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영화 관련서 두 권을 '이주의 발견'으로 꼽는다. 하나는 데이비드 길레스피의 <러시아 영화>(그린비, 2015)이고, 다른 하나는 <러시아 영화>의 번역자 라승도 교수의 <시네마트료시카>(한국외대출판부, 2015)다.

 

 

<러시아 영화>는 롱맨에서 나온 "Russian Cinema'를 옮긴 걸로 보이는데, 비교적 얇은 분량의 입문서여서 나도 진즉에 구해둔 책이다. 길레스피의 다른 책으로는 <초기 소비에트 영화>(2000)도 있다. <러시아 영화>의 부제는 '문화적 기억과 미학적 전통'. 소개는 이렇다(알라딘의 저자 소개는 동명이인 다른 저자의 것이다).

20세기 러시아 영화의 주요 작가와 작품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면서 우리가 몰랐던 러시아 영화의 광활함과 풍요로움, 그리고 명암을 보여 준다. 오랫동안 영국 배스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화와 영화를 가르치고 연구해 온 저자 데이비드 길레스피는, 이 책에서 수백 편에 이르는 작품들을 장르별로 분류해 고찰하면서 러시아 영화 속을 흐르는 유구한 미학적 전통을 드러내고 작가 및 작품들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해 보여 준다.

러시아 영화와 영화사에 대한 포괄적인 입문서로 삼을 만하다. 반면, <시네마트료시카>는 '영화로 보는 오늘의 러시아'를 다룬다.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수도였던 모스크바가 소련 붕괴 이후 20여 년에 걸쳐 소비 자본주의의 첨단을 달리는 글로벌 도시로 숨 가쁘게 탈바꿈해온 과정에는 포스트소비에트 시대 러시아의 역동적 변화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런 변화상을 생생하게 반영하고 있는 영화를 통해 러시아 현실을 들여다보고 당면 문제와 미래 비전을 짚어본다.

결과적으로 러시아영화 내지 소비에트 영화와 포스트소비에트 영화에 대한 소개서로 두 권의 책을 연이어 읽어봐도 좋겠다...

 

15. 11. 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미 지난주에 시작됐지만 러시아 예술에 대한 연속 강좌가 있길래 소개한다. 11월 5일부터 12월 3일까지 매주 목요일 3시-5시이고, 장소는 명동 마리아홀이다.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일정을 참고하시길.

 

1강 11.05 러시아의 숨결, Russian Classical Music: 글린카에서 쇼스타코비치까지 | 장일범

러시아가 근대 국가로서의 기틀을 마련할 무렵 러시아에는 본격적으로 서구적 예술형식이 유입되고 러시아 토양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그 첫 결실이 러시아 국민음악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강의에서는 러시아 음악의 아버지 글린카로부터 국민음악파, 차이콥스키와 라흐마니노프, 스크랴빈과 스트라빈스키, 그리고 소련 시기 국가와의 길항 관계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음악세계를 구축해냈던 쇼스타코비치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음악가들의 대표작들을 통해 러시아 음악의 역사를 이해해 본다.  

 

2강 11.12 발레 뤼스(Ballet Russes), 러시아 모더니즘 발레의 전위성 | 신혜조

러시아 모더니즘 문화가 절정을 이루었던 20세기 초, 러시아 발레를 서구 유럽에 널리 알린 발레 단체 ‘발레 뤼스(Ballet Russes)’가 결성되었다. ‘발레 뤼스’는 아카데미 발레의 전통과 체계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스타일을 도입한 전위적 단체로서, 발레를 음악, 미술, 안무, 무용이 총체적으로 조화된 바그너식 종합예술로 발전시키려 했다. 이 강좌에서는 당대 최고 예술가들의 협업으로 탄생된 ‘발레 뤼스’의 주요 작품들을 감상하고, 종합예술로서 러시아 모더니즘 발레가 갖는 의미와 세계 발레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3강 11.19 러시아 아방가르드, 불가능을 그리다 | 이지연

러시아는 일리야 레핀을 비롯하여 리얼리즘의 거장들을 배출한 나라이다. 그러나 20세기 초 러시아 미술계에는 리얼리즘과 재현의 한계를 뛰어 넘는 다양한 미술의 흐름들이 존재했다. 잘 알려진 샤갈이나 칸딘스키 등을 비롯하여 미래주의와 광선주의, 더 없이 러시아적이라 할 필로노프의 해체적 작품들과 말레비치의 절대주의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이 시기 러시아 미술은 세계미술의 최전선에 서 있었다. 이 강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러시아 미술의 실험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혁명이라는 존재론적 사건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한다.   

 

4강 11.26 혁명과 사랑, 그리고 시: 마야콥스키와 러시아 미래주의 | 조규연

러시아 혁명기, 혁명은 사건일 뿐 아니라 삶이었다. 러시아 지식인들은 혁명을 ‘살아내야’ 했다. 당대 최고 시인 마야콥스키의 존재를 규정하는 두 단어가 있다면 그것은 다름 아닌 혁명과 사랑이었다. 그러나 ‘혁명시인’이라는 그에 대한 정치적 수식어는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이 강의에서는 20세기 러시아 최고의 시인 마야콥스키의 삶과 창작에서 혁명과 사랑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 이는 혁명이라는 격변기 속에서 현실과 지속적으로 투쟁했고 권력과 실존 사이에서 갈등했던 시인 마야콥스키에게서 진정한 시인, 사랑하고자 했던 한 인간의 모습을 새롭게 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5강 12.03 스타니슬랍스키냐, 메이예르홀트냐: 20세기를 지배한 러시아 연극 | 백승무

서유럽과 다른 문화적 전통을 가진 러시아는 19세기 말 유럽문화의 중심지로 급부상한다. 그 중심에 러시아 연극의 중흥을 이끈 스타니슬랍스키와 메이예르홀트가 있다. 이 두 사람의 이름은 20세기 연극예술을 지휘하는 주어가 되었고, 아직까지도 연출연기 교과서의 첫 줄에 등재되어 있다. 상반된 연극미학을 가진 두 사람이 어떻게 20세기를 양분하는 거대 산맥이 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들이 그린 연극지형도의 밑그림을 둘러본다.

 

 

15. 11. 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연 행사 공지다. 공공도서관의 '길위의 인문학' 행사의 하나로 용인 수지도서관에서 10월 10일에 '러시아문학, 연극과 만나다' 행사를 개최한다. 강연자로 참여하게 됐는데, 구체적인 일정과 내용, 그리고 신청 방식은 아래 포스터와 관련기사를 참조하시길.

 

용인시 수지도서관은 10월 10일에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도서관, 문화예술에 빠지다'의 3차 행사로 '러시아문학, 연극과 만나다'를 운영하기로 하고 10월 1일부터 참가자를 모집한다. '길 위의 인문학'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가 주관, 재미있고 유익한 인문학 강좌를 통해 독서문화의 장을 넓히는 프로그램이다.

 

강연과 탐방으로 진행되는 3차 프로그램은 러시아 문학의 황금기인 19세기 대문호들의 삶과 작품에 대한 강연과 서울 대학로 극장을 찾아 안톤 체호프의 대표희곡 '갈매기'를 감상하는 시간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로쟈의 인문학 서재'의 저자 이현우 씨가 10월 10일 정오에 수지도서관 2층 시청각실에서 강연을 하고 탐방을 이끈다. 10월 1일 오전 10시부터 도서관 홈페이지(www.yonginlib.go.kr)에 19세 이상 일반인 40명을 접수받으며 참가비는 무료다.(국제뉴스)

19. 09. 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넋을 놓고 있다 보니 어느새 9월이다. 빗소리가 이젠 9월이라고 속삭이는 듯하다. 회복기 환자로서 내주나 지나야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할 거 같지만 여하튼 마음은 다시 분주해진다. 일단 일정 확인부터하다가 내달 10월과 11월에 진행하는 강의부터 공지한다. 이진아도서관에서 진행하는 '로쟈의 톨스토이 깊이 읽기'다(http://lib.sdm.or.kr/culture/apply_view.asp?ag=&wk=&st=&ct=&sw=&pg=&pg_code=3259). 지난 여름의 '도스토예프스키 깊이 읽기'에 이어지는 강의. 10월 6일부터 11월 24일까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9시이고, 구체적인 강의 일정은 아래와 같다.

 

1. 10월 6일_ 톨스토이, <유년시절> 

 

 

2. 10월 13일_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3. 10월 20일_ 톨스토이, <크로이체르 소나타>

 

 

4. 10월 27일_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1)

 

 

5. 11월 03일_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2)

 

 

6. 11월 10일_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3)

 

 

7.11월 17일_ 톨스토이, <부활>(1)

 

 

8. 11월 24일_ 톨스토이, <부활>(2)

 

 

15. 09. 02.

 

P.S. <전쟁과 평화>가 빠진 건 워낙 대작이기도 하지만(최소 4주가 필요하다) 현재 새 번역판이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중에 새로운 번역본이 나오면 '톨스토이 더 깊이 읽기' 비슷한 강의라도 진행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주출판도시에서는 매주 토요일 오후 2시'출판도시 인문학당'을 개최하는데, 이번 9월에는 3주간 '로쟈와 함께 읽는 러시아문학'을 진행하게 되었다(http://www.pajubookcity.org/content/sub_04_book_2015_01_info_v01.asp). 일정과 주제는 아래와 같다.

 

로쟈와 함께 읽는 러시아문학

 

1. 9월 05일_ 푸슈킨의 <예브게니 오네긴>

 

 

2. 9월 12일_ 고골의 <죽은 혼>

 

 

3. 9월 19일_ 체호프의 <체호프 희곡선>

 

 

15. 08. 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