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백 쪽이 넘는 책의 주제는 친절하게도 맨 앞의 길잡이 말에 잘 나와 있다. 

1. 예수 사상의 본래 모습은 히브리 그리스도교도(나자레언)들을 중심으로 한 영성신앙에 더 가깝다. 이는 나중에 바울이 변형해버린 대속신앙, 즉 헬라 그리스도교도(크리스천)들에게 퍼진 변형된 유대교 신앙과 다르며, 바울식 그리스도교와의 세력 싸움에서 져서 사라지게 된다. 

2. 현재의 바울로식 그리스도교는 육체의 부활을 믿고, 예수가 제물이 됨으로써 아담의 원죄가 대속되었다고 믿는 대속신앙이다. 반면 예수의 영성신앙은 제나(자아)가 죽음으로써 하느님이 주시는 영원한 생명인 얼나, 참나로 거듭나는 것이다. 이는 영지주의와도 상통하며, 요한 복음 속에 일부 나타나 있다.  

영성신앙   대속신앙 

말씀중심  교회중심 

얼나         몸나 

프뉴마      소마 

히브리      헬라스 

나자레언   크리스천 

 

이상.  

나머지 오백 쪽의 내용은 요한복음 중에서 영성신앙에 해당되는 부분들을 류영모 어록과 기타 서적들을 비교해가며 해설하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길잡이 말에서 했던 논조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 끝까지 다 읽는 것이 참... 힘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초창기의 중역본 

(구역, 옛번역) 성경전서 (대한성서공회, 1911) - E. Palmer의 Novum Testamentum Graece (1881)과 Eberhard Nestle의 Novum Testamentum Graece (1923, 14th Ed.)과 Ginsburg의 Torah, Nevi'im, Ketuvim (1908~1926), English Revised Version (1881~1885), American Standard Version (1901) 등을 바탕으로 하고, 한문(文理譯)이나 일본어본을 참조해가며 번역하였으니 이중 삼중의 번역본이라 할 수 있겠지만, 한편으로 근대 한국어의 성립에 큰 역할을 한 책.    

(개역) 성경전서 (대한성서공회, 1938) - 역사적 철자법

(개역한글판) 성경전서 (대한성서공회, 1961) - 한글맞춤법통일안

(개역개정판) 성경전서 (대한성서공회, 1998)  

 

 

 

 

 

 

 

 

개역판, 개역한글판 등 몇 차례 당대의 맞춤법 표기를 반영한 판본들이 있었고, 표준새번역의 등장과 함께 역사의 한 페이지로 사라졌어야 했으나 표준새번역이 널리 보급되지 못하면서 임시통변으로 등장한 것이 개역개정판.  

이런저런 사정과 논란은 각설하고, 개역판 계통은 구한말의 열악한 사정 속에서 번역된 고색창연한 판본임에도 불구하고, 소위 무오류설이니... 글이 어려우면 공부하면 되니...  하는 등의 얼척없는 구실까지 붙어가며 아직까지 개신교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고귀한" 라틴어 성경만 꼭꼭 움켜쥐고서 "속되고 천박한" 독일어, 영어 등으로 번역하지 못하게 막던 중세 시대와 별로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  

 

2. 원전번역, 개신교 

(새번역) 신약전서 (대한성서공회, 1967) - "우리말을 모국어로 하는 우리 학자들이 번역"

(표준새번역) 성경전서 (대한성서공회, 1993)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1967/77) 

Biblia Graecea Sthephanus (1983)

히브리어 구약 마소라 텍스트, 헬라스어 신약을 저본으로 함. 

 

 (표준새번역 개정판, 새번역) 성경전서 (대한성서공회, 2001) 
 

 

 

 

 

지금쯤에는 이 책이 널리 읽혀져야 하는 것이 맞겠으나, 보수 교단의 반발과 심지어는 일부 교단의 독립적인 번역 움직임까지 불러일으킨 책. 

 

3. 원전번역, 공동번역본 

(공동번역) 성서 (대한성서공회, 1977) 

(공동번역) 성서 (조선기독교도연맹, 1984) - "평양 교정본"

(공동번역 개정판) 성서 (대한성서공회, 1999)   

 

 

 

 

Rudolph Kittel의 Biblia Hebraica (1937, 3rd Ed.) 와 The Greek New Testament (1966, 1st Ed) 등을 저본으로 했다.

당시의 교회일치운동(oecumenicalism)의 일환으로, 천주교와 개신교의 성서학자들이 모여 함께 번역한 성서. 세계 성서 번역사에 길이 남을 좋은 선례로 남았다. 선종완 신부, 문익환 목사, 이현주 목사 등이 참여. 하지만 일부 개신교계의 반발로, 천주교, 정교회 및 대한성공회 등의 일부 개신교 종단만 쓰게 되었고, 현재는 천주교에서도 자신들의 독자적인 번역본을 쓰고 있다.

 

4. 원전번역, 천주교 

200주년 신약성서 (번역위원회, 1991)

성경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5)  

 

 

 

 

주석성경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0) - La Traduction Oecuménique de la Bible = TOB

 

 

 

 

 

 

5. 쉬운 말로 풀어 쓴, 참고할 만한 책들  

현대인의 성경 (생명의말씀사, 1985) - Living Bible 번역.

 

 

 

 

 
현대역 성경 

 

우리말 성경 (두란노서원, 2004)

 

 

 

 

쉬운 성경 (쉬운성경편찬위원회)   

 

 

 

 

메시지 (유진 피터슨)

  

 

 

 

 

6. 소수 의견 

바른성경 (한국성경공회, 2008) - 대한성서공회의 표준새번역에 대한 일부 보수 개신교단의 반발로 만들어짐.  

KJV만이 완벽하고 오류 없는 번역이고, 나머지 번역본은 말씀을 왜곡하였고... 심지어는 사탄의 말이니 뭐니 하는 소리까지 해가면서 KJV를 조잡하게 번역한 일부 책들이 있나 보다. 헌데 자기들끼리 또 막 싸우고 그러면서 자그만치 4가지 번역본이 쏟아져 나왔다. 서로 자기들 책이 진짜고, 다른 책은 또 사탄의 말이라고 하고... 진짜 가관이다! KJV에 대한 중학생 수준의 직독직해를 원하는 독자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보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 사료되기에, 기록만 해놓는다.

KJV 완역한글판 (서달석, 한국킹제임스성서협회)   

킹제임스권위역 (박만수, 안티오크) 

한글킹제임스성경 (이송오, 말씀보존학회)  

킹제임스흠정역 (정동수, 그리스도예수안에)

 

 

 

 

 

7. 원전번역

히브리어-한글대조 구약성경 (허성갑, 2009)  

신약분해 대조성경 (김기수, 20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공자를 다룬 책들과 논어 번역서 善本들. 

1. 공자 전기  

  

 

 

  

 

 

 

 

영국의 동양학자 H. G. 크릴의 [공자, 인간과 신화]는 인간 공자의 면모를 사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이름을 떨쳤던 사계의 필독서. 이후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선생과 이노우에 야스시 선생, 요시카와 고지로 선생 모두 20세기 일본의 동양학 대가 답게 공자의 일생을 설득력 있게 재구성한 책들을 하나씩 펴냈다. 시라카와 선생의 [孔子傳]은 중국에도 소개된 바 있고,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1977년도에 金河中 번역본이 知人社에서 나온 바 있다. 이번에 새로 나온 재야 사학자 김기평 선생의 번역서도 관심이 간다.  

[수사고신록]은 고증학자 최술의 저술로, 이런 '인간 공자' 식의 저술들의 원류가 되는 책이라 한다. 이번에 부산권 한학자들의 작업을 통해 문세하게 되었다고 한다. 

 

 

2. 국내 대표 번역서   

 

 

 

  

가장 기초가 되는, 교과서적인 책부터 보자. 보통 주자의 주석서인 [논어집주]가 조선시대 이래로 많이 읽혀 왔고, 표준적인 해석으로 자리잡아 왔다. 성백효의 [현토완역 논어집주]는 초판 표지 색깔을 따라 소위 '파란책'으로 불렸던 것인데, 처음 나왔을 때부터 한학 전공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던 책이다. 한문을 직역하는 식의 번역이어서 한문 교습에 적당했기 때문. 이것은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는 문제인데, 이런 직역투의 번역은 일반 독자가 그냥 읽기에는 조금 어색한 것이 사실이다. 김도련의 [주주금석 논어]는 주자의 주석뿐만 아니라 정약용의 [논어고금주]까지 소개한 숨은 명저. 임동석 번역본은 원래 학고방에서 나왔던 것을 개정한 것으로, 퇴계 및 율곡 언해본을 소개한 자료적 가치가 높다. 가장 최근에 나온 박성규의 [대역 논어집주]는 원문-번역문 교차 편집에 [주자어류] 등의 관련 내용을 주석으로 꼼꼼하게 정리했다. [주자어류]가 완역되어 있지 않은 상황인지라, 특히나 소중한 자료가 되겠다. 약간은 구태의연한 모습이 없지 않은 기존 서적들을 뛰어넘는 바가 있어, 앞으로 학계의 표준적인 교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용옥의 [논어한글역주] 또한 기본적으로 [논어집주]를 깔고, 다양한 자료를 원용한 역작.  

  

 

 

 

 

 

 

이 밖에도 [논어집주]는 주자의 주석 뿐만 아니라 세주까지 번역하고 있는 작업들이 있다. 

 

 

  

 

 

 

 

  

위에서 잠깐 언급한 조선조 경학의 최고봉, 다산 정약용의 [논어고금주]는 이전에 전주대학교출판부에서 나왔던 전집의 한 권으로 나온 바 있는데, 이번에 다섯 권 분량으로 완역되었다. 

 

 

 

 

 

3. 국내 참고 번역서, 논저 

 

 

 

  

전 성균관대 교수 이기동의 [논어강설]은 유교에 대한 자기류의 해석을 바탕으로 한 주장들이 약간은 강하게 들어간, 조금은 고루한 느낌의 해설서. 현 성균관대 교수 신정근의 [공자씨의 유쾌한 논어]는 소장학자의 참신한 시각을 볼 수 있는 저작. 

 

 

 

 

 

 

배병삼, 김형찬, 황희경의 번역서들도 [최고의 고전번역을 찾아서] 등에서 괜찮은 평가를 받은 저작들. [글로벌 논어]는 한국어-일본어-영어-현대 중국어(백화문) 대역본. 

 

 

 

 

 

 

 

박이문의 [논어의 논리]는 분석철학적 관점에서, 김승혜의 저작 두 편은 '원시유교'와 기독교의 접목이라는 측면에서 공자의 사상을 해부한다. 

 

 

[논어맹자와 행정학]은 현상학적 행정학의 관점에서 [논어]를 분석하고 있는데, 유가사상이 동아시아 정치사상사에서 차지한 위치를 생각하면 반드시 필요한 접근. 최근의 저술로는 강형기의 [논어의 자치학], 동서 비교철학적 관점에서 거시적인 접근을 꽤하는 황태연의 [공자와 세계] 등이 있다. 

  

 

 

 

 

[분논어]는 악카드어, 라틴어 등 고대 언어 번역이라는 전무후무한 작업을 수행한 괴작. (대체 왜 이런 작업을? 이라는 질문은... 묻어두도록 하자.) 그냥 이런 책도 나오는구나, 하며 박수만 치시길. 이 책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사람은 국내에 얼마 안 될테니 말이다.

 

 

 

 

 



4. 해외 대표 번역서   


 

 

 

 

오규 소라이의 명저 [논어징]은 일본 유학계의 대표작. 조선에 [논어고금주]가 있다면, 일본에는 [논어징]이 있다고 해도 되려나. 일본 동양사학계의 거두 미야자키 이치사다의 [논어]는 담백하고 현대적인 번역이 돋보이는 명저.   

 

 

 

 

 

  

중국 학계를 보면 당대의 석학, 미학자 이택후의 [논어금독], 중화권의 표준적인 번역서인 양백준의 [논어역주](을유문화사), 남회근 선생의 저서(현재는 절판 상태인데, 부키에서 저작선의 일환으로 곧 나오지 않을까 한다) 등이 많이 읽힌다.   

 

 

5. 해외 참고 번역서, 논저 

 조기빈의 [반논어]는 공산주의 중국에서 바라본 보수 반동주의자 공자의 모습을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다. 단순한 흥미 수준을 넘어서는 정치한 분석이 문제지만... (이런 틀에 박힌 뻔한 짓을 하다니, 역시 어쩔 수 없군, 에서... 어, 어라... 이게 아닌데! 정도로? ^^) 

 

 

 

 

영어권 번역서들도 James Legge의 고색창연한 번역부터 Arthur Waley, Burton Watson, D. C. Lau 등 다양하게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최초의, 체계적인 정리물은 일본 민속학자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의 조선총독부 보고서, 저 유명한 [조선의 풍수] 되겠다. 일본인이 지은 보고서 답게, 간략한 요점 정리가 돋보인다.

 

 

 

 

원래 민음사에서 최길성 선생 번역으로 나왔더랬는데, 찾을 수가 없어 일단 명문당판과 민속원 일본어 원본 복각판을 올려놓는다.  

참고로, 해방 이후 당대 일본 학자의 시각으로 우리의 풍수라는 현상을 관찰한 저작도 상재된 바 있다. 노자키 미츠히코(野崎充彦)가 지은 [한국의 풍수사들].  

  

 

 

 

 

한국 지리학계에서 풍수에 대한 학문적 정립에 힘쓴 최창조 전 서울대 교수의 작업물도 많다. 

먼저, 대우학술총서로 나왔던 [한국의 풍수사상]은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선정을 중심으로 한 도읍풍수 부분에 대한 서술이 많고, 서해문집에서 나왔던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같은 서적은 '한국풍수의 이론과 실제'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풍수의 기초이론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책이고, [한국의 풍수지리]는 다양한 내용들이 골고루, 약간은 이야기식으로 나온다.

 

  

풍수학 최고의 경전인 [청오경](장경) 및 [금낭경](장서) 번역물. 

 

 

 

 

 [터잡기의 예술] 같이 서구에서 받아들여진 풍수(Fengshui) 이론을 소개한 책도 있고.

이후의 책들은 틈틈이 잡지 등에 발표하는 글들을 모은 것들이 위주인데, 조금 비슷비슷한 주제들을 반복하는 느낌이다.  

 

 

 

 

 

 

 

 

말 그대로 '풍수잡설'의 범주에 들어갈 내용들이고, '새로운' 풍수이론이라고 나온 책도 이전에 나온 몇 권의 책들, 특히 민음사와 같은 계열사인 판미동에서 나온 [도시풍수] 등에 나온 내용이나 일화들이 유사하게 반복된다. 소위 '자생풍수'나 '양택풍수', '도시풍수' 등의 용어와 '명당은 만드는 것이다' '좋은 땅이 아니라 나와 맞는 땅을 찾아라' 등의 지론들... 

 

 

그나마 [북한문화유산답사기] 정도가 조금 새로운 내용이 있고... 

 

 

 

 

 

 

독문학자 김두규도 풍수 고전의 번역 및 신작의 꾸준한 집필을 병행하고 있다. 

 

 

 

 

[지리신법], [명산론], [갑룡경], [의룡경] 등을 번역하여 고전을 죄다 번역하고, 

 

 

 

 

사전에다가, 강의록까지 펴냈다. 오히려 풍수이론의 체계적인 소개는 김두규 교수가 도맡아 하는 느낌이다.  

 

조인철 씨는 건축가 답게 실제 부동산의 측면에서 풍수를 접근하고 있고. [우리시대의 풍수]는 강의교재 같은 분위기의 책으로, 다양한 풍수 고전을 섭렵한 저자가 풍수 기초 이론을 잘 정리한 책. 특히 도판들이 괜찮다. 나머지 두 권도 일반인들이 재미 삼아 보기 좋은 책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생풍수의 비밀 - 부동산을 보는 안목을 키우고 가치를 높이는 방법
조인철 지음 / 다산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택풍수를 부동산 투자에 어떻게 실제적으로 접근하는가를 살핀 책. 볼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