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대가 주관하는 문학상이 있나 봄. 매년 시상식이 열리는데 

시상식에서 수상 작가가 Why I Write 주제로 강연을 한다고. 몇년도 수상인지 모르겠지만 크나우스가드도 

수상했고 그의 강연은 18년에 책으로 나왔다. 


audible이 무료 방출 안했다면 지금 만나지 못했을 책이다. 

지금 만날 수 있었다는 게, 고맙게 느껴진다. 책을 공짜로.... 정말 감사하다. 양잿물도 감사할텐데 책이. 


일단 시작은 미미하다. 이러는 것도 그의 고유 스타일일 거라 짐작 되는데 

"나는 왜 쓰냐고? 이 주제를 앞에 놓고 나는 사흘 동안 아무 진척도 내지 못했다. 내가 떠올릴 수 있던 건 

몇 년 전 TV에서 보았던 어느 작가가 다였다. 그는 스튜디오에 나오면서 "나는 죽을 것이기 때문에 씁니다 I write because I am going to die"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바지 바깥으로 삐져 나온 셔츠를 바지 안으로 집어 넣었다. 나는 웃었다. 그가 한 말의 그 엄중함과 그의 행동의 그 일상성 사이 간극이 날 웃게 했다" 


저렇게 시작한다. 

사실 미미함이 끝까지 지속되는데 

그런데 그 미미함이, 격렬한 진정성과 함께 하는 미미함? 

미미함의 닻 덕택에 간신히 진정되는 진정성의 폭풍?  


<나의 투쟁> 1권은 사두었으나 읽지 않음. 그가 뉴욕타임즈였던가에 썼던 긴 미국 여행기가 있는데 

그것에 강렬한 인상 받지 않았었다. 아휴 그냥 침울한 아저씨네.... 정도 끝. 크나우스가드와 인연은 

이게 다인데, 그런데 이 강연 들으면서 그의 매력이 무엇인가 알 거 같았고, 그 매력이 내내 있다면 <나의 투쟁>은 국제 센세이션 될만한 책이겠구나는 생각이 든다. 심지어는, 21세기초 베스트셀러로 23세기까지 읽힐 드문 책 아닐까, 읽지도 않은 책을 망상 속에 평가함. 



위의 미미한 시작에 이어 그는 이렇게 말한다. 

"I write because I am going to die. 이 말이 합당하게 표현되고 그 말이 받아 마땅한 반응을 받으려면, 이 말에 

담긴 진실이 전해지려면, 그 말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먼저 창조되어야 한다. 바로 그것이 글쓰기다.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That is what writing is: creating a space in which something can be said)." 


글쓰기 =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강연 서두에서 이렇게 못박고 나서, 이어지는 강연 내용 전부가 이 말이 무슨 뜻인가 해명하는 데 바쳐지는데 

적당히 진부하고 (이렇게 말하면 욕같지만, 칭송으로.... 하는 말이다. 딱 알맞게, 딱 절묘하게, 마치 진짜 진부함이 아니라 진부함에 대한 사유이고 논평인 것처럼....), 동시에 예측 불허로 열정적이다.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이것 정말 실은 엄청난 전언이지 않나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블랙홀. 

무에서 유가 나왔다는 것. 

존재의 문제. 철학과 물리학의 접경 지대. 

철학은 너무 중요해서 철학자들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


존 휠러 인터뷰 찾아보았는데 이 클립, 7분 지점에서 저런 말씀 하신다. 

특히 마지막 문장. Philosophy is too important to be left to the philosophers. 

의미심장하게 들린다. 특히 물리학자들이, 철학에 우호적이지 않은 태도로 비슷한 얘기를 

많이 해왔던 거 같긴 하지만 오늘 아침 들으면서는 (......) 그냥 몰표. 이런 말을 하고,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해도 되는) 사람으로 산다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 클립이 업로드 되었을 때 

메릴랜드인지 델라웨어인지에서 60대의 존 휠러라는 남자가 피살되어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견되고 

그게 연방정부를 향한 어떤 메시지가 담긴 살인이었고 ..... 이런 사건이 있었나 보았다. 댓글들이 ㅎㅎㅎㅎ 

60대 피살당한 존 휠러 얘기들을 하고 있음. "사람들아 야 이 바보들아. 다른 사람이야! 이 분은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과학자였다. 양자 우주론의 아버지시다." 이러는 댓글 나오고. 이런 미친 스레드는 

처음 본다는 댓글도 나오고. 




여름 동안 오래 산책하기가 힘들었는데 

10월 시작하면서 다른 건 몰라도 산책하기가 훨씬 즐겁고 쉬워져서 좋다. 

아침에 늦게까지 어둡다는 것. 시원하다는 것. 기타 등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것도 audible에서 무료 타이틀이다. 

이건 좀 아니었다. 조금 들었을 뿐이긴 한데 들었던 부분에서는, 아.... 말 잘하는 

꼰대. 뭔가 극을 형성하는 느낌. 한쪽 극에 이 책이 있고 다른 쪽으로 Ravelstein이 있는. 

Ravelstein에서는 말을 잘하기도 하지만 재미나게도 한다. 본 것도 많고 그러니 볼 것이 언제나 많은 노인. 

꼰대이기보다는 이 노인 '쏴라있네' 느낌.   


audible에 무료 타이틀이 정말 많고 (수시로 찾는다) 

좋은 것들도 정말 많다. 




이것도 있습니다. Sharp: Women Who Made an Art of Having an Opinion. 

레베카 웨스트, 도로시 파커, 한나 아렌트, 수전 손택, 메리 맥카시 등등 호화 캐스팅. 


"우리는 도로시 파커의 신랄한 위트, 날카로운 언어를 우리 시대의 관점에서 대수롭지 않게 보기도 한다. 

그러나 기억하자, 그녀가 활동하던 시기, 미국 여성에게 투표권이 없었다." : 이런 얘기가 시작할 때 있는데 

................ 유구무언 되므니다. 그랬군요 맞아요. 투표권. 


Giants of Philosophy 시리즈도 다 무료. 

아마 같은 평생교육 업체에서 만든 것들로 같은 형식 짧은 강좌 시리즈가 있는데 

(경제학자... 아 경제학자도 평생 공부하란 말이냐. 과학자와 과학사. 철학 사조들도 있고) 

다 무료. 


잘 쓴 문장. 날카로운 문장. 탐구하는 문장. 

그런 문장은, 순간 정신치료 하지 앟나. 

아. 그래. 견딜만해졌어. 이 느낌. 그렇게 견딜만해짐의 반복이 없다면 

정말 미칠지도 모른다. 아... 그렇.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발머리 2020-10-07 20: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몰리님 글에는 제가 모르는 다른 세상이 펼쳐지지만, 몰리님 글을 주의해서 읽고 있습니다.
양질의 자료는 무궁무진해도 차마 들을 수 없는 형편인지라 몰리님 글을 읽는것으로 위로를 삼습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몰리 2020-10-08 06:54   좋아요 0 | URL
그래도, 모르니까요. 다 들리기 시작했다 순간. 그런 순간은 반드시 오는 걸로다.
페미니즘 주제 자료도 정말 많아서, 아까워요. ㅜㅜ 무료니까 순간 1억명 전파. 그럴 수도 있으니.
 




내 마음 속 의자들마다에 너는 앉았어. 

이런 건가. 


앨런 블룸과 그의 아내. 이 두 사람이 중요 인물인 것인데 

블룸에 대해서, 그와 함께면 못하는 얘기가 없었다, 무엇이든 우리는 말할 수 있었다고 

반복해서 말한다. 그랬다고 같은 얘기가 (그리 대단해 보이는 내용도 아닌) 계속 반복되지만 

미묘한 변주가 있다고 느껴진다. 그리고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그가 무얼 말하든 나는 이해한다. 모두. 다.  

내가 무얼 말하든 그는 이해한다. 모두. 다. (...) 위대하다고 느껴진다. 구체적인 사례는 기억을 못하지만 

이 노인들 진짜 별의별, 사소하고 중요한, 멀고 가까운, 자기 전부를 얘기했구나 실감하게 된다. 

그렇게 다 얘기하고 그 모두를 이해하고. 이런 것에 아무 환상 없다고 생각했던 거 같은데 

이들 보면서는 아 재밌었겠다.  


그의 아내 이름은 재니스인데 

이 책에서 그녀 이름은 로자몽(로자몽드). 재니스도 로자몽도 혹시 유태인들에게 흔한 이름인가? 


로자몽. 이 이름 선택한 특별한 이유가 있을 거 같다. 

어쩐지 웃기게 들리기도 한다. 


인간에게 언어와 사유.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언어와 사유. 

이것들이 막 신선하게 재출현하는 느낌. 


생전에 나르시스트로 악명이 높았다는데 

아니 이 정도로 다른 사람을 좋아하고 이해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나르시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감전된다 느껴졌던 리 시걸의 문장들은 

벨로우 전기 비평하던 글보다는 다른 글에 있었던 거 같다. 

두 개의 글 같이 읽으면서 두 글이 섞이는 효과가 있었던 듯. 


벨로우 전기 비평하던 글에서 그래도 기억에 남았다 느꼈던 마지막 문단. 

찾아보니 그 문단은 이렇다. 


My father had died a few years before, without my being aware of it until over a year after he died. That is a long, sad, different story. Something caught in my throat as I stood there thinking of Bellow and my father. I had loved many people, but whom did I ever love in the same way that I loved them? Yet I fled from both of them. I wished — almost — that Bellow was there to tell me why.


(내 아버지는 몇 년 전 돌아가셨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나서 1년 넘게 지난 후에야 나는 그 사실을 알았다. 이건 길고 슬프고 다른 때에 해야 하는 얘기다. 벨로우와 내 아버지를 생각하면서 서 있던 동안 목이 메었다. 내가 사랑한 많은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누굴 내가 내 아버지와 벨로우를 사랑했듯이 사랑했는가? 그럼에도 나는 두 사람 모두에게서 도망쳤다. 그게 왜인지 벨로우가 여기 있어 내게 말해주기를 나는 소망했다.) 


내가 왜 아버지와 벨로우 둘 다에게서 도망쳤는지 

벨로우에게서 이유를 듣고 싶다. : 이 마지막 문장이 강한 유인이었던 건데,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인가"로 

뒤죽박죽 기억함. 이 마지막 문장에서, 벨로우가 어떻게 독자의 강한 사랑을 유발하고 그리고 떠남도 유발하고 

그리고 어떻게 그에 대해 누구보다 더 잘 해설할 사람..... 인가, 나도 갑자기 조금 안 거 같았던 것이었었던 것이었다. 더 잘 알고 싶어졌었다.  


리 시걸의 글들은 "tough-minded yet generous"라 평가된다는데 

저 조합도 꿈의 조합인 듯. 저 조합을 언제나 실현하는 비평가라면 .... 시간의 시험을 견딜 듯. 


읽었던 다른 글의 제목은 

Seize the Day Job. 인데 

벨로우 책 Seize the Day로 하는 말장난. 

day job. 작가, 예술가들이 생계를 위해 하는 낮 동안의 일. 

얄팍한 말장난 좋아하는 나는 이 말장난에도 웃었고 지금 쓰면서도 다시 웃게 된다. 

울고 싶게 만들던 문장들은 이 글에 더 있었던 거 같다. 


오늘 목표로 했던 작업을 조금 전 끝냈다. 

어디서 울고 싶었나, 천천히 다시 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