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건강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가을을 타는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말이지, 내 상태가 이상하다. 내가 책을 보다가 울.었.다. 영화를 보면서 가끔 몰입하다가 감정이입이 되어 그런 때는 있었지만, 그것도 어쩌다가의 일이다.
한창 이 영화가 화제였던 건 거의 이십 년 전의 일이다. 그땐 어렸기 때문에 사랑은 젊어야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나이 많은 배우들이 나누는 사랑장면, 아니 어쩌면 내용 그 자체, 그러니까, 중년이 넘어간 사람들이 나우는 사랑은, 불륜때문이 아니어도 그저 예쁘지 않아 보였고, 거기에 불륜이라는 요소가 들어가 더더욱 한 점의 아름다움도 볼 수가 없었다. 실제로 난 아직도 이 영화는 못 봤다.
어제부터 소세키를 읽는 것이 조금 지루하기도 하고, 갑작스럽게 궁금하기도 하여 서가를 뒤져 이 책을 찾아냈고, 조금씩 읽어가기 시작했다. 영화를 보지 않았지만, 워낙 유명한 장면이 많아서 어느 정도 영화의 장면과 책이 겹쳐지는 부분이 있었고, 나머지는 온전히 나의 상상력으로 만들어가면서 그렇게 한줄씩 읽어나갔다.
'...그는 자신을 조직체의 숫자만 채우기에 급급한 세상에서 시대에 뒤떨어진 수컷이라고 보았다...
이야기가 아름답고 애절한 것은 이 둘의 인생이 한 순간 겹쳐졌고, 평생 가져갈 사랑에 빠졌으며, 결국은 함께 떠나지 못했고, 이후 단 한번도 살아있는 동안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마 함께 떠났으면 갑자기 비포선셋의 후기가 되었을 것이다. 심금을 울리는 이유는 그렇게 사랑했음에도 프란체스카는 끝내 로버트와 함께 갈 수 없었고, 그 한 순간의 사랑을 평생의 추억으로 간직했음에 있다. 남편이 죽고 나서 남은 생을 함께 하기를 원했으나 로버트를 찾지 못했고, 프란체스카에게 로버트의 소식이 전해진 것은 로버트가 죽은 뒤의 일이었다.
로버트와 프란체스카가 마지막으로 서로의 얼굴을 보는 그 장면, 망설이다 끝내 떠나지 못하며 울고 있는 프란체스카, 아마도 그걸 알기 전부터 울고 있었을 로버트, 그 부분에서 나는 그만 정신줄을 놔버린 듯, 울고 말았다. (확실히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아진 듯...) 뒷 이야기는 나중에, 이 기억이 조금 희미해지면 다시 찾아볼 생각이다.
소세키 프로젝트 다섯 권째.
앞서 '태풍'과 '풀베개'보다는 조금 더 스토리가 눈에 들어온다. 그러나 아직은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확실하게 보이지는 않고, 역시 각 등장인물이 상징하는 신시대의 인물, 모습, 그리고 구시대에서 신시대로 넘어오는 사람들의 interaction이다. 그런데, 소세키가 말하고자 하는 건 정작 파악되지 않으니 책을 헛읽고 있는 듯.
이제 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