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버림받은 성적표 - 고등 학생, 우리들이 쓴 시 보리 청소년 6
고등 학생 81명 시, 구자행 엮음 / 보리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가 이 시기를 그저 좋~은 때라고만 부를 수 있을 것인가. 나 자신도 돌이켜보건대, 꼭 그렇지만은 아니었음을.

부산의 고등학생 81명의 자작시들의 엮음집 이다. 누구에게 보이기 위한 것들도 아니고, 꾸미거나 치장하려 들지도 않은, 무심해 보이는 그들의 마음과 생각을 담은 솔직하고 풋풋한 시들이다.

 

 

종이 울린다

동시에 매로 문을 두드리며

고함치는 소리가 들린다

 

문은 닫히고

이상 자유는 용서 받지 못한다

 

매시간 10분전이 고비다

그때 마다 몇몇 죄수가 탈옥을 시도한다

그러나 결과는 종아리에 그이는 붉은

 

죄수명단을 들고 교관이 들어와 인원 수를 체크한다

압박감에 시달려 탈옥을 체념한

허리를 굽히고 눈을 감으며

엎드리는 죄수는 늘어만 간다

 

종이 울린다

동시에 죄수 수십 명이

발광하며 뛰쳐나간다

 

문은 열리고

그러나 자유여야 밖은 온통 학원

다른 감옥으로 옮겨지는 종소리일 뿐이었다.

( . 라는 구속 영장 全文)

 

우리학교 벚꽃은

소나무 옆에 있다

아이들은 벚꽃만 본다

그런 아이들을 보면서

소나무는 서운해진다

( 우리학교 벚꽃 全文)

 

주목 받는 벚꽃보다는 그 옆의 소나무에 감정이입이 되어 쓴 시이다.

 

기성 시인들의 시도 좋지만, 기성이 되기 전의 이런 시인들의 시는 또 다른 느낌으로 와 닿는다. 시인을 만드는 사회와 교육, 입시 제도, '덕분'이라고 해야하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06-09-05 1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풍경들이 눈 앞에 떠오르는 살아있는 시입니다.
지금에서야 아련한 추억으로 남지만 절대 다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은 들지 않네요.
불쌍한 아이들...

hnine 2006-09-05 1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시라도 쓰는 동안 어떤 카타르시스가 되긴 되겠지요 그나마.

씩씩하니 2006-09-05 2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들이 이렇게 느낄 정도루 힘이 들다니..이런 생각 해봅니다,..
많이 안스러워요...울 애들 크기 전에 제도적으로 뭔가 바뀔까요??

hnine 2006-09-06 0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젠가 우리 아이들도 맞이할 시기일텐데, 꿋꿋하게 잘 버텨나갈 수 있는 좀 낙천적인 성품을 길러주어야겠어요. 제도적으로 뭔가 바뀔까요...글쎄요 ^ ^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유 아무것도 하지 않을 자유
홍신자 지음 / 명진출판사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오래 전에 홍 신자 라는 이름과 함께 자유를 위한 변명이라는 책이 널리 읽혀졌던 적이 있었다 (1993년 출간). 스물 일곱 살의 늦은 나이에 느닷없이 무용가의 길로 나선 작가의 독특한 여정과 명상을 통한 자유의 부르짖음이 생소하면서도 참신하게 다가왔었다. 그 때 아마 한참 그런 류의 책들이 많이 보급되던 때가 아닌가 싶다.

이 책은 저자의 나이 예순 둘에 쓴 것으로, 여전히 춤과 명상, 내 몸과 마음의 자유를 누리려는 걸음을 계속하면서 쓴 글들로 이루어져 있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유, 아무것도 하지 않을 자유.

이 책에서 특이한 점은 우리의 이 주는 메시지의 중요성에 대한 역설이다. 몸은 마음보다 훨씬 정직하며 몸이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순간 그것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쓰고 있다. 마음 다스리기를 위해 몸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 아니,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몸을 어떻게 섬기고 보살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 놓았다. 1. 식사시간에는 책을 덮어라. 2. 오랜 친구를 만난 듯이 음식을 대하라. 3. 자기 체질에 맞는 음식을 선택 하라. 4. 왼손으로 먹어라. 5. 50번 이상 씹어서 혀에서 식도, 위로 넘어가는 느낌을 상상하라. 6. 좋아하는 그릇을 마련하라. 예를 들어, 만일 다시 태어나 새롭게 살고 싶다는 사람이 있다면 두말없이 단식을 권하겠다고 한다. 단식을 그저 단순히 살을 빼기 위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아니라, 자기와의 싸움이며, 반죽음의 상태, 절실해진 내면과 육체의 만남이며, 세상에 나온 이후로 영혼이 맞이할 수 있는 가장 큰 침묵의 시간이라고.

 

인간도 근원적으로 자연의 일부이므로, 자연스럽게 본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집중하는 것, 거기에 참자유가 있다는 것.

 

70%쯤 알 것 같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9-04 2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유를 위한 변명> 좋았죠?
항구에 정박중인 배는 어쩌구 하던 구절이 그 책 맨 앞장에 적혀 있었던가요?
홍신자 씨의 책을 읽고 글 속에서 소개받아 <마하무드라의 노래>를
샀던 기억이......^^

비자림 2006-09-04 2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홍신자의 글을 읽고 난데없이 춤을 배우고 싶은 욕구가 일더라구요.
멋있는 분이세요.^^

hnine 2006-09-05 05: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 자유, 본성, 본연의 소리, 집중, 뭐 이런 키워드들의 책이면 요즘 저에게는 필이 팍! 꽂힙니다 ^ ^ <마하무드라의 노래> 저도 한번 읽으볼까 합니다.

비자림님, 뭔가를 배우고 싶은 욕구가 일게 하는 책, 좋은 책 맞지요? 요즘 고미숙남의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라는 책 읽고 있는데, 제 전공이 아닌 분야에 대한 공부 욕구가 살 살 일어나더라구요.

가을산 2006-09-05 1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덕에 몸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어요.

hnine 2006-09-05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 저도요 ^ ^
 
사람으로부터 편안해지는 법 - 소노 아야코의 경우록(敬友錄)
소노 아야코 지음, 오경순 옮김 / 리수 / 2005년 6월
품절


<내키지 않는 일에는 더 이상 구애받고 싶지 않다>
인생의 절반을 살았고 이제부터 후반부에 접어든다는 생각을 하면 내키지 않는 일에는 더 이상 구애받고 싶지않다는 생각이 절실하다. 그것은 선악이나 도덕과도 전혀 별개의 사고이다. 단 일분이라도 한 시간이라도, 아름다운 것, 감동할만한 것, 존경과 경이로 바라볼수 있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싶다. 사람을 두려워하거나, 추하다고 느끼거나, 때로는 업신여기고 싶은 마음으로 내 인생을 낭비하고 싶지는 않다.

-40쪽

<세상의 악평이 주는 이점>
'세상의 악평'은 오히려 우리들에게는 더 바랄 나위 없이 좋은 기회입니다. 그런 이유 없는 비난과 싸우고 있는 한, 인간은 추락하지 않게 되고 용기가 넘쳐나게끔 되어 있습니다.-137쪽

<잘 모르는 일들에 화내지 않는다>
평상시 굳게 믿고 있는 가치가 어긋나게 되면 화를 내는 사람과 상쾌한 기분을 느끼는 사람이 있는 듯하다. 나는 후자 쪽인데, 그 이유는 내가 무책임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화를 내는 쪽은 책임감이 강하며 새로운 사태에 항상 자신이 충분히 관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좋은 생각을 갖고 있다고 자신하기 때문에 앞길이 가로막히면 화를 내게 된다. 그러나 나는 대부분의 일들은 나와는 관계가 없다는 생각이다. 내 집 부엌이나 손바닥만한 야채밭 관리에 대해서는 굉장히 말이 많지만, 내가 소속한 단체의 운명, 국가의 운명, 21세기 지구의 운명은 솔직히 말해 어떻게 되든 알 필요도 없다. '어떻게든 마음대로 생각하라'라는 입장이다.-222쪽

<반드시 홀로 해야 하는 일>
자신의 생활 방식이나 장차 나아갈 방향을 타인이나 조직, 혹은 사회나 국가가 결정해주길 바라는 자세만큼 위험 천만한 것은 없다. 자신과의 내면의 싸움이란 언제나 홀로 하는 것임을 어른들은 청소년들에게 가르치지 않으면 안된다.-224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씩씩하니 2006-09-03 1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오지랍이 넓어서 어쩐대요? 그래서 사람으로부터 편안해지지 않나봐요,,훌쩍...
좋은 사람이길 포기하면 편안해질꺼란 말씀은 동감해요,,
가끔 그렇게 노력을 하기도 하구요..
대부분의 일이 나와는 상관없다구 생각할 때 얼마나 자유로워질까요....
꼭 읽어볼래요,,,

hnine 2006-09-03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사실 이 책 읽으면서 100% 모두 공감하지는 않았어요. 세상이 너무 삭막해질 것 같더라구요.
 
십시일反 - 10인의 만화가가 꿈꾸는 차별 없는 세상 창비 인권만화 시리즈
박재동 외 지음 / 창비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교적 시간이 많은 요즘, 예전부터 읽고 싶었던 책들을 하나하나 읽어 나가는 재미가 나쁘지 않다. 십시일반도 그런 책 중의 하나. 열명의 만화가가 말하고 있는 공통 주제는 인권.

 

박재동 화백, 역시 사회의 구조적 문제에 대해 예리하고,

홍승우 화백, 비빔툰의 저자인 만큼 가정, 육아, 여성 문제를 잘 짚어 냈으며,

이희재 님은 정정란 님의 글을 그림으로 그려 장애자 입장에서 보는 장애자 문제를 알렸다. 희망적인 끝맺음이 좋다.

조남준의 누렁이1, 2에서는 우리 나라 인권 문제, 사회 문제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남녀 차별, 빈부 격차임을,

이우일의 아빠와 나 시리즈는 아이보다 못한 어른의 이야기,

유승하님의 뇌성마비 장애인 엄마와 아들 이야기, 이것이 실화라니. 가슴이 미어진다. ‘…친구들은 오래 안 보면 생각 안 나는데 엄마는 안 볼수록 점점 더 보구 싶어요…’

마지막으로 최호철님의 코리아환타지는 외국인노동자의 문제를 그리고 있다. 역시 실화에 바탕한.

 

내 시야 반경 속에서, 나와 당장 관련된 것들만 생각하면서 사는 보통의 현대인이라면 잊고 살기 쉬운, 그러나 여전히 우리 사회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 우리 사회를 이루고 있는 외면할 수 없는 차별덩어리 현실이, 만화가 열 분의 손을 거쳐 우리들에게 포고되고 있다. 인권감수성을 높이자는 기획 의도하에서.

 

기획의도도 좋고, 내용도 좋았다. 가르침도 있었고.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자림 2006-08-24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류의 만화가 더 많이많이 나오고 사람들에게 널리 읽혀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해요.
좋은 책 만나셨네요.^^

hnine 2006-08-24 2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아이들이 조금 크면 같이 읽고 얘기하기에도 좋겠구요.

씩씩하니 2006-08-24 2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 이상의 뭔가가 있을꺼 같아요,,얘기꺼리도 많이 생기구,,이런 책 읽고 커피 한 잔 앞에 놓구 이런 저런 이야기하구 그럼 잼 나겠어요,,,
그게 안되니..알라딘서...그쵸??

2006-08-24 23: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06-08-25 05: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니님, 예, 그런 시간을 갖는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즐겁습니다. 그때 함께 이런 저런 얘기 하고 싶은 분들이 알라딘에 많이 계시지요 물론 혼자 생각이지만 ^ ^

hnine 2006-08-25 0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님, 메일로 답장 드립니다.

해적오리 2006-08-25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이 책을 권해준 분이 계셨는데 잊고 있었어요. 님의 리뷰를 읽고보니 저도 한번 꼭 읽고 싶어집니다. ^^

hnine 2006-08-25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나리해적님, 아마 도서관에서 대출 안 하고도 그자리에서 다 보실수 있으실거예요 ^ ^

LovePhoto 2006-08-27 0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으로 무지 좋아하는 홍승우 님의 "비빔툰~!"

hnine 2006-09-02 15: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승우 님은, 이분 혹시 여자분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게 했음 ^ ^
 
- 화남 명상 시리즈 2
수자타 지음, 김문호 옮김, 김영민 그림 / 화남출판사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예전에 내가 처음 읽었던 이라는 책은 불일출판사에서 나온 이 책이었다.

친구가 빌려줘서 읽고는, 한번 읽고 끝낼 책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그 당시 서울 조계사 근처 불일서적에 가서 한권 사가지고 손이 갈때마다 마음이 갈때마다 읽곤 했었다. 몇 년 집을 비우고 돌아와보니, 이 책이 행방불명. 이 때는 이미 출판사가 어디였는지, 저자가 누구였는지도 가물가물한 상태. 그러다가 어제 우연히 동네 도서관에 갔다가 발견했는데, 내가 같은 책이지만 내가 읽었던 저 책이 아니라, 2003년에 도서출판 화남에서 나온 책이고, 번역자도 다르다. 하지만 읽어보니 그 내용이 어디 가랴. 제목이 볼 관 (), 자기 마음을 주시한다는 뜻이다. 이 책의 주제라고도 할 수 있고, 끊임없이 가르치는 말이기도 하다.

 

 

마음의 자각에서 기쁨을 찾고,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며,

감정의 진흙구덩이에서 빠져 나오라.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한다고

다 믿어서는 안 된다

 

오랜 전통이 있는 것이라고 해서,

당신이 스스로 믿을만한 것이라고

상상해온 것이라고 해서,

다 믿어서는 안 된다

 

당신의 스승이 이야기했다고 해서,

그 스승을 존경한다고 해서,

다 믿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당신 스스로

철저히 검토하고 실험하여

모든 피조물을 선함과 행복으로 이끌어줄 길을 찾아내어

그 길을 가라

수많은

별들 가운데서

밝게 빛나고 있는 달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