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카테고리 오손도손
글쓴이 여울마당 등록일 2003-09-16 오후 4:45:39
"우리는 인터넷에서 함께 달린다 - RunDiary"  

.

안해가 걷기에서 시작하더니,
요즈음은 잘 나간다.~
살도 쭉쭉빠지고, 동네 아줌씨들에게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뛰기도 하고, 헤드폰에 음악즐기며 갑천변, 쓰리런 등등 승리의 개선장군처럼 화려한 전적을 듣게된다. 그러면서 왈~ 쓰리런을 1시간에 주파했다며 마지막 적국의 성을 함락시키듯 의기양양하다.

'걷기도 싫어하던 사람이 뭐땀시 저리 변해부렀을까?’

운동을 한 후 미약한 통증을 호소하는 안해에게 호프집으로 가며,
초짜로서 여기저기 주워들은 정보를 가공해서 일갈한다.

“에~ ! 사람은 몸하구, 머리, 다리가 있잖아. 그런데 몸은 절대 거짓말을 안한다구. 그런데 희한하게도 초보에게는 멍청한 머리님의 오버가 늘 문제란 말이지. 예를 들어, 다리가 열심히 뛰지. 그러면 몸은 이거 주인님의 신체에 뭔가 변화가 생겼구나라구 하면서 서서히 준비를 하지. 그런데 머리란 놈은 ‘어~ 기분좋은데. 처음 느껴보는 이맛이야. 계속해~ 계속해~’이러거든. 이것이 ‘머리의 오버’라고 하는데, 기준을 넘어서 몸하고, 다리에게 유혹을 하지. ‘더뛰어, 괜찮아~ 기분 좋잖아. 해봐~ 해봐!’ 이러는거야.”

“ 그럼 어떻게 해야 되겠어? ”
“ 몸이 하는 말을 들어야지! ”
“ 그래, 몸은 정직하다구, 욕심이라는 것을 모르는 놈이야. 시키는대로 묵묵히 일하는 놈이라구. 조금 강해지면 그만큼 변해서 나타난다구. ‘나~ 변했어요.?’ 더 열심히 운동하셔도 됩니다. 주인님! 늘 반박자 느리다고 생각하면돼! 그래! 그래! 형광등처럼 말이야”
“어렵게 말하면,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함과 같은거야. 언젠가는 표시가 나는 법이야. 머리는 반박자 빠른 놈이기 때문에 늘 조심해야돼”

“왜 쉬어야 되는지. 이해가 돼, 안돼~ ” “쉴 거야? 쉬지 않을거야? 응”


본 자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 스크랩해서 따로 관리해 보세요... >> 스크랩하기
수심행 내 이야기군요. 머리 말만 듣다가 발병나서 쉬고있는 중입니다.
욕심부리지말고 달리라고 남들에게는 말하지만 정작 나는 그렇게 하지못했답니다. 건강한 달림이 됩시다. [2003-09-17] [편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용 대학 나남신서 668
이동환 역해 / 나남출판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어릴 때 만약 사서삼경을 공부했더라면 지금 사고가 유연해졌을까? 아니 어쩌면 도사나 되어있지 않을까?  논어,맹자를 다 알고 있노라고 단언을 했건만, 단지 배운 경험이 있다는 이유로만 그렇게 '알고있다'"알고있다'라 스스로 주입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책 한권보지 않는 이공계생으로서 과학적 사고의 단순함에 매료되어 늘 일상을 한가지 정답만으로 귀추시키려는 일상의 노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생활했던 기억들의 연속이었다.  중딩,고딩,대학도 반추해보면 한가지 정답, 심사숙고되지 않은 정답에서 늘 생활을 재단했던 모습들이 즐비하다. 일상은 다른 생각, 다른 가치관, 무수한 답으로 섞여있었는데도 나름대로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중독되어, 그 사고를 일상에 끊임없이 칼을 들이대었다. 단순하고 무식하고 용감함?이었다.

그렇다고 침잠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경계에서 사고의 한부분을 달리 보려는 상대주의에 이끌려 반면으로 가끔 들르고 싶다.  책상 한켠에 늘 두고 눈길을 주게 되려는 우려도 있지만 그것은 나중의 일이고, 지금은 ... ... 그러고보니 대학중용 오디오북을 사서 듣고 있다.  좀더 유연해질 수 있으면 좋겠다. 이 또한 지나친 욕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룻밤에 읽는 심리학 - 심리학의 세계를 한눈에 그림으로 읽는다 하룻밤 시리즈
후카호리 모토후미 지음, 신혜용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어쩌다 하룻밤~ 시리즈를 좋아하게 되었는지? 바쁨을 핑계로 겉핥기만 좋아하는 습성이 이렇게 단맛만 맛보려하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우연히 서점에서 접한 이책을 보면서 그동안 뜨문뜨문 떨어져 있는 낱장의 지식들이 연결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저자의 내공때문이기도 하겠지만... ...

일터에서 일관되게? 받았던 직무교육은 5장 성격심리학에 따른 대인관계 제8장 사회와 인간관계 심리학, 그리고 분절되게 읽었던  프로이트, 융 등과 관련된 철학책들 그리고 최근의 심리학 동향과 자본주의가 배태한 숱한 병리적 현상들을 한번에 엮어주는 느낌을 받는다.

하룻밤에 읽지 않았다. 가끔 다시 생각나, 압축요약 방법이 다시 생각나 다시 훑어보게 된다.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 24시간 어떻게 살 것인가
아널드 베넷 지음, 이은순 옮김 / 범우사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이책은 근80-90년전의 자기 관리서적이다.  읽으면서 드는 느낌은 요즈음 처세서와 약간 튀는 점이 있다. 그래도 여러 독자에 대한 배려나,  굳이 책을 팔려는 상술이 요즘처럼 원색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경쟁적이 처세서와 시간관리서의 쥐어 짜내기 수법이 아니라, 중요한 것은 성찰과 여유라는데 있다. 아무리 바쁘지만 자신에 대한 성찰과 여유가 없이는 지속적인 실천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리라.

왜 시간을 쥐어짜내기 위해 아둥바둥할까? 미래시간을 선취하기 위해, 현재도 즐기지 못하는 자신을 돌아보아야. 지금을 즐길 수 있음이 길고 오래 자신도, 시간도 관리할 수 있음을... ...

자신만을 위해 시간관리가 아니라 남도 가끔 끼워놓고, 배려할 줄 아는 것이. ...

어쩌면,  시간관리서 원전이라는 기분이 드는 것은 왜 일까? 유행에 동하지 말자. 자신에 맞는 시간 즐기기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시간관리라는 의무감에 벗어나는 것은 아닐까? 매일 둥근 원의 시간표에 숙제처럼 자신을 짜내 구속시켰던 과오를 범하지 말자.  여백을 두는 일이 그리고 자신을 성찰하는 일이 제일 먼저 시작할 일이다.  시간을 즐기기 위해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큰 녀석이 엊그제 민속촌에 소풍을 다녀왔는데,

아침 불쑥 반지 세트를 내민다. 엄마-아빠~ 커플링인가?

중지에도 맞지 않아 헐렁하지만, 맘이 들뜬다.  햐~. 커버렸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aho 2004-04-30 14: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쁘셨겠어요...기특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