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인 2007-03-01
pt와 임금노동자 관련 pt와 무산자 관련도 페이퍼에 정리해 놓기는 했습니다만.
정작 맑스가 사용한 개념을 따르자면, 임금 노동자와 pt가 다른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부르주아지는 지금까지 존경받았던, 사람들의 외경을 갖고서 바라보았던 모든 직업으로부터 그 신성한 후광을 벗겨 버렸다. 부르주아지는 의사, 법률가, 성직자, 시인, 학자를 자신들의 유급 임금 노동자로 바꾸어 버렸다." (공산주의당 선언, <선집1>, 박종철출판사, 1991, 403면)
의사, 법률가 등도 '유급 임금 노동자'라는 것은, 여기서 '임금 노동자'라는 것이 소부르 계층도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공산당 선언의 말미에는 그 유명한 구절인, '만국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가 나오는데, 제 생각에는 이는 즉자적 계급으로서의 무산자와 임금노동자 중 일부를 대자적 계급으로서 호명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혁명의 주체로서의 pt는 단지 생산수단 소유의 여부로 규정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맑스의 서술 속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룸펜 pt'에 대한 경멸과 그들의 반동성을 생각한다면 말입니다. 그렇다면 pt는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않은 이들로서 '앞으로' 혁명의 주체가 될 가능성이 자본주의 발전과정에 따라 '농후한(?!)'이들이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제 이는 또 자본주의 발전법칙의 필연성 같은 문제로 나아가서 또 골치 아파지지만, 저는 이를 '강한 개연성'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이는 그저 맑스의 텍스트에 입각해 살펴본 pt, 임금노동자, 무산자 등의 개념이고, 실제 '지금-여기'서 역사의 혁명적 주체를 누구로 보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노동자' 또는 'pt'라는 개념을 어떻게 전유할 것인가의 문제는 또 다른 기획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두서없이 길어졌는데 다시 페이퍼로 정리해놓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