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개 - Poongsa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근데 오다기리 죠는 정말 어느 장면에 출현했을까? 얼굴이라도 비추지, 무정한 사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굿바이 2011-07-07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찾아보겠습니다~ :)

Seong 2011-07-07 13:08   좋아요 0 | URL
부탁드립니다~ :D
 

 

If you summarized the stories of all the movies, it would seem to be hoary old. All new kinds of films never tell a new story, but "show" it in a different way. Satyajit Ray, the great film director in India, did do. 

Satyajit Ray had been known to "few" Korean moviegores for only, and even, probably most of them haven't seen his works. There would be a lot of reasons, but sure thing is, Satyajit Ray and Idian films are uncharted territory to us. It would remain uncharted to me if my friends(Vijay, Aparna, and my brother-in-low Prem) didn't let me know and give me a present "Satyajit Ray's DVD Box Set". When I got it, I promised that I'd review each film as soon as watch it. And this is time to keep the promise. :)

<Devi (1960)> starts to show the process of how a simple model turning to be a Kali(a goddess in Hinduism) figure. This scene looks stunning (even don't know of Hindu religion), and implies what story goes on.  

 

In 1860 at Chandipur, in rural Bengal, India(On the DVD, can't find any information about region and era. They're taken from satyajitray.org.), Daya and her husband Uma live with Uma's family. His father is a respected landlord and a devotee of the goddess Kali. Since Uma is away at school (to pass the exam), Daya looks after her father-in-law and his family. One evening, Uma's father has a dream that Daya is an incarnation of Kali and must be worshipped as such. After hearing the news, Uma returns home but is unable to correct the situation because Daya herself begins to believe that she is a goddess Kali. And her belief turns to tragedy.  

<Devi> continually contrasts humanity and divinity, true nature and illusion, weak belief and blind faith, modernity and tradition (saying more, other religion[Christianity] and Hinduism, new generation and old one, belief and hope). You don't need to study of Hindu religion or Indian Myth to watch this film (If you know, will be more interesting, but that's not the theme). Satyajit Ray asks, if blind faith and miracle happened simultaneously, what would you do? Can you choose the right thing? Are you sure and confident who you are and what you're doing?  

In the film, Daya is a normal housewife (and only 17 years old!) but because of her father-in-law's vision(in fact, just dream!), she turns to be a living statue like a stone. However, she does a miracle(actually, coincidence) and beings to think "maybe" she is the goddess. And her blindness makes herself from the goddess to the demon. When breaking her faith, she looks mad. The uncertain faith can't maintain humans themselves. Satyajit Ray describes the weak human being. To support an imperfect human nature, we have a religion, but ironically, it could destroy us (like Kali does, who destroys). Yes, now I understood Vijay's saying. "Satyajit Ray is Akira Kurosawa in India." I totally agree with him, even though I've just watched only one movie. <Devi> is touching and twisting something inside me. I'm looking forward to finding what they are through watching Satyajit Ray's films.  

 

About the DVD, <Devi>'s picture quality is "disastrous", and all English subtitles are fixed (and some subtitles are missing). But, they're not bothering me (and my wife) to watch it because the movie's so great! To meet Satyajit Ray, this would be the magnificent thing among "the Top 5" in my life.  

 

Devi (Devanagari: देवी) is the Sanskrit word for Goddess, used mostly in Hinduism. Devi is synonymous with Shakti, the female aspect of the divine, as conceptualized by the Shakta tradition of Hinduism. She is the female counterpart without whom the male aspect, which represents consciousness or discrimination, remains impotent and void. Goddess worship is an integral part of Hinduism. 

Devi is, quintessentially, the core form of every Hindu Goddess. As the female manifestation of the supreme lord, she is also called Prakriti, as she balances out the male aspect of the divine addressed Purusha. 

Devi is the supreme Being in the Shaktism tradition of Hinduism, while in the Smartha tradition, she is one of the five primary forms of God. In other Hindu traditions of Shaivism and Vaishnavism, Devi embodies the active energy and power of male deities (Purushas), such as Vishnu in Vaishnavism or Shiva in Shaivism. Vishnu's shakti counterpart is called Lakshmi, with Parvati being the female shakti of Shiva.  

From http://en.wikipedia.org/wiki/Devi

 

Kālī (Sanskrit: काली, IPA: [kɑːliː]; Bengali: কালী; Tamil: காளி), also known as Kalika (Bengali: কালিকা, Kālikā), is the Hindu goddess associated with eternal energy. "She who destroys".The name Kali comes from kāla, which means black, time, death, lord of death, Shiva. Kali means "the black one". Since Shiva is called Kāla - the eternal time, Kālī, his consort, also means "the Time" or "Death" (as in time has come). Hence, Kali is considered the goddess of time and change. Although sometimes presented as dark and violent, her earliest incarnation as a figure of annihilation still has some influence. Various Shakta Hindu cosmologies, as well as Shakta Tantric beliefs, worship her as the ultimate reality or Brahman. She is also revered as Bhavatarini (literally "redeemer of the universe"). Comparatively recent devotional movements largely conceive Kali as a benevolent mother goddess. 

Kali is represented as the consort of Lord Shiva, on whose body she is often seen standing. She is associated with many other Hindu goddesses like Durga, Bhadrakali, Sati, Rudrani, Parvati and Chamunda. She is the foremost among the Dasa Mahavidyas, ten fierce Tantric goddesses. 

From http://en.wikipedia.org/wiki/Kali 

 

댓글(4) 먼댓글(13)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rencontre femme cougar rennes
    from rencontre femme cougar rennes 2014-02-15 06:56 
    [앜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2. http://www.mindstretchingfun.org/hamilton/cheap-michael-kors
    from http://www.mindstretchingfun.org/hamilton/cheap-m 2014-09-20 19:42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3. http://www.pharmacyforme.org/ebay/?t=michael-kors-purses-outlet
    from http://www.pharmacyforme.org/ebay/?t=michael-kors 2014-09-20 23:33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4. http://www.trenthamboatclub.co.uk/uggs-cheap-sale-uk
    from http://www.trenthamboatclub.co.uk/uggs-cheap-sale 2014-10-01 12:20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5. http://www.manorhouseoban.com/brands/?t=cheap-michael-kors
    from http://www.manorhouseoban.com/brands/?t=cheap-mic 2014-10-07 03:44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6. NTC 362 Week 1 Individual Assignment Tele-communications Evolution Timeline
    from NTC 362 Week 1 Individual Assignment Tele-communi 2014-11-06 23:53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7. http://smartgeometry.org/2014deals/michael-kors-cyber-monday
    from http://smartgeometry.org/2014deals/michael-kors-c 2014-11-08 01:03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8. authentic jordan 13 white black grey for sale price
    from authentic jordan 13 white black grey for sale pri 2014-11-12 00:20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9. http://www.tricedesigns.com/tags/Air-Jordan-5-Air-Sole-High-Black-Yellow-Women-cheap-for-sale
    from http://www.tricedesigns.com/tags/Air-Jordan-5-Air 2014-11-28 05:18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10. http://www.ay-pe.com/?t=Coach-factory-outlet-store-carlsbad
    from http://www.ay-pe.com/?t=Coach-factory-outlet-stor 2014-11-28 06:14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11. http://www.kickboardforteachers.com/michaelkors/cheap-white-michael-kors-bags
    from http://www.kickboardforteachers.com/michaelkors/c 2015-02-12 11:26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12. http://www.wordmetro.com/cheap-replica-Pink-michael-kors-handbag-outlet
    from http://www.wordmetro.com/cheap-replica-Pink-micha 2015-03-30 12:27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13. http://www.nmallstars.com/mk/Michael-Kors-Fulton-Messenger-Small-Fuchsia-Crossbody-Bags-cheap-outlet
    from http://www.nmallstars.com/mk/Michael-Kors-Fulton- 2015-04-03 08:07 
    [알라딘서재]Human nature, Weakness and Blindness,
 
 
정민 2011-07-12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리뷰만 읽으면 진심으로 보고싶은 영화인데...?? 인도영화에도 이런영화가 있었다니 놀라울 따름... 난 다 볼리우드나 로봇같은줄말 알았쮜...ㅋㅋㅋ

Seong 2011-07-12 20:16   좋아요 0 | URL
나도 인도영화는 전부 <춤추는 무뚜>인줄로만 알았다... :) 왜 고전인줄 알겠더구만.

Prem 2011-07-19 0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brilliant review, tomek. now i know why you turned out to be a movie critic...am impressed by your sharp interpreatation of this movie as well. you will be surprised - not many indians get it the first time they watch this movie. proud to have u as my bro-in-law:-))

Seong 2011-07-19 09:22   좋아요 0 | URL
Thank you for your compliment! Honestly, I'd like to talk about a lot of things of , but, Alas, my poor English!
When do you have a plan to come HERE? I have some UNIQUE KOREAN FILM LISTS. When you come, I'll give them. Look forward to, joyfully!

See Ya! :D
 
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여 년 전, 대학교 때 일이다. 당시 과 사무실에서 연로하신 조교와 나이든 후배와 함께 라디오를 듣고 있었는데, 마침 동물원의 「시청앞 지하철 역에서」가 흘러나왔다. 내가 이 노래를 처음 들었을 때는 중학생 때였었는데, 그 때를 떠오르면서 이 노래에 대한 품평을 하기 시작하자, 그들이 나를 멋모르는 어린아이의 실수를 감싸주는 듯한 눈빛으로 쳐다보며 이렇게 말을 했다. "이 노래를 제대로 들으려면 최소 서른은 지나야지. 이 노래를 이해하기나 하니?"  

물론, 「시청앞 지하철 역에서」를 제대로 들으려면, 정말 서른이 넘어야 할지도 모른다. 그렇다고해서, 이 노래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짝사랑했던 여자도 있어야 하고, 그 여자가 결혼도 하고 애도 있어야 하며, 1/2호선 안에서 우연히 마주쳐야만 하는가? 모든 예술 작품에는 그 때 느낄 수 있는 감정선이 있다(고 나는 믿는다). 초등학교 때 처음 들었던, 절규하는 듯한 전인권의 「이등병의 편지」의 울림이나, 스무 살, 「서른 즈음에」를 들으며, 앞으로 다가올 서른이라는 세월의 무게를 느꼈던 그 때. 이런 일상의 결들을 꼭 "내가 경험해봐서 아는데~"하는 식으로 꼭 경험의 우위로 내세워야 하는 것일까? 그 때 대학교 때 일을 반면교사로 삼으며, 난 경험을 맹신하지 않고, 살아왔다.  

그랬던 내가, 김애란 작가와 그녀의 첫 장편인 『두근두근 내 인생』을, 그런 꼰대들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네가 인생에 대해 얼마나 알겠니?" 하는 재수없는 표정을 지으면서 말이다.  

사실, 어느 작가나, 인생이나 죽음이란 무거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선택이다. 더군다나 이제 (EU기준으로) 서른을 넘긴 작가가 첫 장편으로 이런 무거운 소재를 선택했음을 알게 됐을 때, 책장을 넘기면서 조마조마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김애란은 이 무거운 주제를 자기만의 방식으로 멋지게 우회하며 나 같은 꼰대들을 "쓰러지게" 만들었다. 어떻게 표현할 방법이 없다. 그냥, "벅차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표현 같다.  

가장 행복해야 할 시간을 가장 힘들게 보낸 어린 부모와, 가장 짧게 살았지만, 가장 오래 산 그 어린 부모의 아이. 그리고 그 아이를 둘러싼 세상의 저열한 욕망. 어쩌면 정말이지 끔찍할 수 있는 이야기를 김애란은 정말로, 애정어린 시선으로, 그들을 감싼다. 삶과 죽음, 외로움과 설렘, 실망과 우정. 이런 이야기를 해서는 안 되는 것이겠지만, 아름이는 김애란이라는 작가를 만나, 정말로 짧고도 긴 한 세상을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았을까. 그래서 웃음을 쫓는 그의 마지막 모습은, 슬프고 장렬하기 보다는, 너무나 가슴 벅차다.  

이전까지, 김애란의 단편들은 소재뿐인 작품들이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두근두근 내 인생』을 읽고 나서, 그 생각을 버렸다. 그녀는 소재뿐인, 한계가 드러나는 이야기꾼이 아니다. 그녀는, 자기만의 방식으로 인생을 담아내고, 자신이 창조한 세계와 인물들을 따스히 보듬을 줄 아는, 흔치 않은 작가다. 앞으로 살면서 그녀가 쏟아낼 수 많은 작품들을 미리 기대하니, 정말로 두근두근해진다. 그녀 때문에, "내 인생"은 "두근두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풍산개 - Poongsa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영화의 2/3가 흐른 지점, 북파 공작원들에게 잡혀 고문을 당한 풍산(윤계상)과, 마찬가지로 공작원들에게 잡혀온 인옥(김규리)이 한데 만난다. 서로 묶여 있는 이들은 "미친듯이" 서로의 입술을 탐하며 떨어지려하지 않는다. 이 모습을 본 북한간부(유하복)는 총을 쏴대며 이들을 떨어뜨리려 하지만, 이들은 결코 떨어지려 하지 않는다. 영화를 보고 나서, 집사람에게 이 장면에 대해 침을 튀기며 얘기했다. "정말 인상적이지 않아요? 서로 어떻게든 떨어뜨려놓으려는 남과 북이 서로 한몸임을 증명하는 듯한 거대한 메타포를 표현한 것 같아요!" 이 말을 듣자 집사람은 이렇게 대답했다. "엥? 난 마치 흘레 붙은 '개'들 같다고 생각했었는데. 왜, 길거리에서 개들이 흘레 붙으면 막 사람들이 억지로 떨어뜨리려고 하잖아요. 그 북한간부가 총질한 것도 그런 것 같았는데." 지극히 개인적인 시선들이지만, 난 이 두 가지 시선이 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거대한 은유와 넘쳐나는 야생동물의 에너지. <풍산개>는 (전재홍 감독에겐 미안하지만) 오롯이 김기덕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  

남과 북을 자유롭게 오가며 물건/사람을 배달하는 한 사내가 있다. 사람들은 그의 연락처나 이름을 모른다. 그저 풍산개가 그려져 있는 풍산 담배를 피운다는 이유로 사람들에게 풍산이라 불리우고 있다. 그런 그에게 남한에 망명한 북한 고위층(김종수)이 북에 두고온 사랑하는 연인(이라지만 거의 딸뻘인) 인옥을 데려와달라는 부탁을 한다. 하지만 이 일에 국정원이 개입하면서, 사건은 조금씩 복잡해지고, 망명한 북한 고위층을 암살하려는 북파 공작원까지 개입하면서 사건은 점입가경이 된다.  

이 영화를 김기덕 감독의 작품이라 해야할지, 전재홍 감독의 작품이라 해야할지 머뭇거려진다. 김기덕 감독은 그의 작품에서 언제나, 사실과 환상을 섞어낸다. 둘 사이에 어떤 명확한 경계는 없으며, 사실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환상이 되고, 또 그 반대가 벌어지기 부지기수다. 그러한 일련의 흐름속에서, 그의 영화는 전혀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 에너지를 얻는다. 김기덕 감독의 영화가, 줄거리 상으로는 정말 유치찬란하면서도, 막상 영화를 보면 그 어떤 오라를 느끼는 것은, 그가 현실과 환상을 능수능란하게 다룰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전재홍 감독은 김기덕 감독의 시나리오에 표현된 '환상'의 요소를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아직도 감을 못잡은 것 같다. 그의 첫 번째 데뷔작 <아름답다> 역시 김기덕 감독의 시나리오로 찍은 영화다. 난 이 영화를 극장에서 보고 내 기억에서 깡그리 지워버렸는데(그래서 난 <풍산개>가 전재홍 감독의 데뷔작인줄 알았다), 그 이유는 영화가 정말로 "끔찍했기" 때문이다. <아름답다> 역시 환상과 사실이 혼재되어 있는데, 전재홍 감독은 환상의 요소를 모두 사실로 찍었다. 환상의 요소가 사라지자, 김기덕 감독 특유의 그 강한 정서를 중화(혹은 더 증폭)시켜줄 무언가가 사라졌고, 영화는 (장르의 규칙에서 벗어난) 기상천외한 호러무비가 되었다.  

반면, 장훈 감독은 <영화는 영화다>에서 특유의 환상 장면을 "스타일화"해서 찍었다. 김기덕 감독의 "환상"이 스타일이 되자, 이 영화는 독특한 장르영화가 되었다. 장훈 감독은 (인간적인 문제는 모르겠으나) 이후의 김기덕 필름 영화들에 대한 이정표를 세운 것이 확실하다.  

전재홍 감독도 이번에 <풍산개>를 찍으면서, 장훈 감독이 이루었던 것을 참고한 것 같다. <아름답다>와는 달리 이 영화는 장르 친화적이며, 액션과 유머가 곳곳에 혼재되어 있다. 그리고 김기덕 감독 특유의 "한치 앞을 예상할 수 없는" 기막힌 이야기 구조 또한 영화의 재미를 배가시켜준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전재홍 감독은 아직도 환상을 다룰 때 머뭇거리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풍산개>는 김기덕의 이름을 상기하면, 넘길 수 있는 "말도 안 되는" 장면들이 넘쳐나지만, 이 장면들에 전재홍 감독의 이름을 떠올리면, 영화 구조상의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전재홍 감독이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하며 해결해야할 문제이겠지만.  

2011년부터 지금까지 2시간 내내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몰라" 긴장하며 본 영화가 몇 편이나 되는지 생각해봤다. 며칠전에 DVD로 본 <공포의 보수>를 제외하고는, 극장에서 그런 영화를 본 기억이 없다. <풍산개>는 확실히 재미있다. 완벽한 영화는 아니지만, 그 안에 품고있는 무시무시한 에너지를 스크린에 풀어 놓았다는 것만으로도 흡족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7-05 12: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7-05 13: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11-07-05 2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기덕의 '환상' 요소는 아주 중요한 상징이 되곤 해요.
시간, 빈집, 비몽 등등 거의 모든 영화에서요.
서울 평양을 3시간에 넘나드는 풍산의 존재 자체도 판타지인데
남북 분단 상황 자체도 어쩌면 현실이 아닌 환상일지도 모른다는 전제로
영화를 봤어요. 그런 상황 자체가 비현실적이지 않나요. 우린 그걸 체감하지 못하고 사니까.
한반도 없는 북조선은 존재하지 않아. 이렇게 북한간첩단 대장이 말한 건 뭘까요? 대사들이 좀 서걱거리면서도 날 것 냄새가 많이 났어요.

Seong 2011-07-06 10:29   좋아요 0 | URL
동감합니다. :D

그런데 이제는,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환상인지 구분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처음엔 그 구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숨>을 본 이후로, 그냥 그 둘이 섞이면서 상호보완해주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문제는 김기덕의 시나리오로 영화를 찍은 전재홍 감독이 해결했어야 하는 문제라 생각했는데, 그 역시 (이번에도) 두리뭉실하게 넘어간 것 같아 조금 아쉬웠습니다. 그런 면에선 장훈 감독의 행보가 많이 아쉽기도 하고요. 오히려 김기덕의 에너지를 가지고 온 장철수 감독의 행보가 기대가 됩니다. 전재홍 감독은 김기덕 감독과 떨어져서 작업을 해야 그의 스타일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고요.

예전에 방은진 씨가 <해안선>을 언급하면서, "김기덕은 '이즘'같은 거대담론을 얘기하면 유치해진다"라는 말을 했었는데, 100%는 아니고, 어느 정도는 공감합니다. 하지만, 거대담론이라는 것은 어느 누가 이야기해도 어느 정도는 유치함을 담보로 하고 있는 것이니, 그렇게 분개할 일도 아닌 것 같고요. 오히려 자신만의 독특한 시선으로 거대담론을 풀어내는 것이 오히려 신선해보였으니까요.

아... 정말 <풍산개>는 김기덕 감독의 작품일까요, 아니면 전재홍 감독의 작품일까요... 영화를 찍은 감독의 존재감이 이렇게 적게 느껴지는 경우는 007시리즈 이후로 정말 오랜만인 것 같습니다.

novio 2011-08-10 1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나 심도 있는 글에 경탄할 뿐입니다. 그리고 오랜 만에 이곳으로 왔네요.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Seong 2011-08-11 09:32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D
 
공포의 보수 - [초특가판]
세일디브이디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정말 "별 것 아닌" 장면만으로 2시간 내내 오금을 저리게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