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 웃긴 대목들도 꽤 있다. 

제목의 라벨스타인은 앨런 블룸을 모델로 한 작중 인물. 

그러니까 형식적으로는 소설로 제시되는 책이긴 하다. 그런데 다 바로 화자 "나"는 솔 벨로우로, 라벨스타인은 

앨런 블룸으로 여겨진다. 책이 나왔을 때, 이걸 회고록으로 보면 안되고 소설로 봐야 하지 않는가, 그게 벨로우의 의도였다. 두 사람의 생애를 책 속으로 읽어넣지 마시라.. 얘기하는 이들 있었던 거 같다. 지금은, '거기 이름 빼고 허구가 있음?'이 대세인 듯. 


아무튼 다시 생각해도 웃긴 대목이 있는데 

병든 블룸에게 지상에 남은 시간이 실제로 셀 수 있을 정도가 되었을 때. 

시간의 문제지 죽음이 그의 아주 가까이에 왔음이 확정됐을 때. 이때 블룸은 갑자기 

아무에게나 성욕을 느끼게 된다. 갑자기 아무에게나 sexual feeling이 일게 된다. 


블룸이 벨로우에게 말한다. 

"죽음이 이토록 기묘한 최음제일줄이야." (기묘한 최음제: weird aphrodisiac.) 


저 영어 구절도 웃김에 조금 기여하는 거 같다. 죽음과 최음제(aphrodisiac)의 연결을 죽어가는 사람 자신이 

한다는 게 그 자체로 참 웃기기도 한데, 최음제라는 말도 웃김. 


이 두 사람이 실은 15년 나이차 나는 사이라는 걸 기억하면서 

"형"을 넣어 생각하면 조금 더 웃겨지기도 한다. 형. 죽음이 얼마나 이상한 최음제인줄 알아? 


죽음이 이토록 기묘한 최음제일줄 몰랐다고 하더니 

"그런데 내가 왜 이 얘길 형에게 하고 있지? 형이 알아두면 좋을 거 같다 생각했나 봐." 




이미 죽은 친구를 기억하면서 

자기 죽음도 가까이 있음을 자각하는 노인이 쓴 책이라 

죽음이 중요한 주제일 수밖에 없겠기도 하다. 이 주제에, 30대의 나였다면 별로 마음가지 않았겠지만 지금은 

귀기울여 듣게 되는 여러 대목들이 있다. 죽음의 한 (존엄한?) 방식을 "legit"하게 제시하는 책일 거 같다. 순전히 농담의 연속 같기도 한데 그러나 아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udible이 한때 내가 상상했던 이상적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편했다. 

회원 가입후 매월 크레딧을 받고 그걸로 오디오북 선택하는 옛 방식이 계속 유지되기는 하는데 

가입 회원 한정 무료 타이틀도 공급하기 시작했다. 처음엔 스트리밍만 가능하게 했다가, 그러나 곧 다운로드도 되게 

한 거 같다. 무료 타이틀이 적지 않다. 현재 수천종. 계속 추가중. 들을 시간도 부족한데 무료 타이틀에 나와 있는 책들 중 좋은 것들이 적지 않으니 가장 낮은 (월 8불) 등급 회원이기만 해도 족하다 판단하고 그 등급으로 갈아탔다. 지금까지는 23불, 매월 2개 크레딧 받는 회원이었다. 8불이냐, 23불이냐. 둘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은 삶........... 이 아니다보니, 오 이제 매월 카드 빌에서 얼마가 줄게 되는? 







무료 타이틀 중 이것이 있다. 이거 정말 

(.... 조금 읽었을 뿐이긴 합니다만) 고전이라, 아마 그럴 것이다. 적어도, 유명한 책. 다수 언어로 번역된 책. 

수전 손택의 책들도 있고 엄청난 장편 소설들(카라마조프... 같은)도 적지 않다.  


Marxism: Philosophy and Economics. 이건 저자는 금시초문이었으나 

제목이, 그래 이것 이것이 알고 싶다 제목이라 바로 받아봄. 누가 썼는지 알게 뭐야. 

주제가 중요하지. 


듣다 보니 조금 이상한 느낌 있다. 

찾아보니 Thomas Sowell은 흑인 경제학자. 

학부 하버드, 박사 시카고 대학.... 출신 학교들로 일단 압도하시는 분. 

현재 스탠포드의 후버 연구소 소속. 





이런 분이셨다. 으으. 

아아. 

............ 하아. 

이런 느낌 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깊이 사랑한 두 가지. 물리학과 사막. 

둘을 결합할 수 없음이 유감이다. (My two great loves are physics and desert country. It's a pity they can't be combined." 


오펜하이머가 친구에게 쓴 편지가 출전이다. 

<원자탄 만들기>에서 맨하탄 프로젝트 기지 입지로 로스 알라모스가 선정되고 프로젝트를 지휘할 사람으로 오펜하이머가 결정되는 과정을 말하는 장 제목이 "Physics and Desert Country"다. 


실제로 로스 알라모스가 사막이긴 했지만 

물리학과 사막이라니. 둘의 연결에서 나오는 이 독특함은 무엇인가. 무슨 감성인가. 

하였는데 오펜하이머가 편지에 쓴 구절이 출전이었다. 그의 저 문장을 인용하고 나서 리처드 로즈가 덧붙이는 말은: 

"이제 그 둘이 결합할 것이었다." 


왼쪽에서 두번째, 백팩 메고 7부 나팔바지 비슷한 걸 입으신 분이 페르미. 

패셔니스타. 이태리 남자. 





같은 날 찍은 것이 분명한 다른 사진도 있다. 


오펜하이머가 버클리 물리학과에서 

미국에서 그 전까지 본 바 없는 "위대한 이론 물리학의 전통"을 어떻게 이끌었나에 대한 논의가 있다. 

그는 의외로 독특하고 강력한 리더쉽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를 잘 알았던 물리학자 한스 베트(Hans Bethe)는 물리학자로서 오펜하이머의 리더쉽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그의 탁월한 취향이다. 그는 중요한 문제가 무엇인지 언제나 알고 있었다. 그가 선택하는 주제들을 보면 무엇이 중요한 문제인가 알 수 있었다. 이 문제들은 진정 그의 삶의 일부였다. 답을 구하는 것이 그가 하는 투쟁이었다. 그의 관심사와 그의 투쟁은 공유되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그의 탁월한 취향이다. 

기억하고 두고 두고 생각한다면 좋겠는 문장이었다. 


리처드 로즈에 따르면 오펜하이머의 그 섬약한 (키가 185? 그런데 체중은 60kg를 넘은 적이 없음? 언제나 저체중. 아프면 50kg 이하가 되기도 한? 망할 미국의 도량형, 피트, 인치, 파운드와 결합한 숫자들이라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데 대략 저 비슷한 얘기가 책에 나온다) 체격에, 부조화할 거 같지만 아니었던 기이한 카리스마가 있었다. 사실 동영상 뿐 아니라 이미지로만 보아도 그게 어떤 카리스마였을까 알 거 같다. 하여튼 그는 맨하탄 프로젝트, 정말 제대로 이끌기가 거의 불가능한 집단(노벨상 수상자가 발에 채이는...)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한다.  




국립공원으로 승격됐다는 뉴멕시코의 화이트샌즈. 가려고 하면 갈 수 있기는 한가? 같은 의문이 드는 코로나 시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오전부터 시작해서 저녁까지 더워서 

속으로 울었다. 저녁 먹고 근처 새로 생긴 편의점 가서 

기네스 오리지널 사와서 마셨다. 맥주가 십년 전처럼 맛있다면 좋겠는데.  

세월이 흐름은 맥주가 덜 맛있어짐을 뜻한다. 자고 일어나서 에어컨 없이 버틸 최고기온 33도 이상인 날은 며칠이나 남았다고 예보되나 보았다. 오늘과 내일. 그리고 다음 주 중 이틀 더. 


오전 아홉 시에 이미 30도. 

18년엔 새벽 네시던가 세시던가에 30도이던 날도 있었지. 

그 때도 속으로 울었다. 그냥 오늘이 종말이라고 생각하시오. 매일 그러시오. 


30도, 한 33도까지도 밖에 나가서 나무 그늘 어느 정도 있는 곳이면 

그렇게 막 아주 덥지는 않다. 코로나 이전 (BC!) 시대, 35도 이상이 아니면 

나가서 돌아다니다 오는 일에 두려움 없었던 거 같다. 그 두려움 없음은 집에 있을 때의 안심이기도 했다. 

지금은... (AD!) 일단 30도 넘기 시작하면 집에서는 피부를 지지는 듯한 뜨거움. 

이게 그러니까 과장이긴 한데 또 매우 현실적인 느낌이다. 미세한 전기 철망을 매순간 통과하는 느낌. 

그리고 밖에 나가는 건 새벽에 캄캄할 때 아니면 그 자체로 결단을 요구함. 


리히터의 열정 소나타. 쉽게 지루해진다고 쓰고 나서, 사실 쓰면서도 '아니지 않나?' 했다가 

오늘 들어봄. 하 역시. 최고입니다. 얼른 좀 좋은 장비로 제대로 들어보고 싶어진다. 다 유튜브로 전화기로 듣고 

있으면서 뭐 어쩌고 하지 말아야겠. 


핑크 플로이드. 다 유튜브로 전화기로 아무리 들어도 지겨워지지 않는 핑크 플로이드. 

릴랙스 릴랙스 릴랙스. 


그래 이렇게 아무말 포스팅하면서 

더위와 공포를 잠시 잊는 하루를 보낼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맑스 전기 a world to win 이 제목은 <공산당 선언>이 출전이었던 것이었다. 

저 유명한 구절. 너희가 잃을 것은 사슬이요 얻을 것은 세계다.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공산당 선언>에서 저 대목은 (그리고 앞의 "... 유령이 유럽") 알던 대목인데도 a world to win, 보고 

바로 연결하지 못함. (.....) 아 그것이었어. 


오늘 매우 힘들었다.  

방역활동 하시는 분들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이런, 타인의 고통 생각하기, 잘 안하는 인간임에도) 수시로 기억했던 날이다. 덥고 우울하고 공포스럽고. 


한 페이지라도 읽으면 그게 읽은 것이다. 

그렇다고 정하고 사두고 안 읽은 책 뽑아다 조금씩 본다. 

하여 아렌트 전기가 옆에 있게 되었다. 





For love of the world. 

아렌트의 세계 사랑과 맑스의 세계 획득 사이엔 아마 사상의 면에선 

심연이 있을 것이다. 아렌트가 맑스에게 한때 잠시 약간 우호적이었지만 그러니까 우호적이지 않았다...... 고 말한 걸로 기억되는 대목이 저 책의 긴 저자 서문에 있었던 거 같다. 


그렇든 아니든 같이 생각해 보고 싶은 주제다. 

사랑하기 위해 획득하기. 사랑하므로 획득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