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문학기행 주제에는 두 명의 생존인물이 포함돼 있는데 모두 슬로베니아 관련이다. 앞서 적은 슬라보예 지젝(1949년생)과 페터 한트케(1942년생)다. 오스트리아의 간판작가이면서 독일문학의 새로운 목소리를 대표했던 한트케도 이젠 여든이 넘은 나이이고 지난 2019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공식적인 정전작가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1966년에 첫장편(아직 번역되지 않은 <말벌들>)과 문제희곡(<관객모독>)을 발표한 이래로 어느덧 6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아직 번역되지 않은 작품도 많지만 한편으론 적잖은 작품이 소개돼 있기에 한트케문학에 대해서 뭔가 말하는 일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여러 각도와 주제로 접근해볼 수 있겠지만, 내가 관심을 갖는 건 한트케의 출신(그는 하층계급, 소위 무산계급 출신이다)과 그의 어머니, 그리고 슬로베니아와의 관계이다(이들은 별개가 아니라 서로 연결돼 있다). 기본적인 자료가 되는 작품이 가장 널리 읽히는 작품의 하나인 <소망 없는 불행>(1972)이다.
어머니의 자살(1971년말. 사인은 수면제 과다복용이었다)이 계기가 돼 쓰인 <소망 없는 불행>에서 사생아 아들 한트케는 어머니의 생애(1920-1971)를 되짚어보면서 외할아버지의 삶으로까지 거슬러올라간다.
˝이야기는 나의 어머니가 돌아가신 곳과 똑같은 곳에서 50여 년 전에 태어나신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당시 그 지역에 쓸 만한 땅은 교회나 귀족 지주의 소유였다. 그중 일부는 대개 수공업자들이거나 가난한 농부들이었던 주민들이 소작하였다. 모두들 너무도 가난해서 땅을 조금이라도 소유하는 경우는 아주 드문 일이었다. 농노라는 신분제도는 형식상 1848년에 폐지되었으나 실상은 그전의 상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었다.˝(민음사판, 13-14쪽)
외가쪽 가계에 대한 설명인데 사실 가난한 소작농과 같은 무산계급은 ‘가계‘라는 것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외할아버지의 부친은 ‘아버지‘가 아니라 머슴으로 살았다˝는 데서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서 그의 외가라는 것은 외할아버지대 때부터 비로소 시작된다. 외할아버지는 어떤 인물이었던가.
˝외할아버지는 남의 집에서 태어나 유일한 소유물이었던 축제일 옷이 입혀진 채 제대로 장례식도 치르지 않고 땅속에 묻혔다. 그러나 맨주먹으로 머슴살이를 했지만 몇 세대가 지난 후에는 매일 일을 해야 한다는 의무감 없이 정말로 편하게 느낄 만한 환경에서 자라난 첫번째 사람이었다. 또한 그는 빈 곳이 많은 세려증서를 가졌던 첫번째 인물이었다.˝(14쪽)
유감스럽게도 번역문의 상태가 안 좋은데(인용문 앞에서 언급된 바에 따르면, 한트케의 외할아버지는 장례식도 없이 땅속에 묻히기는커녕 딸이 자실했을 즈음 여든여섯의 나이로 생존해 있었다) 역자가 번역서(2002년 출간)보다 먼저 펴낸 연구서 <페터 한트케 연구>(1995)에서는 같은 대목을 이렇게 옮겼다.
˝남의 집에서 태어나고, 유일한 소유물이었던 축제일 옷이 입혀져 땅속에 묻혀 제대로 장례식도 없이 죽어간, 빈곳이 많은 세례증서를 가졌던 맨주먹의 머슴살이 생활로 몇 세대가 지난후 내 외할아버님은 매일 일을 해야 한다는 의무감 없이 정말로 집처럼 느낄 수 있었던 그런 환경에서 자라난 첫번째 사람이었다.˝(127쪽)
그러니까 바로 앞세대까지와는 달리 외할아버지는 농노(머슴살이)적 예속상태에서 벗어난 첫번째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해방된 농민‘이라고 해야 할까.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 ‘해방‘은 남성에 한정된 것으로 한트케의 어머니는 여전히 전근대적 예속과 차별 속 삶을 살 수밖에 없었다. 그녀의 어머니, 곧 한트케의 외할머니는 ˝여자란 이유만으로 태어날 때부터 무언가 다른 것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은 꿈조차 꾸지 못했다.˝ 어떻게 보면 불행하다는 의식마저도 결여된 삶을 산 것이 된다(객관적 불행이 주관적으로는 의식화되지 않는 상태다). 그에 비한다면 한트케의 어머니는 ˝무언가 다른 것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거나 느꼈지만 현실에서는 이룰 수가 없었다. 그녀는 배움에 대한 열망을 품었지만(˝그건 그녀가 아이였을 때 무언가를 배우면서 자기 자신에 관해 느꼈기 때문이었다˝) 그건 허용되지 않았다.
˝어머니의 이야기에 따르면, 그녀는 할아버지께 무엇인가 배우게 해달라고 ‘애걸복걸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건 할아버지껜 말도 안되는 것이었다. 그녀는 손짓 몇번으로 거절당했고 그 이후엔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일이 되었다.˝(19쪽)
그렇게 하여 그녀는 가능성은 품고 있었지만 ‘자기 자신‘이 되는 일에 실패한다. 그러다가 2차대전이 터지고 그녀는 한 독일장교(은행원 출신으로 경리담당 장교였다)와 사랑에 빠져 아이까지 갖게 되지만, 유부남이었던 남자는 그녀를 버린다(‘자기 자신‘이 되려는 시도에서 또 한번의 실패). 주변사람들은 아이에겐 무조건 아버지가 있어야 한다고 충고하고 그녀는 아무런 감정도 없이 독일 하사관의 청혼을 받아들인다. 한트케란 성을 가진 이 남자가 결국 한트케의 아버지가 된다. 술주정꾼에다 폭력을 일삼았던 남편과의 결혼생활은 불행으로 점철된 것이었다. 결국 노년에 병까지 얻게 된 어머니는 아들에게 전보를 보내고 약국에서 미리 구한 수면제를 써서 삶을 마무리한다. 아들은 어머니의 자살이 불행한 삶에 종지부를 찍는 의직적 결단으로 이해하며 슬픔속에서도 긍지를 느낀다.
어머니의 죽음 이후(직전에는 첫번째 아내와의 결별이 있었다) 한트케는 어머니의 삶을 되새겨보는 과정에서 자기 존재의 다른 기원과 마주한다. 독일인 아버지와는 다른 슬로베니아계 어머니. 그리고 외할아버지. 한트케는 오스트리아 남부 케른텐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는데(클라겐푸르트가 주도이며 한트케는 클라겐푸르트의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그라츠대학에 진학한다), 원래 케른텐주에는 슬로베니아계 주민이 과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이 살았다고 한다(독어와 슬로베니아어가 같이 쓰이는 이중언어지역이었다).
1918년 1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유고슬라비아가 남부 케른텐을 정령하면서 이 지역의 운명이 시험대에 오르게 되는데(오스트리아로 남을 것이냐, 유고슬라비아로 편입될 것이냐) 1920년 UN 감시하에 치러진 주민투표에서 과반수가 오스트리아에 찬성표를 던졌다. 이 투표에서 한트케는 유고슬라비아에 표를 던졌고 이 때문에 주변의 분노를 샀다고 한다. ‘꿈꾸었던 동화의 나라‘ 슬로베니아에 대한 한트케의 동경과 애정, 슬로베니아 독립에 유감을 표하면서 세르비아의 유고연방주의에 대한 지지는 (이는 밀로세비치에 대한 지지로까지 이어진다) 어찌보면 외할아버지의 선택을 반복하는 제스처로 보인다. 그것이 정치적, 도덕적 비난을 무릅쓰는 일이라 하더라도.
언젠가 카뮈는 알제리전쟁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런 식으로 답한다. 만약 진리가 어머니와 함께 있지 않다면 나는 어머니의 편에 서겠다고. 어머니와 진리 사이에 양자택일해야 한다면, 자신은 어머니를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카뮈만큼이나 ‘어머니의 아들‘ 작가의 면모가 뚜렷한 한트케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 같다. 유고 내전에 대한 질문을 받는다면 한트케는 어떻게 답할까. 나의 상상은 이렇다. 만약 어머니가 정의와 함께 있지 않다면 나는 어머니의 편에 서겠다. 내게 한트케의 문학은 그런 아들의 문학이다.
어제 류블랴나에서 블레드로 오는 버스에서 강의한 내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