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학력고사 세대이다. 선지원 후시험도 아니었고, 수시모집 같은 제도도 없었고, 논술 고사라는 것도 따로 없었고, 그냥 학력고사 시험 한번 보고 나오는 성적과 고등학교 내신 성적으로 적당한 대학에 지원을 하는 시스템하에서 시험을 치뤘다.

고등학교 2학년, 이과반으로 들어간 후 부터 성적이 조금씩 떨어지더니, 고등학교 3학년이 되자 모의고사니 중간 고사, 기말 고사 점수는 시험 한 번 볼 때마다 오르는 일 없이 계속 뚝 뚝 떨어졌다. 어디까지 내려가려고 이러나 처음엔 불안하고 걱정되고 속상하고 어찌해야 할지를 모르겠더니 3학년 2학기를 넘어가면서부터는 거의 포기 상태. 공부를 뒷전으로 하고 다른데 정신이 팔려 있던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나는 하루 24시간 공부 생각만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을 정도. 지나고 나서 생각하니 그게 문제였던 것 같다. 걱정, 걱정이었다 공부에 대한 걱정. 책상에 새벽 2시까지 앉아서 내가 한 것은 공부가 아니라 공부에 대한 걱정이었다.

학력고사 시험날, 시험장까지 작은 외삼촌께서 차로 데려다 주셨는데, 엄마도 함께 타고 가셨다. 나를 내려 주시고 엄마는 바로 직장으로 출근. 떨리지도 않고, 그냥 이 시험이 빨랑 지나가버렸으면 했다. 어차피 난 내가 어느 정도의 성적을 받을지 알고 있었으니까. 모의고사는 괜히 보나. 그동안의 성적으로 충분히 짐작할수 있는 나의 코 앞의 미래.

한 교시 끝날때마다 서로 답을 확인해보는 아이들을 보며 난 책상에 가만히 앉아서 무슨 생각을 했었는지 모르겠다. 그냥 이제 한 시간 끝났다, 이제 두 시간 끝났다, 마음속으로 세면서 시간이 가기만을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다.

고등학교 3학년 내내 모의고사 볼때마다 나를 괴롭히던 두통이 이 날도 예외 없이 찾아왔다. 3교시쯤부터 시작되는 이 두통은 한쪽 머리가 쪼개지듯이 아파서 4교시 시험볼때쯤이면 (나의 취약점인 과학 과목이 주루룩 들어있는) 제대로 문제에 대한 생각을 할수도 없을 정도였다. 어차피 잘 모르는 답인걸 하며 늘 4교시 답안은 대충 메꿔 내곤 했던 것이다. 아...오늘만은 그러지 않길 바랬는데, 예외가 없었다.

드디어 4교시에 걸친 시험이 모두 끝나고, 같은 고사장 다른 교실에서 시험을 치른 단짝 친구를 만나니 그 친구는 답을 확인해보느라 정신이 없었다. 고사장을 나오니 그 친구의 어머니께서는 고사장 문 밖에서 시험치르고 나오는 딸을 기다리고 계셨다. 함께 버스를 타고 집에 돌아오는데 벌써 라디오에서는 정답과 해설이 나오고 있었다. 귀를 쫑긋하며 듣는 친구, 일부러 안들으려고 하던 나.

고등학교 3학년 어느날 그 친구에게 자조적으로 말한 적이 있었다. 나 이러다가 XX대 정도밖에 못 갈것 같아. 그랬더니 그 친구, 그래도 그 학교보다는 나은 데에 가야하지 않겠니?

결국 나는 그 XX대에 입학을 하였고, 그 친구는 그보다 훨씬 나은, 아니 우리 나라 최고 명문대에 입학을 하였다.

학력고사를 보고나서 입학 원서를 내고, 입학 결정이 되기까지의 얘기는 또 한 묶음거리이다.

그것이 벌써 몇년 전 일인데, 이렇게 대학 입학 시험 날이 되면 어김없이 생각이 나는가. 그리고 우울해하는가. 이유를 찾자면, 그 이후로 나란 인간은 아주 달라졌기 때문이다. 아직도 나를 얘기할때  최소한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시점이 바로 그 시점이 되기 때문이다.

덧붙임 1.고3 내내 나를 괴롭히던 그 두통에 대해 누구에게도 얘기한 적이 없다. 난 아플 자격도 없다고 생각했던걸까. 그 두통은 학력고사보던 날을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덧붙임 2. 위의 그 단짝 친구와는 지금까지도 단짝 친구이다. 초등학교부터 지금까지 친구이기 때문에 나를 너무나 잘 아는 제2의 나 라고나 할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적오리 2006-11-16 16: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많이 공감이 되는 내용입니다.
저도 오늘 출근길에 제가 학력고사 보던 날을 떠올렸었거든요.

저도 학교 다닐 때는 공부보다는 공부에 대한 걱정이 더 많았었죠.
어른이 되어서도 어떤 일보다는 그 일에 대한 걱정이 더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은 걱정하는 시간에 뭔가를 그냥 뛰어들어서 해보자하고 있지만요..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하는 글이네요...

hnine 2006-11-16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해적님도 학력고사 세대? 방가방가 ^ ^
 
발자국 소리가 큰 아이들
김수연 지음 / 열림원 / 2004년 4월
품절


창의적인 아이들의 공통점
1. 호기심이 강하고 감성이 풍부하다.
2. 독립심, 모험심이 강해 에너지가 넘쳐흐른다.
3. 쉽게 실증내고 주의력이 산만하다.
4. 정서적 안정이 요구되고, 주위의 보살핌이 필요하다.
5. 기존 관습에 무관심하며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기도 한다.
6. 배우는 걸 좋아하는데, 특히 독서와 수학을 좋아한다.
7. 뭔가 하고자 싶은 게 있는데 할 수 없으면 쉽게 좌절한다.
8. 탐구력이 강하며, 단순 암기를 싫어하고, 듣기를 좋아한다.
9. 자신에게 흥미가 있는 일이 아니면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한다.
10. 매우 착하며 죽음 등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공포감을 느낀다.
11. 일찍이 실패를 경험하게 되면 쉽게 포기하려들거나 사람들 간의 벽을 쌓는다.-57쪽

생활 속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10가지 방법 중에서
- 하루에 한 번은 산책을 하게 한다. 이는 아이의 감성을 길러줌과 동시에 아이의 뇌세포를 조용히 자극할 것이다.
- 될 수 있으면 텔레비전 멀리한다. 텔레비전을 통해 보고 듣는 것에 의해 생각이 제한되어 버린다는 연구보고서가 있다.
- 책값을 아끼지 말고 닥치는 대로 읽게 한다. 독서는 사람의 뇌를 자극해 창의적인 영감이나 정보를 얻게 해준다.
- 많은 것을 읽게 하고 사람들과 대화를 즐기며 자유롭게 토론하는 가정 분위기를 만든다.
-1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자국 소리가 큰 아이들
김수연 지음 / 열림원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다른 학습능력에 비해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가장 부족하다는 '창의력'.

창의력은 다름 아닌 문제 해결 능력이라고 한다. 남과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의견을 내놓기보다는 어떻해서든 남들과 비슷하게, 남들보다 튀지 않게 하라는 암묵적인 압력을 받으며 교육받고 자라온 나의 세대에 비해 지금은 초등학교부터 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교육방식도, 시험 방식도 많이 달라졌으니, 아이들의 창의력은 그만큼 향상되었을까 생각해본다. 교육과 시험의 '형식'은 많이 달라졌는지 몰라도, 아이들은 자신의 머리와 손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학원 선생님에 의해 정리되고 요약된 해결 방법을 전달 받고 그것을 연습하여 높은 점수를 내는데에 치중되고 있지 않는지.

발자국 소리가 큰 아이들이란, 저자가 직접 개발했다는 창의적 미술 교육 프로그램이다. 미술은  도구로서 의 역할을 한다고 해야 맞고 그리기, 만들기 등을 통해 창의력 키워주기에 중점을 두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실제로 책을 읽다보니 창의력을 키워주는데 미술만한 훌륭한 매개체가 없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 속에 실려 있는 11살 미만 아이들의 작품들을 보면 이들이 그 나이의 아이들의 손과 머리에서 나온 것 맞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놀랍기만 하다. 입체 설계, 모형 제작 등을 통해 어릴 때부터 입체를 볼 줄 알고 생각하게 하는 능력을 키워주고, 원근법과 투시도에 대한 개념은 필수. 모형 제작을 하는 과정에서는 과학과 공학의 범주로까지 확장된 작업을 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좋은 의도에서 비롯된 좋은 프로그램이다. 10살 미만의 아이들이 두세 시간씩 집중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한발 한발 나아갈때 과정은 힘들어도 마지막 단계에서는 신나한다는 것도 인상적이다. 아이들의 '과제집착력'이 작업 자체에 대한 '재미'를 넘어서지는 않는가 약간 염려스러운 점이 있긴하다. 개인적으로, 아무리 훌륭한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자신이 하고 있는 그 일 자체에 대한 재미를 능가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기 때문에. 그 점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사람의 어려움이 아닐까.

아이들이 어떠한 것을 생각하고, 떠오른 것을 표현하려면 우선 많은 것을 알아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책, 영화, 여행등 많은 경험을 쌓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런 경험들이 다른 면에 있어서도 그렇겠지만 창의력있게 표현하는 밑천, 바탕이 되는 것일테니까.

발자국 소리가 큰 아이들, 남들보다 더 큰소리를 내는 아이들을 그들의 눈으로 보아주자. 그 발자국에 관심을 가져보자. 큰소리 냄을 야단만 칠것이 아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싸이런스 > [펌] 뒷북이라도

http://www.snopes.com/language/document/liferule.htm

Rules Kids Won't Learn in School

 

Claim:   Bill Gates authored a list of 'Rules Kids Won't Learn in School.'

Status:   False.

Example:   [Collected on the Internet, 2000]

 

Rule No. 1:   Life is not fair. Get used to it. The average teen-ager uses the phrase "It's not fair" 8.6 times a day. You got it from your parents, who said it so often you decided they must be the most idealistic generation ever. When they started hearing it from their own kids, they realized Rule No. 1.

 

Rule No. 2:   The real world won't care as much about your self-esteem as much as your school does. It'll expect you to accomplish something before you feel good about yourself. This may come as a shock. Usually, when inflated self-esteem meets reality, kids complain that it's not fair. (See Rule No. 1)

Rule No. 3:   Sorry, you won't make $40,000 a year right out of high school. And you won't be a vice president or have a car phone either. You may even have to wear a uniform that doesn't have a Gap label.

Rule No. 4:   If you think your teacher is tough, wait 'til you get a boss. He doesn't have tenure, so he tends to be a bit edgier. When you screw up, he's not going to ask you how you feel about it.

Rule No. 5:   Flipping burgers is not beneath your dignity. Your grandparents had a different word for burger flipping. They called it opportunity. They weren't embarrassed making minimum wage either. They would have been embarrassed to sit around talking about Kurt Cobain all weekend.

Rule No. 6:   It's not your parents' fault. If you screw up, you are responsible. This is the flip side of "It's my life," and "You're not the boss of me," and other eloquent proclamations of your generation. When you turn 18, it's on your dime. Don't whine about it, or you'll sound like a baby boomer.

Rule No. 7:   Before you were born your parents weren't as boring as they are now. They got that way paying your bills, cleaning up your room and listening to you tell them how idealistic you are. And by the way, before you save the rain forest from the blood-sucking parasites of your parents' generation, try delousing the closet in your bedroom.

Rule No. 8:   Your school may have done away with winners and losers. Life hasn't. In some schools, they'll give you as many times as you want to get the right answer. Failing grades have been abolished and class valedictorians scrapped, lest anyone's feelings be hurt. Effort is as important as results. This, of course, bears not the slightest resemblance to anything in real life. (See Rule No. 1, Rule No. 2 and Rule No. 4.)

Rule No. 9:   Life is not divided into semesters, and you don't get summers off. Not even Easter break. They expect you to show up every day. For eight hours. And you don't get a new life every 10 weeks. It just goes on and on. While we're at it, very few jobs are interested in fostering your self-expression or helping you find yourself. Fewer still lead to self-realization. (See Rule No. 1 and Rule No. 2.)

Rule No. 10:   Television is not real life. Your life is not a sitcom. Your problems will not all be solved in 30 minutes, minus time for commercials. In real life, people actually have to leave the coffee shop to go to jobs. Your friends will not be as perky or pliable as Jennifer Aniston.

Rule No. 11:   Be nice to nerds. You may end up working for them. We all could.

Origins: No, this list didn't originate with Microsoft head Bill Gates. (It's frequently cited on the Internet as having come from his book Business @ The Speed of Thought, but it didn't.) Why it's attributed to Gates is a mystery to us; it doesn't really sound the least bit like something he would write. Possibly, the item the Internet-circulated version of the list generally ends with ("Be nice to nerds") struck a chord with someone who views Gates as the ultimate successful nerd of all time.

One version that appeared on the Internet in June 2002 asserts this is the text of a commencement speech given by Bill Gates to the graduating class of Mt. Whitney High School in Visalia, California. It isn't — he didn't give such a speech, and folks at that school are mystified as to why they've been dragged into this apocryphal story.

Nor is this list the work of Kurt Vonnegut, another person to whom authorship has been attributed. A clue found in those versions ("From a college graduation speech by Kurt Vonnegut, Jr.") explains why folks want to lay these random words of wisdom on his doorstep: In 1998, the Internet was swept with a narrative that has come to be known as the Vonnegut sunscreen speech. That work of inventive fiction was actually the product of Chicago Tribune writer Mary Schmich, but Internet-circulated versions claimed it was a college graduation speech given by Kurt Vonnegut. Vonnegut thus became associated in the minds of some people with pithy advice to young adults.

This list is the work of Charles J. Sykes, author of the book Dumbing Down Our Kids: Why American Children Feel Good About Themselves But Can't Read, Write, Or Add. (The list has appeared in newspapers, although not necessarily in this book.) Many versions omit the last three rules:

Rule No. 12:   Smoking does not make you look cool. It makes you look moronic. Next time you're out cruising, watch an 11-year-old with a butt in his mouth. That's what you look like to anyone over 20. Ditto for "expressing yourself" with purple hair and/or pierced body parts.

Rule No. 13:   You are not immortal. (See Rule No. 12.) If you are under the impression that living fast, dying young and leaving a beautiful corpse is romantic, you obviously haven't seen one of your peers at room temperature lately.

Rule No. 14:   Enjoy this while you can. Sure parents are a pain, school's a bother, and life is depressing. But someday you'll realize how wonderful it was to be a kid. Maybe you should start now. You're welcome.

Advice columnist Ann Landers has printed the first ten items (uncredited) several times, and the list has been used by radio commentator Paul Harvey. The prize for misattribution, however, has to go to The Atlanta Journal and Constitution, which printed the list twice in three weeks in mid-2000, the first time crediting it to "Duluth state Rep. Brooks Coleman of Duluth," and the second time to Bill Gates.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06-11-16 1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버릴 말이 하나도 없다!
 
8살 이전의 자존감이 평생 행복을 결정한다
토니 험프리스 지음, 윤영삼 옮김 / 팝콘북스(다산북스)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다 읽은 지 꽤 되었으나 이제 리뷰를 올리는 것은, 밑줄 그은 부분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밑줄 긋기 형식으로 쓰려고 했었으나 너무 많아서 포기. 원제는 Self-Esteem: The key to your childs future 이니, 해석하자면 자존감: 아이의 미래를 결정하는 열쇠 라고 할까. 영아에서 초등학교 1학년 전후 아이를 둔 부모들을 상대로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현재 그렇지 않더라도 앞으로 부모가 될 사람들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저자는 말한다. 아이를 키우는 일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점을, 아이를 키우는 일은 절대 타고난 기술이나 본능적인 기술이 아니라 끊임없이 공부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부모는 아이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사람이 아니며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통제하는 상황은 갈등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한다. 너를 위해서라는 토를 붙여, 애정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는 얼마나 통제되어 왔었고, 또 우리 아이들을 조정하려 드는가. 자존감을 키우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바꿔 말하면 어떤 요소의 결핍이 결정적으로 아이의 자존감 형성을 방해하는가. 답은 정해져 있지 않은가?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받고 보살핌을 받아 자신이 그러한 충만한 사랑을 받고 있다고 아이가 느끼며 자랄 때 아이는 스스로에 대한 가치를 느끼며 자존감이 형성된다. 부모의 사랑이 아이에게 전달되도록 하려면 행복한 가정, 행복한 부부라는 전제 조건이 요구된다. 스스로 자존감이 높은 부모, 갈등을 긍정적이고 발전적으로 해결해나가는 부부가 행복한 가정을 만든다. 실제로 아이의 삶에 있어 가장 큰 스트레스의 원천은 부부갈등이라고 한다.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자존감을 형성시켜주려면 부부갈등부터 풀라고. 아이와 소통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은연중에 뭔가를 가르치고 지시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하려고 해서는 안되고,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털어놓을 수 있도록 들어주는 것에 중점을 두라고 한다. 아이가 보이는 문제 행동 자체는 문제가 아니고, 그것은 눈에 안 보이는 아이의 내면적인 갈등을 표현하는 신호임을 알아차려야 하며, 학업과정에서 맞이하는 성공과 실패 자체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주기보다는 다만 부모와 선생님을 비롯한 어른들의 반응이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인간의 능력을 결정하는 것은 유전자가 아니라 자존감이라고 하니, 어릴 적부터 자존감을 어떻게 키워왔느냐가 제목처럼 아이의 미래를 결정하는 열쇠가 되지 않겠는가. 하지만 이런 책들을 읽으며 십분 이해하고 머릿속에 담아놓는 것에 비해, 지금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그것을 실천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저자도 말했듯이 인간의 행동에는 감정이 우선하고 머리는 그 행동을 정당화 할 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를 키우며 부모도 같이 큰다고 했던가.

이런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엄청난 책임감과 나 자신 부족함에 대한 반성은 커져만 간다. 나는 어쩌면 아이를 위해서라기 보다 나 자신을 위해서 이런 책을 읽어오고 있는지 모른다. 아이가 있음으로 해서 나 자신을 돌아보고 분석하고 정비하여 새롭게 날 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 감사한다, 쉽지 않은 여정이지만.


댓글(5)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06-11-15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휴 자존감.....규환이 받아쓰기 70점 받아왔길래 울그락 불그락 하면서 한번만 더 70점 받아오면 가만 안둔다 그랬습니다. 뭐 그리 중요하다고....
내일부터 '아이들에게 스트레스 주지 않기' 를 실천해야 겠습니다. 일단 토 달지 않고 들어주기 부터 할래요.

hnine 2006-11-15 05: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트레스 주지 않기...저희 아이 아토피때문에 한의원 갔더니 그곳 의사선생님마저 그러시더군요. 아이 스트레스 받지 않게 하라고. 스트레스도 아토피가 심해지는 원인 중 하나라고요. 에궁에궁~

씩씩하니 2006-11-15 15: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엄마로서의 나를 엄청나게 반성해봅니다...
자존감도 못키워주고,,어쩌지요? 참,,앞으로 갈 길이 멀고 험한데 걱정에요...
스트레스가 아이나 어른이나,얼마나 안좋은 것인지 알면서도 늘 부족한 엄마이네요...
님 덕분에 반성의 물결~~ 오늘은 좋은 엄마로서 아이들을 만나야지..유진유경 기돌려라,,엄마가 간다~~

hnine 2006-11-17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존감은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또 엄마 혼자만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가정 전체의 분위기가 많이 좌우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 키우며 저는 도 닦습니다 흑 흑...

상미 2009-07-23 2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YES 24 에서 <자존감> 치니까 ,이 책도 담아뒀는데,
8세 라는 말에 구입할까 말까 고민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