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지체된 <로쟈의 러시아문학 강의 - 20세기>(현암사, 2017)가 이번주에 인쇄에 들어간다. 내주중에 서점에는 깔릴 예정이다. 오래 끌었다고 나아진 건 없지만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나대론 기념할 수 있게 돼 흡족하다. 따로 내놓을 것도 없던 차였기에. 19세기 강의 독자들에게도 좋은 선물이 되면 좋겠다. 오늘 받은 표지의 이미지를 올려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러시아 현대영화론의 수준을 보여주는 책이 출간되었다. 미하일 얌폴스키의 <영화와 의미의 탐구>(나남, 2017)다. 러시아 태생으로 러시아 영화예술이론연구소에서 서구 이론 서적 번역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모스크바 철학자 그룹에서 활동하다가 1992년부터는 미국 뉴욕대학에서 재직중이다. 영화와 이론 분야의 책들을 러시아어로 활발하게 출간해오고 있는데 <영화와 의미의 탐구>는 그의 영화이론가로서의 이력서 같은 책으로 원제는 '언어, 신체, 사건'이다. 영화평론가 남수영의 추천사대로다. "미국 영화담론 생산의 중심지 뉴욕대학에서도 경외의 대상인 미하일 얌폴스키. 이 책은 언어, 신체, 사건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요약되는 얌폴스키의 이력서이다. 그가 1982년부터 2002년까지 영화에 대해 쓴 글을 모은 이 책은 그 자체로 한 편의 영화처럼 느껴진다."


"얌폴스키는 현대 러시아 인문학계를 선도하는 대표적 학자 중 한 사람으로 현재 뉴욕대학에서 비교문학 및 러시아문학 전공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학문적 이력은 영화연구로 시작했으나 2000년 이후로는 이미지의 철학적 차원과 재현의 역사 전반을 아우르는 대작을 선보이며 포스트소비에트 시기를 대표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이른 1980-1990년대 세대를 위한 트로이카의 영화를 가장 먼저 발견하고 그들의 예술적 무게에 값하는 비평적 응답과 지지를 보내준 이로, 특히 소쿠로프 감독이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비평가로 꼽은 바 있다." 

책은 영화 매니아들에게는 '제2의 타르코프스키'로 불리는 소쿠로프에게 헌정되고 있는데, 마침 소쿠로프의 영화세계에 대한 논문집도 나와 있는데, <알렉산드르 소쿠로프>(한울, 2015)가 그것이다. 얌폴스키의 글도 이 책에 수록되어 있다. 



얌폴스키의 책의 공역자로 나도 이름이 올라가 있기는 하지만 내가 거든 건 일부에 불과하고 책은 책임번역을 맡은 김수환 교수의 노고의 결과물이다. 러시아 문화기호학의 거장 유리 로트만의 저작을 옮기고 소개하는 데 주력해왔는데, 소위 러시아 이론분야의 가장 믿음직한 중개자이자 해설자 역할을 하고 있다. 러시아 인문학의 수준이 궁금한 독자라면 로트만과 얌폴스키의 책들을 참고해볼 수 있겠다. 


한편, 소쿠로프 얘기가 나온 김에 그의 2011년작 <파우스트>도 생각난다. 요즘 괴테의 <파우스트>를 강의하고 있어서인데, 소쿠로프의 <파우스트>는 <파우스트>보다는 '소쿠로프'를 보여주는 영화이(겠)지만 그래도 봐두어야겠다. 독일의 파우스트와 대비되는 러시아 파우스트를 보게 될지도 모른다. 


 

17. 04. 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겨울 러시아문학기행의 여정이기도 했지만 '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로의 여행'은 18세기 러시아 계몽주의의 대표 작가 알렉산드르 라디셰프(1749-1802)의 대표작이기도 하다(그러고 보니 괴테와 생년이 같다). 지난 80년대에 <길>이란 제목의 번역본이 유통되기도 했는데, 이번에 러시아어 원전 번역으로 다시 나왔다.   


"혁명의 예언자이자 선구자'로 평가받는 라디셰프의 대표작. 이 책은 18세기 러시아 사회의 모순과 혁명 의식이 발아되는 상황을 생생히 담고 있는 역작으로, 문학의 사회적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 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19세기의 위대한 망명 지식인이었던 게르첸은 이 작품을 '거대한 고발장'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또한 이 작품을 접한 예카테리나 2세는 작가에게 사형을 언도할 정도로 당시 러시아 사회를 뒤흔든 문제작이다."

18세기 후반 러시아 계몽주의를 대변하는 작가는 라디셰프 외에 니콜라이 카람진이 있다. <가엾은 리자>(1792)가 대표작인데, 두 사람을 비교하여 강의에서는 '감상적 계몽주의'(라디셰프)와 '계몽적 감상주의'(카람진)로 구분하기도 했다. 러시아 지성사에 관한 책들이 절판되었기 때문에 관련 내용은 <러시아문학사>나 <러시아혁명사> 등에서 읽어보실 수 있겠다...


17. 03.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문학동네판 2권이 출간되었다. 전 4권 가운데 두 권이 나왔으니 '절반의 <전쟁과 평화>'가 완성된 셈. 지난해 10월에 1권이 나왔으니 5개월만이다. 내가 아는 일정으로는 올해 완간되어야 하는데, 남은 9개월도 만만찮겠다(가속도가 붙으려나?).

 

 

언젠가 언급한 대로 현재 <전쟁과 평화>는 읽을 수 있는 번역본이 제한돼 있다. 맹은빈 역의 동서문화사판 정도다.

 

 

박형규 선생의 번역도 오래된 번역이지만 이번에 꼼꼼한 교정과정을 거쳐서 개정판으로 나오는 것이므로 다른 번역본이 나오기 전까지는 정본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듣기에는 민음사판 <전쟁과 평화>도 나온다고 한다).

 

War and Peace

 

이미 일정이 예고된 만큼 기다리면 될 일이지만 '주마가편'이라고 한번 더 채근한다. 올 겨울에는 <전쟁과 평화>에 대해서도 아주 오랜만에 강의를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면서 내가 적은 추천사를 한번 더 옮긴다.

"소설이란 무엇인가? 소설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이런 질문에 답하는 소설들이 있다. 소설의 역량을 극대화하면서 그 한계를 실험하는 소설들이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가 바로 그런 소설이다. 아니 이 대작은 거기서도 한걸음 더 나아간다. 러시아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면서 동시에 역사란 무엇인가, 무엇이 역사를 움직이는가라는 물음에도 답하고자 한다. 거인의 어깨 위에서 세상을 본다는 느낌을 이보다 더 확실하게 전달해주는 소설을 나는 알지 못한다. <전쟁과 평화>를 읽으며 우리는 신의 시점으로 세상을 내려다본다. 소설가로서 톨스토이는 신이다."

17. 03. 18.

 

P.S. 아래는 러시아 영화 <전쟁과 평화>(1967)의 두 주인공 나타샤와 피에르 베주호프이다. 나타샤 역은 류드밀라 사벨레예바, 베주호프 역은 감독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직접 연기했다...

 

Lyudmila Savelyeva, War and Peace, 1967

Sergej Bondartschuk in Voyna i mi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발 늦게 알았는데, 러시아혁명 100주년 특별전으로 '혁명과 영화'가 2월 28일부터 3월 12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린다(http://www.cinematheque.seoul.kr/). <전함 포템킨> 외 10편의 영화가 상영되며, 일곱 차례의 강연 행사도 같이 진행된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나도 하루 정도는 시간을 내봐야겠다...

 

17. 03. 03.

 

 

P.S. 러시아 영화 관련서는 여러 종 출간되었지만 상당수가 절판되었다. 전반적인 영화사에 대한 소개로는 데이비드 길레스피의 <러시아 영화>(그린비, 2015)가 추천할 만하다. 이번 영화제 강연 중에는 러시아 잡지 '영화예술'의 편집인 예브게니 마이셀의 '지가 베르토프의 영화미학'(3월 11일 오후 2시)도 포함되어 있다. <카메라를 든 사나이>(1929) 상연 이후에 진행되는데, 영화학도라면 놓치기 아까운 강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