 때, 구체적으로 악성암의 상태에서 항암치료로 연장하는 시간은 2개월 정도라고 할 때, 어쩌면 완치보다는 containment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조금 더 육체적인 조건에 친화적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은 든다. 무엇보다 그는 암을 겪어 내면서 이 공부를 했으니까, 그의 그간의 경력을 볼 때 신빙성 있는 관점이라고 하겠다.
지금은 절판된 다른 책들도 재출간되었으면 한다. 늘 생각하지만, 이렇게 한 세상 책을 읽으면서 보낼 수 있는 사람이 몇 이나 있겠는가? 일본인 특유의 더쿠기질이 보이는 삶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부러운 건 어쩔 수가 없다.

드디어 이제까지 영문으로 번역된 Vampire Hunter D 시리즈를 다 읽었다. 21은 곧 나올 예정이니까, 잠깐 또 스토리를 잊어버릴 수 있겠다. 이건 사실 줄거리를 요약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고, 그저 읽을 때 그 찰나의 느낌을 즐기는 책이다. 이런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면 좀더 원본에 가까운 재미를 느낄 수 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조금 남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