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한국과 러시아문학, 1896-1946‘을 부제로 한 책이 나왔다. 러시아문학자 김진영 교수의 <시베리아의 향수>(이숲). 이 주제에 관한 국내 논저 가운데 가장 폭넓고 깊이 있는 저작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20세기 초 러시아 문학이 한국 사회와 문화에 끼친 영향을 연구해온 학자가 방대한 기록을 참고하고 분석과 성찰을 거듭하여 완성한 책이다. 실제로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러시아 문학은 문학 이상의 현상이었다. 궁핍했던 시대를 비춘 거울이자 대리 발언대로서 다른 어떤 외국 문학보다도 깊은 반향을 일으킨 휴머니즘 교과서였고, 근대 지식과 감성과 문화를 유입하는 통로이기도 했다.

이 책은 1896년 조선왕조 사절단의 첫 러시아 여행에서부터 1946년 이태준의 첫 소련 여행에 이르는 50년간 러시아 문학이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번역되고 읽혔는지, 또 러시아/소비에트 러시아의 표상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었는지 살펴본다.˝

수년 전에 대학원에서 한러 비교문학을 강의한 적이 있는데 그때 이런 책이 나와있었다면 궁색한 강의는 면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국외에서도 좋은 학술서가 그 이후에 나왔다). 여하튼 유용한 참고서도 마련된 김에 한러 비교문학의 몇가지 주제에 대해서는 1-2년 내로 별도의 강의를 기획해보고 싶다.

지난 달인가 다룬 적이 있는데 러시아문학과 한국문학에서의 시베리아를 다룬 책으론 이정식의 <시베리아 기행>(서울문화사)도 유익한 참고자료이다. 시베리아 문학기행도 언젠가는 가보고 싶은데 바이칼호가 오염되고 있다는 기사도 어제 읽은 터라 마음이 가볍지는 않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시아 현대사에 가장 정통하다는 영국의 역사학자 올랜도 파이지스의 <혁명의 러시아 1891-1991>(어크로스)이 출간되었다. 주저 <민중의 비극>을 은근히 기대했지만(분량이 무지막지하긴 하다) 러시아 현대사 100년의 압축판으로 대신하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인다.

˝러시아 현대사의 권위자인 런던대학교 버벡 칼리지의 올랜도 파이지스 교수는 이 책에서 러시아 혁명을 100년 동안 장기지속된 하나의 사이클로 서술한다. 러시아 혁명을 다룬 대부분의 책들이 혁명이 일어난 1917년 전후의 짧은 시기의 사정에만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올랜도 파이지스는 이 책에서 혁명의 기원에서부터 독재, 그리고 소련 몰락에 이르는 비극적인 과정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서 혁명 이전의 제정 러시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고 인류 최대의 유토피아 실험이라고 할 수 있는 러시아 혁명과 공산주의에 대한 이상이 어떻게 현실에서 왜곡되고 실패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레닌과 볼셰비키의 10월 혁명에서 고르바초프의 개혁 이후 소련 몰락에 이르는 전 과정을 혁명의 계승과 진행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한다.˝

그러니까 러시아혁명사를 상당히 확장된 스케일로 재검토한 책이다. 그럼에도 분량이 부담스럽지 않다는 게 강점. 더 자세한 혁명사를 원한다면 저자의 <민중의 비극>을 참고하면 되겠다(1891년부터 1924년까지를 자세히 다룬다).

파이지스의 책으론 러시아 근대 문화사를 다룬 <나타샤 댄스>(이카루스미디어)가 처음 소개되었고 또다른 대표작으로 스탈린시대를 조명한 <속삭이는 사회>(교양인)도 번역돼 있다. 이제 이름을 기억해두어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시아사 관련서를 검색하다가 뒤늦게 발견한 책은 로렌 그레이엄의 <처형당한 엔지니어의 유령>(역사인)이다. 무려 지난여름에 나왔지만 스텔스 기능이라도 장착한 것인지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확인해보니 저자는 러시아 과학사를 전문적으로 다룬 학자다(아마도 이 분야의 권위자일듯). <러시아와 소련에서 과학> 같은 저작을 갖고 있다. <처형당한 엔지니어의 유령>은 과학사가의 입장에서 소련의 실패를 해부하고 있어서 눈길을 끈다.

˝소련은 왜 근대 산업국가가 되지 못했을까를 설명하는 책이다. 이러한 논의는 소련 산업화 초기의 오류들을 지적하고 그것들을 고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표트르 팔친스키라는 러시아 엔지니어의 인생 이야기로부터 시작한다. 저자 그레이엄은 팔친스키의 삶을 통해 테크놀로지를 둘러싼 소련 초창기의 문제점을 짚고 있을 뿐 아니라 그것이 궁극적으로 소련 패망의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라는 주장을 펼친다.˝

원서도 구입하려 했더니 재판이 나왔음에도 분량에 비해 비싼 편이다. 영어권에도 이 분야의 독자는 많지 않은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시아혁명 100주년 관련서가 계속 나오고 있는데, 이번주에는 국내 학자들의 논문모음집이 <다시 돌아보는 러시아혁명 100년>(전2권, 문학과지성사)이란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다시 돌아보는 러시아혁명 100년>은 오늘날의 시점에서 러시아 혁명기 당대를 새롭고 다르게 조망하고자 했다. 총 두 권으로 구성된 이 책에는 최근 수년간 학계와 여러 토론 공간에서 발표된 논문과 평론 들이 실렸는데, 서로 상치되는 해석적 경향조차 포함될 정도로 다양한 입장과 관점을 두루 통합하여 제시했다.

1권에는 혁명 해석사를 한눈에 정리, 분석한 한정숙의 글에서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면면을 추적한 심광현의 글까지, 다양한 주제와 관점을 보여주는 정치․사회 분야의 논문 10편이 실렸다. 2권에는 러시아 혁명이 문학에 불러온 변화의 과정을 조망한 박종소의 글부터 레닌과 스탈린 시대의 포스터 속 레닌 이미지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한 김정희의 글까지, 러시아 혁명과 예술의 관계를 다룬 인문․예술 분야의 논문이 실렸다.˝

안 그래도 20세기 러시아문학 강의를 하면서 러시아혁명사를 입에 달고 다니는데 국내 학자들의 최신 관점과 성과를 한 눈에 들여다볼 수 있게 돼 반갑다. 관심을 더 확장하면 <1905년 러시아혁명과 동아시아 3국의 반응>(그린비)까지도 챙겨볼 수 있겠다.

이달과 다음 달에는 관련 학회행사들도 크게 개최될 터인데, 그 결과물은 아마도 내년에나 출간되지 않을까 싶다. 내년은 작가로는 솔제니친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인데, 겸사겸사 절판된 <수용소군도>(완역본)과 <제1권>도 다시 나오면 좋겠다. 여러 가지 이유에서 당분간은 러시아혁명 얘기가 끊이질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11월 1일과 15일, 저녁 7시 30분에 정릉도서관에서 ‘러시아문학과의 만남‘을 주제로 행사를 진행한다. 요청에 따라 주로 19세기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소개하고 질의에 답할 예정이다.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포스터를 참고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