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세르반테스의 모범소설집

2년 전 페이퍼다. 세르반테스의 <모범소설집> 완역본이 새로 니와 적었는데 강의에서는 일부만 읽었다.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돈키호테>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건 과제. 세계문학과 관련한 과제도 산적해 있어서 언제 다루게 될지는 미지수이지만, <돈키호테>를 강의에서 다시 읽는 김에 소환해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에밀 졸라의 소설론

15년 전 페이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죽음에 대한 반항, 절망에 맞선 희망

8년 전에 쓴 글이다. 다음주에 <페스트> 강의도 있는 김에 불러놓는다. 카뮈 읽기는 봄에도 이어갈까 고려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제롬 샐린저와 레이먼드 카버

8년 전에 적은 페이퍼다. 두 작가의 평전이 나와서였는데 강의에서 종종 아쉽게 생각하는 점이 이런 평전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일례로 일본문학 강의에서 단골로 다루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나 다자이 오사무 평전도 아직 소개돼 있지 않다(나쓰메 소세키 정도만 읽을 수 있는 정도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일본 작가들임에도 그렇다. 이유를 알지 못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계문학강의에서 아직 미답의 지역으로 남은 곳이 동남아시아다(더 꼽자면 호주문학도 아직 다루지 않았지만). 다른 이유가 없다. 아직 강의를 진행할 만큼 번역/소개되지 않아서다(일부 번역된 작품도 다수가 절판된 상태다). 유감스럽게 생각하던 차였는데, 반갑게도 '동남아시아문학총서 시리즈'가 나오기 시작했다. 1차분 세권이 나왔기에 주문을 넣고 페이퍼를 적는다. 


 












이번에 나온 건 베트남 작가 도빅투이의 <영주>, 인도네시아 작가 함카의 <반데르베익호의 침몰>, 태국 작가 멈짜오 아까심끙 라피팟의 <인생이라는 이름의 연극> 세 편이다. 한세예스24문화재단에 펴냈다(재단의 문화사업의 일환으로 보인다. 


동남아문학은 도서출판 아시아에서 펴내는 '아시아 문학선'에도 일부 포함돼 있는데, '아시아 문학선'은 중국과 인도, 일본문학도 포함하고 있어서 동남아문학의 비중이 떨어진다(인도문학도 올해 상반기 강의에서 다룰 예정이다).    















베트남 작가 바오 닌의 <전쟁의 슬픔>, 응웬 옥 뜨의 <미에우 나루터>, 베트남 작가 소설선으로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정도가 나와 있는 상태다. 


현황을 보면 베트남문학만 얼마간 소개돼 있고, 인도네시아와 태국문학은 미미한 수준이다. 각국의 근현대문학 대표작들이 최소한 댓 편씩은 소개되기를 기대해본다. 어느 정도 기대가 채워지는 대로 동남아문학도 강의에서 다뤄보고 싶다.






























참고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문학 참고자료는 몇권씩 나와있다. 태국문학 참고자료는 전무한 상황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트맨 2023-11-23 0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전쟁의 슬픔‘을 번역한 하재홍입니다. ‘전쟁의 슬픔‘의 작가 바오 닌 선생께서 번역 추천한 책이 최근에 나왔습니다. ‘나 그리고 그들‘입니다. 시적인 방식으로 쓴 독특한 소설입니다. 한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