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츠부르크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빈으로 이동중이다. 4시간쯤 소요되는데, 휴게소에 한번 들를 거라 4시간반쯤을 예상하고 있다. 저녁을 먹기에는 좀 늦은 시각에 빈에 입성할 것 같다. 출발이 늦어진 건 츠바이크센터 방문이 예상보다 길어졌기 때문인데 센터의 연구원(20대로 보이는 해맑은 청년이었다) 츠바이크의 생애에 대해서 자세하게 소개해주었다. 순차통역으로 진행했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 것. 무질박물관이 연구센터를 겸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츠바이크센터는 작가박물관을 겸하고 있었다.

잘츠부르크에 츠바이크센터가 들어선 배경은 앞서 적었는데 사실 츠바이크의 저택이 센터가 된 건 아니다(막연히 그런 줄로 알았다). 츠바이크가 살던 집은 현재 개인 소유이고 현재의 센터는 그와는 떨어진 곳에 있다. 원래의 집은 츠바이크가 한눈에 반해서 1919년에 구입했다고 알려진다. 그러나 1920년에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이 개최되면서 츠바이크는 잘츠부르크에 거처를 정한 일을 후회했다고. 사교성이 없는 편이었던 빈 출신의 츠바이크가 사람들을 피하려 옮겨온 곳이 잘츠부르크의 언덕집이었는데 페스티벌이 열리면서 해마다 여름이면 세계 각지에서 사람들이 찾는 장소가 되었던 것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츠바이크는 해마다 축제기간 때면 잘츠부르크를 떠나 있다가 되돌아왔다고 한다.

잘츠부르크에서 생활은 1920년에 결혼한 첫아내 프리데리카와 함께했으나 나치의 박해를 피해 망명길에 오르면서 부부 사이에도 금이 가게 된다. 두번째 아내가 되는 로테 알트만과의 불륜이 발각되면서 츠바이크는 1938년 프리데리카와 이혼하고(그렇지만 이혼 뒤에도 두 시람은 편지를 교환하며 친구로 지냈다고) 이듬해에 로테와 재혼한다. 1940년 2차대전이 격화하면서 유럽도 안전하지 못하다는 판단이 들자 츠바이크는 미국으로 떠난다.

미국에서도 마음의 안정을 얻지 못한 츠바이크가 최종 망명지로 선택한 곳이 브라질이다. 그는 브라질을 ‘미래의 나라‘라고 불렀다. ‘어제의 세계‘를 떠나 ‘미래의 나라‘로 온 셈. 그렇지만 전쟁이 장기회되고 심한 우울증에 시달리던 츠바이크는 1942년 2월 아내와 동반자살의 길을 선택한다. 오스트리아 빈의 부유한 유대한 집안의 차남으로 태어나 당대의 베스트셀러 작가로 인기를 누렸던 츠바이크의 마지막이 머나먼 나라 브라질에서의 자살일 것이라고 누가 예상할 수 있었을까.

짐작에 츠바이크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오스트리아 작가다(오스트리아 작가라기보다는 독어 작가로, 아니면 그냥 ‘츠바이크‘로 읽히는 듯싶지만). 작가로서 츠바이크의 성취는 무엇인가? 작가 평전(그는 세계 3대 전기작가다. 나머지 두명이 누구인지 모른다는 게 함정이지만)과 몇몇 인상적인 중편소설을 떠올리게 되지만, 그에 더해서 자서전 <어제의 세계>를 빼놓을 수 없다.

나는 전기와 소설, 자서전이라는 세 장르가 츠바이크의 장르이고 그의 성취는 이 세 장르에 고르게 배분돼 있다고 생각한다. 비록 생전의 그의 인기와 대중성이 시기와 의혹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지만 그 인기와 대중성이 지금까지도 이어지면서 오랜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평가할 만하다. <발자크 평전>과 유일한 장편소설 <초조한 마음>, 그리고 <어제의 세계>만으로도 츠바이크는 오래 기억되고 사랑받을 만한 작가다. 잘츠부르크의 츠바이크센터 방문의 의의를 되짚어보면서 내리게 되는 결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츠부르크의 오전 일정은 미라벨 (궁전보다 더 유명한) 정원과 게트라이데 거리의 모차르트 생가(박물관)를 둘러보는 것이다. 잘츠부르크를 찾는 관광객이라면 필히 거쳐가는 장소들로 아침부터도 한국과 중국 단체관광객을 여러 팀 만날 수 있었다. 모차르트박물관은 내용이 잘 갖추어져 있지만 악보를 읽지 못하는 관람객은(악보 문맹!) 초상화와 유럽 여행의 여정에만 관심을 두게 된다. 모차르트 소개문구를 빌리자면 ‘유럽인 모차르트!‘.

잘츠부르크를 떠나 빈으로, 런던으로, 파리로, 그리고 이탈리아의 도시들로 끊임없이 여행했던(연주와 구직이 목적이었지만) 모차르트의 삶은 길 위의 삶이기도 했다. 모차르트(1756-1791)가 괴테(1749-1832)와 동시대인이었다는 사실과 함께 18세기가 그랜드투어의 세기였다는 점도 떠올리게 된다(괴테의 이탈리아 여행기에 준하는 모차르트의 여행기도 대신 쓰일 법하다). 보마르셰의 희곡을 강의에서 읽은 적이 있는데 모차르트의 오페라도 같이 살펴보면 좋겠다 싶다(바그너의 오페라와 같이 다룬 돌라르와 지젝의 책도 떠오른다). 오페라와 근대소설 사이의 관계도 해명거리 가운데 하나다.

박물관을 둘러보고 남는 자유시간에 박물관 앞 소광장에서 스타벅스의 아이스카페라테를 마시며 간단히 오전 일정에 대해 적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거 제국 시절(오래전 과거가 되었군)과 달리 현재의 오스트리아는 유럽의 소국이다. 남한 면적보다 작고 인구는 우리의 1/5도 되지 않는다. 남쪽 클라겐푸르트에서 북서쪽 잘츠부르크(발음은 살츠부어크에 가깝다고)까지는 3시간 거리. 휴게소를 경유하더라도 3시간 반이면 도착할 수 있다. 어제 그렇게 잘츠부르크에 도착했다.

시그니처가 되는 호엔 잘츠부르크와 함께 모차르트의 도시이자 페스티벌(7-8월)의 도시. 그렇더라고 문학기행에서 찾기는 어려웠는데(빈으로 곧장 가지 않고 반대 방향으로 왔으므로), 알아보니 슈테판 츠바이크 센터가 이곳에 있었다. 빈 태생이지만 츠바이크는 1차세계대전이 끝난 1919년부터 나치를 피해 망명길에 오르는 1934년까지 15년 동안 잘츠부르크에 살았다. 잘츠부르크의 예찬가 츠바이크가 잘츠부르크에 대해 갖고 있는 지분이다.

잘츠부르크의 아침이 밝았고, 오늘의 일정은 모차르트 하우스와 미라벨 정원 등 잘츠부르크의 명소 둘러보기, 그리고 츠바이크센터 방문이다. 오후에는 빈으로 이동. 1박2일의 짧은 일정이지만, 오늘 하루만큼은 잘츠부르크의 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라겐푸르트(발음은 ‘클라겐푸어트‘에 더 가까운) 핵심일정은 무질박물관 방문. 나중에 보니 숙소에서 10분 남짓 거리에 있었다(기차로 클라겐푸르트역에 도착한다면 역사를 빠져나오자 마자 한눈에 발견할 수 있다. 길건너 왼편에 있는 건물이 무질박물관인데 외벽에 프랑스화가가 그렸다는 초상화가 있어서 손쉽게 알아볼 수 있다). 클라겐푸르트의 핵심 일정을 소화하기 전에 도보로 클라겐푸르트의 구도심 투어를 진행했다. 때마침 부활절 시장(마켓)이 열리고 있어서 이것저것 덤으로 구경할 수 있었다. 케른텐 주도 클라겐푸르트의 주청사도 둘러보았다.

무질박물관은 생가박물관이다. 로베르트 무질이 1880넌 11월 6일, 이곳에서 출생했다는 현판이 붙어 있다. 외벽 왼쪽에는 클라겐푸르트 출신의 대표적 작가로 잉에보르크 바흐만 초상이 오른편 무질 초상화와 나란히 방문객을 맞이한다(무질박물관 한쪽 구석엔 바흐만 전시공간도 마련돼 있었다. 독자적인 바흐만박물관은 살던 집을 리모델링하여 올 6월에 개관한다). 사실 출생지라는 것만 빼면 클라겐푸르트는 무질의 삶에서 별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바로 이듬해에 가족이 보헤미아 지방으로 이사를 가기 때문이다. 대표작 <특성 없는 남자>의 배경도 수도 빈이다. 그렇지만 무질박물관이 무질연구센터도 겸하고 있기에 무질 독자에게는 클라겐푸르트가 성지에 값한다.

예정에는 없었지만 마침 박물관장님이 단체방문객을 맞아 무질의 삶과 문학을 안내하고 질문에도 답해주셨다(한국인 단체는 처음이지 않을까?). 상세한 안내에 무질에 대한 강의(나의 견해)는 나중으로 미뤄졌다(잘츠부르크로 이동하는 시간을 이용했다). 작가박물관이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도 있지만 무질박물관은 자료도 잘 갖춰져 있고(무질 부부가 실제로 착장했다는 옷과 유고가 담겼던 트렁크도 전시돼 있었다) 관장님의 해설까지 더해져 흡족했다. 문학기행스러운 일정.

클라겐푸르트역 이탈리아 레스토랑에서 점심을 먹고 오전에 맡겨놓은 짐을 찾기 워해 숙소로 되돌아와 버스에 올랐다. 잘츠부그르크로의 이동만 남았는데 가이드의 제안으로 피라미덴코겔에 먼저 들렀다. 클라겐푸르트를 대표적 관광지로 만든(가이드의 표현으로 클라겐푸르트는 오스트리아의 ‘제주도‘이다) 뵈르트 호수의 전경이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는 곳이다(목조-철제 구조물). 엘리베이터가 운행하지 않아서 12층 높이까지 걸어서 올라가느라 힘이 들었지만(이틀 연속 ‘등산‘) 전망대 경관은 시원상쾌했다. 클라겐푸르트는 뵈르트 호와 묶어서 기억해두기로 했다. 지금, 일행은 잘츠부르크로 향하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블레드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클라겐프르트에 도착했다. 원래 예정보다 시간을 당겨서 오후 3시에 출발했는데, 중간에 예세니체라는 마을에 들르기 위해서였다. 한트케의 ‘슬로베니아‘ 소설 <반복>(1986)의 배경이어서 경유지로 선택했다(크고 낡은 정거장이 인상적이었다). 슬로베니아와 오스트리아 국경을 대수롭지 않게 통과하여 남부 케른텐주의 주도, 클라겐푸르트에 도착하니 오후 5시경이 되었다. 도시의 외양만 보면 인구 10만의 도시라는 게 믿기지 않았다. 인구는 류블랴나의 절반에도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뭔가 더 커보이는 도시.

여장을 풀고 근처 서점을 검색해서 찾아가보았는데 규모는 컸지만 쇼핑몰 안에 위치한 서점으로 대중서 위주로 구비돼 있는 듯 보였다. 문학코너에서도 이름을 아는 작가보다 모르는 작가가 훨씬 많았다. 한강, 한트케, 바흐만 등이 반가운 이름이었지만 특이하게도 무질의 책은 보이지 않았다. 이 도시를 찾은 목적이 무질박물관 방문인데!

저녁을 먹고 돌아오는 길에 겸사겸사 클라겐푸르트의 밤거리를 20분쯤 둘러볼 수 있었다. 도시 알아맞히기를 하면 고난도 문제가 되겠다 싶다. 아직은 클라겐푸르트의 시그니처를 알지 못해서일 수도. 이곳 시간으로 아침 9시가 되었다. 슬슬 무질과의 대면을 준비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