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라고 할 만한 걸 한참 찾았지만 눈에 띄지 않았다. 영화잡지 필름2.0까지 뒤져서야 찾아낸 기사가 그나마 성에 차기에 옮겨놓는다. 거장들의 영화 세 편이 개봉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인데(라스 폰 트리에와 두 데이비드의 영화이다), 나로선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는 꼭 극장에서 보고 싶다(린치에 관한 책이 국내에 한권도 소개돼 있지 않다는 것도 그의 영화들만큼이나 미스테리하다). 로라 던의 모습도 오랜만에 보겠군...

필름2.0(07. 07. 04) 거장들의 영화가 온다

소문으로만 듣던 거장들의 쟁쟁한 영화들이 7월 중 잇달아 개봉한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폭력의 역사>와 데이비드 린치의 <인랜드 엠파이어>, 라스 폰 트리에의 <만덜레이>가 그 작품들. <폭력의 역사>와 <만덜레이>는 2005년 칸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작이며, <인랜드 엠파이어>는 2006년 베니스영화제에 공개돼 'Future Film Festival Digital Award'를 수상했다. 세 영화 모두 인간의 내면을 꿰뚫는 거장들의 날카로운 시선이 살아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먼저 <폭력의 역사>(7월 19일 개봉)는 <플라이> <비디오드롬> <엑시스텐즈> 등을 통해 생물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기괴한 공포의 세계를 묘사해왔던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색다른 면모를 볼 수 있는 영화다. 평범한 가장 톰(비고 모텐슨)이 어느 날 가게에 들이닥친 강도를 죽이고 손님을 구한 뒤 영웅대접을 받지만 거대 갱단 두목 포가티(에드 해리스)의 위협을 받으면서 점차 폭력자로 변해간다는 내용이다. 평범한 인간의 내면에 잠재된 분노와 폭력성을 이끌어낸 탁월한 솜씨로 2005년 해외 평단의 극찬을 받았다.



라스 폰 트리에의 <만덜레이>(7월 19일 개봉)는 2003년 개봉한 니콜 키드먼 주연의 <도그빌>, 그리고 우도 키에가 캐스팅된 2009년 개봉 예정작 <워싱턴>과 더불어 라스 폰 트리에의 '미국-기회의 땅' 3부작의 두 번째 작품이다. 여주인공 그레이스(브라이스 달라스 하워드)가 도그빌을 떠나 노예제도가 있는 미국 남부 마을 '만덜레이'에 도착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그레이스는 주인들에게 억압당하는 흑인들을 보고 그들이 노예가 아님을 깨닫게 하려고 노력하지만 예상치 못한 혼란과 마주한다는 내용이다.

'CinDi 2007' 개막작인 <인랜드 엠파이어>(7월 26일 개봉)는 데이비드 린치가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 이후 6년 만에 선보인 장편 신작이다. 새 영화를 앞둔 배우 니키(로라 던)가 감독 킹슬리(제레미 아이언스)와의 첫 만남에서부터 불길한 소식을 듣는데, 이후 영화 촬영이 진행될수록 이상한 일들이 벌어진다. 불륜, 살인, 도망, 추적, 복수 등 갖가지 꺼림칙한 사건들을 다루지만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이야기의 파편과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허무는 복잡한 이미지들로 '역시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답다'는 평을 들었다.(이수빈 기자) 

07. 07. 04.

P.S. 개인적으론 데이비드 린치에 관한 연구서를 하나 갖고 있는데, 좀 오래전에 나온 것이고 이번에 다시 검색해보니 새로운 책들이, 탐나는 책들이 여럿 나와 있다. 일순위로 꼽고 싶은 책은 <린치가 말하는 린치>(개정판 2005). 그밖에 다른 책 몇 권은 도서관에 주문을 해놓아야겠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자인간 2007-07-05 0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폭력의 역사>가 드디어 개봉하는군요! 데이비드 린치의 신작까지!! 신나는 소식, 감사합니다.

로쟈 2007-07-05 09: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름이 대목이라고들 하니까요.^^

라주미힌 2007-07-05 1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폭력의 역사... 참 재미있게 봤어요. (어둠의 경로로..)
만덜레이는 자막이 없어서 못보고 ㅡ..ㅡ;
저는 어둠의 자식인가봐요 :-)
 

올 여름에 읽을 이론서 가운데 하나로 최근 번역된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한길사, 2007)을 꼽아두고 있고, 현재는 영역본이 도착하길 기다리고 있다(1장까지는 도서관에 있는 책을 복사했다).

 

 

 

 

그러면서 미리 읽어두려고 한 것이 하버마스의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문예출판사, 1994)에서 루만에 관한 장이다. 그것은 열두번째 강의의 '부언설명'으로 붙어 있는데, 제목이 '니클라스 루만: 체계이론에 의한 주체철학적 유산의 전유'이다. 하버마스는 사회학의 계보가 아닌 주체철학의 연장선상에서 루만의 체계이론을 읽겠다는 것이다. 하버마스가 독해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독어판 <사회쳬계이론>(1984)이다. 그를 조금만 따라가본다(많이 따라갈 수도 없다). 내가 더불어 참조한 건 영역본(1987)과 아래의 러시아어본(2003)이다.

Философский дискурс о модерне

"루만은 일반적 사회이론의 '개요'를 제시하였다. 이로써 그는 자신의 이론적 기획을 개관할 수 있도록 수십 년 동안 지속되고 점차 확장되는 이론 팽창의 중간결산을 한다."(424쪽) 그러니까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은 그의 이론적 중간결산이며 이로써 독자들은 루만의 전체이론을 개관해볼 수 있다는 것.

"루만의 시도는 콩트로부터 파슨즈에 이르는 사회이론의 학제적 전통과의 연결보다는 오히려 칸트로부터 후설에 이르는 의식철학의 문제사와의 접속을 찾는다.(...) 이 이론은 주체철학의 근본 개념과 문제설정들을 물려받으려고 하며, 동시에 주체철학의 문제해결 능력을 능가하고자 한다."

루만의 체계이론은 '결별한 철학의 후계자'로 제시된다고 하는데, '결별한 철학'의 영역은 'abandoned philosophy'이다. 짐작에는 (구조주의 이후) '주체철학의 종언'이 회자되던 시점에서, 체계이론은 말 그대로 이 '버려진 철학'으로부터 용어들과 문제틀을 가져와서 주체철학이 풀고자 했던 문제들을 더 잘 해결하고자 한다는 것으로 읽힌다.   

"이 과정에서 실행되는 체계이론의 시각전환은 자기자신과 분열관계에 있는 현대성의 자기비판을 대상없이 만든다. 자기자신에 적용된 사회의 체계이론은 현대사회의 복잡성 증가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 벌써부터 하버마스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데, 아마도 이 대목이 그 비판의 개요이자 핵심적인 착안으로 보인다. 체계이론은 현대성(modernity)에 대해서 '비판적인 거리'를 갖지 못한다는 것. 

여기서 '시각전환'은 '주체철학으로의 시각전환'이겠고, '자기자신과 분열관계에 있는 현대성'은 앞 부분의 내용을 참조해야 알 듯싶다. 그런데, 그런 현대성의 자기비판을 체계이론은 무력화한다는 얘기. 왜냐하면, 스스로에게 적용된 사회이론은 현대사회의 복잡성 증가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밖에 없기 때문(복잡성의 증가를 어떤 진화의 척도로 간주한다면 자연스레 이러한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일정한 거리를 두고 주체철학적 유산을 변형시킴으로써 헤겔의 사망 이래로 현대성의 원리인 주체중심적 이성에 대해 제기된 의심들로 말미암아 노출된 유증자(遺贈者)의 문제들이 과연 체계이론으로 옮겨가는가 하는 물음이 나의 관심이다."(424-5쪽)

물론 원문을 직역한 형태이긴 할 텐데, 이런 번역문은 독자를 기운 빠지게 할 뿐더러 짜증나게 한다(형용사절이 너무 길어서 하버마스의 관심에 이르기도 전에 지쳐버린다). 이 대목의 영역은 이렇다:

"What interests me is whether, together with this distantiated reinscription of philosophy of the subject, systems theory also ends up with the kinds of problems that beset those who left us this inheritance - problems that, ever since Hegel's death, have given rise to the very doubts concerning subject-centered reason as the priciple of modernity that I have discussed in these lectures."(368쪽) 

독어본이 어떻게 씌어져 있는지 모르겠지만, 대략 영역본과 맞추어보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주체철학적 유산을 변형시킴으로써"는 "distantiated reinscription of philosophy of the subject"에 해당하겠다. '변형' 대신에 영역자가 선택한 단어는 '재기입(reinscription)'이다. 내 식으로 자유롭게 이해하자면 "오래된 주체철학을 새롭게 호명함으로써" 정도라고 본다. 그리고 하버마스의 관심거리는 주체철학의 변형/부활로서의 루만의 체계이론 또한 주체철학이 봉착했던 문제들(혹은 그 한계들)과 대면하게 될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노출된 유증자(遺贈者)의 문제들이 과연 체계이론으로 옮겨가는가 하는 물음이 나의 관심이다"에 해당하는 건 "systems theory also ends up with the kinds of problems that beset those who left us this inheritance"이겠다. '유증자의 문제들' 같은 건 너무 불친절한 번역이다. 나대로 자유롭게 옮기면, "체계이론 역시 이러한 유산을 우리에게 남겨준 철학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문제들과 함께 막다른 골목에 이르는 게 아닌가" 하는 게 나(하버마스)의 관심사이다.

그럼 어떤 문제들인가? "헤겔의 사망 이래로 현대성의 원리인 주체중심적 이성에 대해 제기된 의심들"이다. "problems that, ever since Hegel's death, have given rise to the very doubts concerning subject-centered reason as the priciple of modernity"가 거기에 해당한다. "헤겔의 죽음 이래로 모더니티의 원리로서의 주체-중심적 이성에 관해 의문을 제기해왔던 문제들". 간추리면, 주체철학의 유산으로서 '주체-중심적 이성'이 갖는 문제점과 한계를 주체철학의 다른 버전으로서 체계이론 또한 갖게 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이다(하버마스는 '의사소통적 이성'을 그에 대한 대안으로 내세운다).

그러니까 하버마스의 비판은 삼단논법을 따라 진행된다. (1)루만의 체계이론은 근대 주체철학의 계승이다. (2) 주체철학의 주체-중심적 이성은 이미 한계를 드러냈다. (3)따라서, 체계이론 역시 똑같은 한계에 봉착하는 것 아닌가. 어떤 의미에서는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시킨다고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버마스 자신이 주석을 통해서 해명하고 있다.

"수난에 익숙한 사람으로서 나는 물론, 이론을 오직 한 측면에서만 멋지게 서술한다면, 우리는 이론이 가지고 있는 풍요로움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는 점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의 맥락에서는 이론의 이 측면만이 우리의 관심을 끈다."(425쪽)    

이 대목의 번역 역시 좀 서툴다는 인상을 준다. '수난에 익숙한 사람'이라니? 직역이더라도 문맥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영역본은 이렇게 돼 있다. "As one accustomed to the same treatment, I realize of course that one does not do justice to the richness of the theory when one single-mindedly broaches it from just one angle - but in out context, only this aspect is of interest."(421쪽) 

'수난에 익숙한 사람'은 영역본에 따르면 '이런 식의 취급에 익숙한 사람'이다. 하버마스 또한 이론의 일면만을 갖고서 평가/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경험이 많다는 뜻이다. 따라서 어떤 한 가지 관점에서만 문제를 끄집어내어 평가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을 뿐더러 이론의 풍요로움을 훼손할 여지가 있다는 점을 스스로도 인정한다는 것('멋지게 서술한다면'은 어디에서 튀어나온 것인지?). 하지만, '우리의 맥락'에서는 어쩔 수 없다는 것인데, 그 맥락이란 이 책(강의)의 주제대로 '모더니티'에만 초점을 맞추어 현대 사상가들을 평가하려는 것과 관련된다. 이상이 그의 루만론의 전제와 사전 정지작업이다. 나머지 본론은 계속 읽어나가야 한다...   

07. 07. 04.

P.S. 인터넷서점 아마존에서 오늘 날아온 신간 안내 메일에는 우연찮게도 루만 연구서가 한 권 들어 있었다. <니클라스 루만: 영혼에서 체계로(Luhmann Explained: From Souls to Systems)>(2006) 정도로 번역될 수 있는 책인데 분량도 두툼한 최근간 연구서이다. <사회체계이론>을 독파한다면 참고해볼 만하겠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람혼 2007-07-06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버마스의 독일어 원서는 Der philosophische Diskurs der Moderne로 Suhrkamp 출판사에서 나온 책인데요, 말씀하신 원문의 해당부분을 보면, "Leidgewohnter"가 "수난에 익숙한 사람"으로, "forsch anschneidet"가 "멋지게 서술한다면"으로 번역된 경우입니다(모두 독일어본 p.426). 전자의 경우는 "이러한 대접[혹은 수모]에 익숙한 사람으로서" 정도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특정한 하나의 측면만을) 거칠게 재단하자면" 정도로 번역되어야 할 것입니다. 제가 보기엔, 독일어본과 비교했을 때 영역본도 그리 적확한 번역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문맥이 통하게 잘 '의역'했다는 점에는 점수를 줄 수 있겠지만요. 국역본의 번역이 '거칠게 재단'된 것만은 분명하긴 합니다.

로쟈 2007-07-06 1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러시아어본의 경우도 그런데, 그들대로의 번역 관행이 있는 것이겠죠. 중요한 건 말이 되게 옮기는 것인데, 말이 안되는 번역본을 읽는 거야 말로 (익숙한 일이긴 하나) 분명 '수난'입니다.--;

람혼 2007-07-06 1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제는 그런 반복되는 '수난' 속에서 이젠 아예 원문을 보지 않고도 대략적이나마 원문을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 같습니다. 물론 상당히 부정적인, 마치 귀류법과도 같은 방식을 통해서라는 게 더욱 큰 문제겠지만요^^; 그런 점에서 같은 인구어 계열의 번역에 있어서는 좀 더 작업이 수월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배가 아플 때도 '아주 가끔은' 있습니다.--;

로쟈 2007-07-07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제는 그런 반복되는 '수난' 속에서 이젠 아예 원문을 보지 않고도 대략적이나마 원문을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 같습니다"는 정곡을 찌르신 말씀입니다. 제 경우엔 그런 예상에도 불구하고 원서까지 구해서 보기에 돈이 두 배로 든다는 것이 또한 문제입니다.--;

람혼 2007-07-07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정말 백배 동감입니다, 특히 그 '비용' 문제에 있어서는 더욱 더.^^; 한 가지만 더 덧붙이자면, 로쟈님이 말씀하신 과정과 정확히 역을 이루는 과정 또한 존재하는데ㅡ아마도 이 역시 로쟈님도 느끼고 계시는 바가 아닐까 생각하지만ㅡ원서를 먼저 구입해 멀쩡하게 독해까지 다 마치고는, 그에 관한 '악명 높은' 번역본이 도대체 어떻게 번역되어 있나 하는, 마찬가지로 '악명 높은' 편집증적 궁금증에서, 그 번역본까지 사게 되는 과정이 바로 그것입니다.--;

로쟈 2007-07-07 2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랑 증세가 비슷하시군요.^^;

marr 2007-08-01 04: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생각엔 독일어건 영어건 경제성이란 측면에서는 한글 번역본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외국어를 읽는다는 것은 어떤 경우건 모국어를 읽는 것과 비교할 수 없는 수고와 노력을 요하는 문제지요. 그런 면에서 번역본을 읽으면서 머리로 재번역 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지요.

로쟈 2007-08-01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제는 번역본이 읽을 수 있는 수준은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불성실하고 부정확한 번역서를 읽는 건 '비교할 수 없는 수고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성과를 얻을 수 없으니까요...
 

어제 구내서점에 들렀다가 집어든 몇 권의 책들 가운데 하나는 마루야마 마사오(1914-96)의 <일본의 사상>(한길사, 2003). 본래 1998년에 나온 책의 초판 3쇄였다. 요즘은 잘 눈에 띄지 않았었는데 어디선가 재고도서가 들어온 듯싶었다. 짐작에 마루야마의 다른 책들과 함께 박스에 보관돼 있는 책이지만 확인해볼 도리가 없는 데다가 당장 참고할 부분도 있어서 손에 들었다. 그리고는 아예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문학동네, 2007)도 주문해버렸다(그의 사상을 개관하고 있는 <오스까 히사오와 마루야마 마사오>(삼인, 2005)는 도서관에서 대출해야겠다).

 

 

 

 

역자는 두 권 모두 김석근 교수인데 사실 한국에서의 '마루야마 마사오' 번역/소개는 거의 전적으로 그에게 빚지고 있다. 그 이전에 <일본의 현대사상>(종로서적, 1981) 등이 소개된 바 있지만 마루야마의 주요 저작들이 단기간에 한국어판을 얻게 된 것은 순전히 역자의 노고 덕분인 것이다. 물론 내가 마루야마의 이름을 처음 접한 건 도올 김용옥의 책들에서였지만.

그렇게 손에 든 책에서 '옮긴이의 말'과 마침 이 번역이 마무리될 즈음 세상을 떠난 마루야마 마사오의 부음에 부쳐진 '마루야마 마사오의 삶과 사상을 생각함'을 읽었다. 역자로서의 소회를 밝히고 있는 '옮긴이의 말'에서 몇 가지 인상적인 대목이 있어서 따라가본다. 어느새 10년도 더 전의 사정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일본의 사상'에 대한 우리의 편견을 반성하도록 해준다.

역자가 마루먀아를 처음 접한 건 대학원 석사과정 3학기 때라고 하는데, 본래 정치외교학 전공인 저자가 '한국정치사상사'를 공부하기 위한 방책으로 철학과를 기웃거리다가 맞닥뜨리게 된 에피소드. 마침 대학원 철학과에 '일본철학사'라는 과목이 개설되었었는데, '대학원의 높은 자리'에 있던 분의 이견으로("일본에 무슨 철학이 있냐?") 과목명이 바뀌게 되었다는 것. 해서 '일본사상사'로 바꾸려고 했지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아서("일본에는 사상도 없다!") 결국엔 '일본문화사'로 낙착되었다는 것(철학과에서 웬 문화사?).

 

 

 

 

비슷한 사례가 될 만한 또다른 일화는 "주체적인 학문의 길을 주장"한 '어떤 선생님'과 관련된 것인데, 저자와 저서명을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짐작에 조동일 교수의 <우리 학문의 길>(지식산업사, 1993)의 내용이다. 그 책에서 저자는 "'일본에 철학사가 있는가' 하는 재미난 화두를 하나 던지고 있습니다. 그 분의 논지를 여기로 다 끌어올 수는 없겠습니다만, 요컨대 일본에는 '사상(사)'은 있지만 (보편성을 추구하는) '철학(사)'은 없다는 식으로 이해하시면 틀리지는 않을 것입니다."(27쪽) 요컨대, 이러한 '부인'의 제스처가 알게 모르게 우리의 무의식을 잠식하고 있다는 게 필자의 문제의식이다.

물론 이후에 '일본의 철학'을 다룬 책들이 여러 권 버젓이 나오게 됐으므로 그러한 문제제기가 여전히 유효한 듯싶지는 않지만 적어도 역자가 체험한 한 시절의 풍경은 그러하다. 이것이 다소 넌센스인 것은 "애초에 '哲學'이란 단어 자체가 일본인 니시 아마네가 영어의 Philosophy를 번역하여 한자로 새로이 만들어낸 조어(造語)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이전에는 동아시아문화권에서는 '철학'이라는 단어 자체가 부재했던 것이다."(28쪽) 말하자면 '철학'이란 말 자체는 근대 일본의 발명이고 고안이다. 하지만 "니들에게 철학은 없다"?

여기서 필자가 인용하고 있는 건 <일본정치사상사연구>(통나무, 1995)에 붙인 김용옥의 해제의 한 대목인데, 예전에 읽은 기억이 나지만 여전히 흥미롭다.

"그것은 매우 거칠게 말해서 '한국철학'과 '일본사상'의 성격을 유비적으로 규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사상', '일본철학'이라는 말이 부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통학문을 연구하는 시각이나 방법의 성격상 한국에서는 '한국철학'이라는 말을 즐겨쓰고, 일본에서는 '일본사상'이라는 말을 즐겨 쓴다. 한국에서는 '한국사상'이라고 하면, 그것은 철학에 못 미치는 좀 엉성한 체계, 그리고 철학의 소양이 부족한 2류의 학인들이 자신없이 내거는 명칭으로밖에는 인식되지 않는다. 하나 일본에서는 '일본철학'이라고 하면, 역시 좀 학문적 가치가 떨어지는 국수주의자들의 사변체계, 군국주의시대의 '코쿠타이'(國體)를 연상시키는 '미기'(右翼) 사상가들의 억지주장 냄새가 난다."

해서 요컨대, "한국에서의 사상은 좀 처지는 놈들의 엉성한 논변이요, 일본에서의 '철학'은 항상 우익의 냄새를 피울 우려가 도사리고 있다."(김용옥의 해제 28-29쪽) 그러니까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한국에서 '사상'은 좀 모자란 것이고 일본에서 '철학'은 좀 덜 떨어진 것이다.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실제로 '한국철학'이란 표현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사상은 '실학사상'이나 '계몽사상' 등의 표현으로나 쓰인다). 혹은 '철학사상'. '일본의 사상'이란 표현이 낯설게 여겨지지 않는 데 비해서 '한국의 사상'이 왠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렇게 서로 다른 관행 탓인 듯싶다(거의 개와 고양이 수준 아닌가? 똑같은 꼬리 흔들기가 각각 반가움과 경계심의 표시라는).

잠시 옆길로 갔는데, 다시 필자의 이야기로 돌아오면, "저는 그것을 '철학'이라 부르느냐 아니면 '사상'이라 부르느냐 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또 다른 제3의 이름으로 부른다고 해서 뭐가 크게 달라지겠습니까. 그리고 철학이나 사상이 없다든가, 사상은 있으나 철학은 없다는 식의 논지와 일본은 '있다' '없다'라는 식의 주장 사이에는, 그 성격의 현격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왠지 사물을 보는 시각 내지 생각하는 방식과 패턴 같은 것에서는 너무나도 닮아 있지 않은가 하는 느낌을, 저로서는 쉽게 떨쳐버릴 수 없습니다."(29-30쪽)

"졸렌(Solen)을 말하기 전에 먼저 자인(Sein)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는 필자의 주장에 기대면, 그가 비판하는 우리의 관행적 시각 내지 생각하는 방식은 일본이란 '존재'를 정확하게 알기 전에 일본은 이렇다, 저렇다고 당위적으로/선험적으로 규정하는 태도를 가리키겠다. 그걸 경계하자는 얘기이고, 그때 필요한 건 일단은 읽는 것이다. 물론 일본사상인지 철학인지가 더 많이 소개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고(마루야마가 평생 사투했다는 근대 일본의 대표적인 사상가 오규 소라이(1666-1728)나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책을 한국어로 얼마나 읽을 수 있는가?). 

한편, 책의 후기를 대신하여 쓰인 '마루야마 마사오의 삶과 사상을 생각함'에는 지난 1996년 마루야마의 타계 이후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추모 열기를 소개하는 기사를 인용하고 있다. 한 유력 일간지의 도쿄 특파원이 작성했다는 기사는 가관이다.

"세계적인 석학으로 평가받으면서 이미 70년대 그의 저작들이 영문으로 번역돼나오기 시작했지만 한국에서의 소개는 약간 늦은 편이어서 1981년 <일본의 현대사상>을 시작으로 <현대일본정치론>(1988), <중국근대혁명사상>(1989), <섹스원죄 어디까지인가>(1995), <섹스법정>(1996) 등이 출판됐을 뿐이다..." 

필자의 지적대로 앞의 두 권은 마루야마 마사오의 책이지만 <중국근대혁명사상>(예전사, 1989)은 마루야마 마쓰유키의 저작이며, 전혀 난데 없이 들어가 있는 <섹스> 어쩌구 하는 책들은 마루야마 마사야의 책으로 보인다. 같은 마루야마 집안 사람들인지는 모르겠지만 여하튼 신문기사가 '장난'이 아닌 이상 이런 무식하고도 무책임한 내용이 아무런 여과없이 일간지에 게재될 수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다(이런 게 우리의 평균적인 현실이라면 희비극적인 일이다). '일본은 없다'고 말하기 이전에 한국에는 입만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볼 문제이다(과연 우리에겐 '한국의 마루야마'가 있는가?).

 

 

 

 

이러한 한일 철학/사상에 관한 몰이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관련서들이 더 많이 소개되고 읽힐 필요가 있겠다(찾아보니 금장태 교수의 <도와 덕>(이끌리오, 2004)이 다산과 오규 소라이를 비교한 연구서이다). 최근에 출간된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김영사, 2007)는 그래서 눈에 띄는 책인데, 한겨레의 서평(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19266.html)은 이런 내용을 담고 있다.  

일본에서는 무인들이 상급 무사인 사무라이가 되기 위해 따라야 하는 도라 할 수 있는 ‘무사도’가 있다. 충과 효의 덕목에, 스스로에게 엄해야 하고 아랫사람에게는 인자해야 한다. 사적 욕심을 버려야 하고 부귀보다 명예를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 이 조항들 가운데 ‘패배한 적에게 연민을 베풀어야 한다’는 내용만 제외하면 ‘선비의 도’라 불러도 별 무리가 없다고 지은이는 말한다.

지은이는 이런 동질성의 계기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 성리학의 일본 전파를 꼽았다. 임진왜란 이전만 해도 일본 무사들은 주군에 대한 윤리적 충성의식이 높지 않았다. 주군과 가신들의 주종관계가 의리나 신의에 입각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계약관계였기 때문이다. 무사에게는 주군을 바꿔 다른 주군을 모실 수 있는 권리가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 유학자 강항과의 교류를 통해 일본에 성리학의 계통이 학립됐다. 이를 계기로 유교적 윤리인 인(仁)·충(忠)·효(孝)가 무사들에게 요구되는 규범이 되었다는 것이다. 강항에게 성리학을 배운 일본 근대 성리학의 시조 후지와라 세이카는 존왕론 주창으로 나아갔다. 천황의 역사를 성리학적으로 해석한 ‘미토학’ 태동의 지반도 성리학이었다. 미토학은 에도 막부 말기에 새로운 ‘천황중심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이념적 지주가 되었다고 지은이는 본다. 무사들이 ‘천황’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막부를 타도하겠다고 나선 메이지 유신은 “성리학의 명분론을 빌린 혁명”이었다. 이전까지 무사정권 교체는 명분론과는 무관한 패권다툼의 결과였다. 

기사에서 언급된 사무라이들의 반란 혹은 '혁명'은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2003)의 소재이기도 한데, 이 영화에서 그려진 사무라이상에 대한 유익한 비평은 아래 기사에서 읽을 수 있다.   

영화에서 주장하는 ‘사무라이 반란’은 일본에서는 ‘세이난(西南) 전쟁’으로 알려진 반란이고, 가쓰모토의 모델은 그 반란의 주모자였던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입니다. 여러분 사이고 다카모리가 누구인지를 아십니까. 그는 메이지유신을 성사시킨 사쓰마, 조슈, 도사 3개 한(藩)의 하급 사무라이 중 사쓰마를 대표하는 이였습니다. 메이지유신은 폐쇄적 쇄국을 진취적 개국으로, 쇼군(將軍)중심의 봉건적 막부 정치체제를 천황 중심의 한 서양적 의회민주제로 개혁을 이룬 것을 말합니다. 그런 메이지유신의 핵심인물이 서양 문물의 홍수에 맞서서 일본의 전통을 지키려고 목숨을 받쳤다? 왠지 어색하지 않습니까.

사이고가 반란을 일으킨 이유의 핵심에는 ‘조선침략’이 놓여있습니다. 그는 일본이 서양열강과 맞서기 위해서는 문물이 뒤떨어진 한국을 공략해 식민지화해야한다는 ‘정한론’(征韓論)을 주창했던 인물입니다. 그러다 같은 사쓰마 출신의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와 조슈의 기도 다카요시(木戶孝允) 등의 반대에 부딪히자 사쓰마로 낙향합니다. 그러나 그를 추종하는 부하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 지도자로 나섰다가 패배해 자결한 인물입니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인격적 감화능력이 탁월해 당시 뿐 아니라 지금도 그를 존경하는 일본인들이 많습니다. ‘경천애인(敬天愛人)’이라는 문구를 좋아했고, 일체의 사욕을 버리고 공리를 쫓았던 면모도 분명 있습니다. 그랬기 때문에 메이지 유신이라는 혁명의 선두에 설 수 있었던 겁니다. 하지만 그는 시대착오적 인물이었습니다. 그가 메이지유신에 나섰던 이유는 ‘일본인’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쓰마인’을 위해서였고 ‘사쓰마’가 일본 최고의 번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때문에 일생을 마치는 순간에는 ‘사쓰마파벌’의 영수로 끝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위에 인용한 글처럼 사쓰마는 오늘날 일본 사무라이의 원형을 세계에 수출한 곳입니다. 사쓰마의 다이묘가문인 시마즈 가문은 도쿠가와 막부성립기 때 줄을 잘못 서서 반 도쿠가와 편에 섰습니다. 그렇지만 번 전체가 똘똘 뭉친 단결력과 외교수완의 결과로 번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또 일도필살의 전투력으로 인해 도쿠가와도 건드리기 싫어했던 고슴도치 같은 존재였습니다. 사쓰마는 도쿠가와 막부시절에도 다른 번, 심지어 막부의 중앙관료도 함부로 출입할 수 없을 만큼 폐쇄적이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함흥차사’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사쓰마로 떠난 파발’이라는 말까지 등장했을 정도입니다.

오늘날 서양인의 뇌리에 박힌 사무라이상도 이 사쓰마 산입니다. 사쓰마의 사무라이들은 1862년 에도(지금의 도쿄)를 방문중이던 주군의 행렬에 무례하게 끼어든 영국인 사업가 일행을 일본도로 참살했습니다. 격분한 영국이 사과를 요구하자 영국과 단독으로 전쟁을 벌였습니다. 그것이 ‘사영전쟁’입니다. 놀라운 것은 비록 일본의 한개 번으로 대영제국함대의 함포사격에 맞선 사쓰마는 비록 전쟁에 패했지만 영국군에 유례없는 타격을 가했다는 점입니다. 영국군은 63명의 사상자가 난 반면 사쓰마측 피해는 1명 사망, 7명 부상이었다고 합니다. 영국신문들은 놀라서 이 사건을 대서특필했고, 유럽인들에게 ‘일본 사무라이는 세다. 고로 잘못 건드리는 것은 피하는 게 좋다’라는 인상을 팍 심어줬던 것입니다. 따라서 ‘마지막 사무라이’운운하며 사쓰마를 영화의 무대로 삼은 것은 핵심에 다가섰다고 평할만합니다.

그러나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이 군국주의로 가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 또한 이 사쓰마의 ‘주군이 죽으라 하면 죽는다’는 식의 돌쇠형 충성의식 때문이었습니다. 일본 군부를 장악한 것은 대부분 조슈와 사쓰마 출신들이었습니다. 이들은 메이지유신을 민주화와 개방화 혁명이 아니라 천황에 대해 충성을 다 받치는 배타적 군국주의 혁명으로 오도했습니다. 사이고야말로 이런 일본 골수우익의 세계관 형성에 결정적 기여를 한 사람이었던 것입니다.(동아일보 권재현 기자)

따라서 '성리학의 명분론을 빌린 혁명'이라고는 하지만 메이지 유신의 이면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그리고 그것은 조선 성리학과 무사도, 혹은 '선비 철학'과 '사무라이 사상' 간의 차이에 조응하는 것은 아닐까? 한겨레의 리뷰를 마저 읽어본다.  

하지만 두 세계의 차이도 명확하다. 가장 두드런 예가 교육이다. 조선 선비들은 성리학의 이상세계를 건설하기 위해 “외부에서 이물질만 들어오지 않으면” 그것으로 족했다. 포교 개념이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무사들은 늘 적을 상정해 만반의 대비를 했다. 조선선비 교육의 근본이 ‘학예일치’였다면 사무라이에게 학문은 무예의 보조적 기능에 불과했다. 선비가 글을 읽고 시를 읊을 때 사무라이는 학습 시간의 70%를 무예로 채웠다. 이런 전통은 지금까지도 두 나라의 교육방식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본에서는 어렸을 때 피아노를 배우는 아이들이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초등학교엔 반드시 수영장을 설치해야 하고 수영 교습도 필수다. 중·고교에선 스포츠 동아리가 매우 활발하다. 2006년 여름 일본 전국고교야구대회에 출전한 고등학교 수는 전체 5400개교 가운데 76%에 이르는 4112개교다. 한국의 3%와 비교할 때 엄청난 격차다.

지은이는 맺음말에서 일본이 성리학에서 받아들인 가장 큰 부분은 ‘명분 쌓기’라고 규정했다. 일본은 이런 명분을 군사 행동의 정당화에 활용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조선 성리학의 중심인 심성론은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게 지은이의 생각이다. “일본과 일본인이 인간 심성의 중요성을 깨달을 때 한국인들은 아시아와 세계평화에 대한 믿음을 비로소 가지게 될 것이다.”(강성만 기자)

 

 

 

   

한데, 우리에게 그런 심성론이 제대로 전수/학습되고 있는가, 란 의문을 문득 갖게 된다. 나부터도 퇴계의 <성학십도>나 율곡의 <성학집요>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 조선 유학의 전통에 대해서도 교과서적 지식 외에 알고 있지 못하다. 이러면 공부가 '명분 쌓기'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 사실 이런 깨달음을 전해주는 것은 일본이란 타자이다. 한국 철학의 자기인식이 일본 사상이란 타자를 경유해야 하는 이유이다. '퇴폐천국' 일본이란 이미지만으로는 부족하다...  

07. 07. 04.

P.S. 귀가길에 한 서점에 들러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김영사, 2007)을 손에 들었는데, 이 책이 맞느냐고 점원에게 물어볼 뻔했다. 알라딘에는 분량이 472쪽이라고 돼 있어서 9,900원이라는 정가가 꽤 저렴하다고 생각했었는데(그래서 부담없이 구입하려던 것이었고) 웬걸 고작 220쪽 짜리 책이었다. 입력자의 착오로 보이지만 이건 좀 너무하다 싶은 '뻥튀기'이다. 교정되기를 바란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7-07-04 12:49   좋아요 0 | URL
"마침 대학원 철학과에 '일본철학사'라는 과목이 개설되었었는데, '대학원의 높은 자리'에 있던 분의 이견으로("일본에 무슨 철학이 있냐?") 과목명이 바뀌게 되었다는 것. 해서 '일본사상사'로 바꾸려고 했지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아서("일본에는 사상도 없다!") 결국엔 '일본문화사'로 낙착되었다는 것(철학과에서 웬 문화사?)."

하핫. 재밌습니다. 사실 철학계에서도 그렇게 말하죠. 일본철학은 없다라고. 일본을 무시하거나 폄하해서 하는 말이 아니라, 정말 '철학'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반면 한국의 경우는 세계적인 철학학회에서도 이미 '한국철학'이라고 지칭하고 있다고 하고요. 대부분은 중국으로부터 영향 받은 것이지만, 나름 독창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뭉뚱그려 중국철학이라 하지 않고, 한국철학을 그와 별개로 나누는 듯 합니다. 머머철학 앞에 나라이름을 붙일 수 있는 국가는 몇 안되지요. 이 점에서 자부심을 느껴도 될 듯 합니다.

최근 위에 올려놓으신 책들과 같이 한국철학에 대한 괜찮은 대중서들이 꽤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몇 권 구입해 살펴봤는데 재밌더군요. :)

로쟈 2007-07-04 13:09   좋아요 0 | URL
한국에서 하는 자화자찬이겠지요. 브리태니커백과사전에 'Japanese Philosophy' 항목이 버젓이 등재돼 있다고 합니다. 한데, 그렇게 대단한 걸(한국철학) 갖고 있으면서도 우리가 '마루야마'도 변변찮은 한국철학사도 못 갖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마늘빵 2007-07-04 15:24   좋아요 0 | URL
아 그런가요. 그렇담 있는걸 애써 무시하거나 낮게 평가하는건가요. 음. 사실 일본철학이라고 할 만한 개론서나 어떤 것을 접해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그저 주변에서 듣고, 또 책에서 보고 저는 그리 알고 있을 뿐이지요. 정말 일본철학이라는게 체계가 잡혀있다면 한번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아! 저 위에 일본근대철학사 라는 책이 눈에 띄는군요.
 

오랜만에 러시아 관련 기사를 옮겨놓는다. 현재 과테말라에서는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을 놓고 러시아의 소치와 한국의 평창이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와 함께 한판 승부를 벌이고 있고, 러시아는 푸틴 대통령까지 현지에 가세하여 대대적인 유치 공세를 거들고 있다(러시아의 대표적인 여름 휴양지 소치의 최대 약점은 기반시설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유치가 결정되면 다 만들어놓겠다는 게 '러시아식' 계산이다).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다. 과테말라로 향하기 전 푸틴의 마지막 일정은 부시가(家)의 별장에서 농어 낚시를 한 것이었다(그가 동계올림픽도 낚을 수 있을까?). 그의 거침없는 행보는 한반도 주변 정세와도 무관하지 않기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2일(현지시간) 美 메인주 케너벙크포트의 부시 가문 별장 부근에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낚시를 하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농어를 낚고 기뻐하고 있다. 오른쪽에서 두번째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고, 왼쪽부터 부시 전 대통령, 낚시 가이드인 빌리 부시 그리고 현 대통령 부시다. 푸틴 대통령은 "잡은 농어를 다시 바다에 놓아주자"고 제의해 세계 최강대국 대통령의 전 ·현직 대통령인 부시 부자와 푸틴이 함께 잡은 농어는 '자유의 몸'이 됐다. (AP) 

한국일보(07. 07. 04) 러시아, 품격의 페레스트로이카

푸친 러시아 대통령의 최근 행보가 그야말로 거침없다. 지난달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세계적 기업의 CEO 등 6,000명의 기업인들을 초청해 개최한 포럼에서 새로운 국제금융무역기구의 창설을 역설하며 서구 중심의 국제경제질서 재편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또 미국의 동유럽 미사일방어체제 구축에 대해 ‘나치의 제3세계’에 비유하며 맹비판하는 등 미국과의 대립각 세우기에도 한창이다. ‘강한 러시아’를 되찾겠다는 취임 당시의 공언대로 미국과 서구를 향해 당당하게 큰 소리를 치며 보폭을 넓히고 있는 것이다.

여기엔 소비에트 붕괴 후 오랜 경제 사회적 혼돈 속에서 잃어버렸던 러시아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미국과 서구 중심의 패권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제질서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야심찬 포부가 깔려있다. 이는 곧 러시아의 대외정책이나 국가이미지 제고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 무엇보다 러시아의 초고속 경제성장이 이 같은 자신감 넘치는 행보의 든든한 받침대다.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막대한 석유 수출로 러시아 경제는 최근 몇 년간 6~7%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또 외환보유액도 3,000억달러가 넘어서며 ‘오일머니’가 넘쳐나고 있고 2000년 1,778달러에 불과했던 1인당 국민소득도 지난해 7,000달러 수준으로 올랐다.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부총리도 최근 “러시아가 2020년까지 세계5위 경제국으로 부상할 것”이라며 ‘경제대국로서의 러시아 부활’을 알리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 전방위적 러시아 알리기 총력
경제 회복에 따른 자신감으로 국제무대에서 발언권을 높여가는 러시아 정부는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도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그 중추 기관이 바로 ‘러시아 국제 과학문화 교류협력 센터’다. 1925년 설립돼 여러 조직체계를 거친 후 2002년 러시아 외교부 산하 기관으로 재편된 이 센터는 37개국에 설치된 43개의 센터 지부와 20여개국에 파견된 직원 등을 통해 현대 러시아의 이미지를 시시각각으로 전파하는 전진기지다.

당장의 러시아 국내외 정책을 홍보할 뿐만 아니라, 각종 문화 행사를 통해 러시아의 문화적 자산을 전파하고 러시아어를 보급하는 등 문화 보급진지의 역할도 맡고 있다. 영국의 브리티시 카운슬이나 독일의 괴테 인스티튜트가 장기적인 문화교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데 반해 이곳은 정책 홍보 및 경제협력 지원까지 아울러 담당하는, 그야말로 전방위적인 국가홍보 및 문화ㆍ경제ㆍ과학 교류 기관이다.

센터는 최근 러시아 주변 국가와의 교류 협력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데, 지난해 중국의 각 도시에서 대규모의 ‘러시아의 해’ 행사를 개최해 러시아 알리기에 대대적으로 나섰다. 1년 동안 영화제, 미술전시회, 학교간 교류행사 등을 열며 문화ㆍ교육ㆍ경제ㆍ과학 분야에서 무려 1,500여개의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를 통해 중국 신문이나 TV보도에서 러시아 관련 기사가 15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올해는 러시아에서 ‘중국의 해’ 행사도 열리고 있는데, 센터는 향후 2~3년 내에 인도 등 12개국에서 이와 비슷한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특히 러시아 정부는 올해를 ‘러시아어의 해’로 정해 러시아어 보급에도 힘을 쏟고 있다. 러시아어는 주로 옛 소비에트 연방에 속했던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와 동유럽 등에서 1억7,000만명이 사용하는 세계 4번째 언어. 러시아어가 소비에트의 몰락과 함께 한동안 쇠퇴했지만, 러시아 정부가 올해 페스티벌, 세미나, 전시회, 언어 연수 등을 실시하며 다시 본격적으로 러시아어 위상 강화에 팔을 걷어부치고 있는 것이다.

■ 새로운 국제질서 재편을 꿈꾸는 러시아의 발걸음
이 같은 대대적인 국제 교류 협력 및 국가 홍보, 러시아어 강화 등의 작업은 결국 CIS, 동유럽 및 아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의 주도권을 확고히 다지겠다는 대외정책의 연장 선인 셈이다. 실제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말에 열린 흑해경제협력기구 정상회의에서 “흑해연안과 발칸반도 지역의 구심점으로 복귀하겠다”고 천명하는 등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국제기구나 경제기구의 창설을 잇따라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의 이 같은 행보에 대해 새로운 패권국가의 부활을 우려하는 주변 국가의 반발이 터져나오는 등 아직은 진행 초기단계다. 새로운 국제질서 재편을 꿈꾸는 러시아의 발걸음이 성공하느냐의 여부는 러시아의 새로운 국가 이미지 구축 작업의 성과와도 궤를 같이 할 것으로 보인다.(모스크바=송용창 기자) 

07. 07. 03.

P.S. 러시아의 인터넷서점 오존을 검색해보니 푸틴 관련서가 현재 139종이 나와 있다(중복 포함). 가장 많이 팔린 것으로 돼 있는 책은 아래의 글모음집인데, <우리의 밝은 미래, 혹은 푸틴 만세>(2004)이다. 그에 대한 비판 세력들도 없진 않지만 러시아는 아직은 애국주의라는 '대세'를 따르는 듯하다... 

Наше светлое будущее, или Путин навсегда

P.S.2. 우리로서는 유감스런 일이지만, 결국 소치가 동계올림픽 후보지로 선정됐다. 여하튼 푸틴이 또 하나 낚아올렸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서사학 정리를 위한 책 모듬.


1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문예중앙이론서 2, 토도로프에서 데리다까지
박진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6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7년 07월 03일에 저장
구판절판
서사학 로드맵. 주요 서사 이론가들의 이론과 논점을 잘 정리해놓고 있다.
서사란 무엇인가
미케 발 / 문예출판사 / 1999년 3월
11,000원 → 9,900원(10%할인) / 마일리지 550원(5% 적립)
2007년 07월 03일에 저장
품절
서사학 입문서라지만 저자의 독특한 관점을 제시한 책.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뉴미디어총서 4
시모어 채트먼 지음, 김경수 옮김 / 민음사 / 1999년 8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7년 07월 03일에 저장
절판
서사학 기본서. 국내엔 3종의 번역서가 나와 있다. 앵글로어메리칸의 서사학 전통과 프랑스, 러시아의 구조주의 서사학을 요령있게 절충, 종합한 책.
영화의 내레이션 1
데이비드 보드웰 지음, 오영숙 옮김 / 시각과언어 / 2007년 3월
19,000원 → 18,050원(5%할인) / 마일리지 950원(5% 적립)
2007년 07월 03일에 저장
품절
나머지 2권이 얼른 나오기를 기대한다.


1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