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열전 - 나무에 숨겨진 비밀, 역사와 한자
강판권 지음 / 글항아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나무를 아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생물학적인 지식으로 접근하거나, 문학적인 감상으로 접근하거나, 또는 고고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얼마 전에 읽었던 [역사가 새겨진 나무이야기](김영사)는 나무에 대한 고고학적인 접근으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읽을 수 있었다. 이번에 읽게 된 [나무열전]은 한자를 통해 읽게 되는 나무이야기이다. 앞의 책이 나무를 통해 역사를 알았다면, 이 책은 한자를 통해 나무를 알게 되는 책이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들에도 다 이름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저 [나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뭉뚱그려버리기도 한다. 관심을 갖고 바라보지 않는 이상, 그것은 그냥 [나무]일 뿐이다. 그렇지만 조금만 관심을 갖고 바라보면, [나무]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이야기해준다. 사는 것이 너무 바빠서 주위를 돌아볼 여유가 없어졌거나, 자연환경을 접하기 어려운 도시생활로 인해 나무에게서, 숲에서 멀어진 우리를 발견할 때는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나마 이런 책을 통해 나무를 알고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되짚어볼 수 있다는 것이 반갑다.

한자는, 아주 오래전부터 한반도의 역사, 문화, 사회를 기록하여왔다. 한글이 우리의 문자로 창제되기 전까지의 오랜 기간이 한자문화권에 속해있다보니 한자어로 된 단어가 엄청나게 많은 것도 사실이다. 이런 때에 무조건적인 한글전용을 외치는 것보다 한자어로 된 단어들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다. 자, 그 방법 중의 하나로 이 책을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우리가 영단어집이나 숙어집같은 것을 들고 다니며 외운다고 그게 머리에 쏙쏙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경험해서 알고 있을터이다. 나무라는 소재를 둘러싼 재미난 이야기를 읽으면서 한자에도 접근해보는 것이 어떨까?

그렇다고 이 책을 통해 한자만 배우라는 것은 아니다. 나무에 대한 지식이 곳곳에 베어있으니 그것을 하나하나 찾아 담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책상 앞에 앉아 주욱~읽는 것보다는 손에 쉽게 잡히는 장소에 두고 한페이지씩 펼쳐지는대로 읽는것이 좋을 것 같다. 학문적인 용도가 아니라 즐기면서 읽고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기고양이가 물가에 가지 말라는 엄마의 말을 깜빡 잊고 물가에 갔다가 양동이를 타고 떠내려가는 이야기예요. 물에 떠내려가다가 만난 여러 동물들이 구해주려고 하는데 잘 안되네요. 결국은 백조아줌마의 도움으로 땅에 올라온 아기고양이가 엄마말을 잘 기억하고 따라야한다는 교훈적인(?) 이야기랍니다.
 
사실, 우리 어릴 적을 생각해도 엄마가 하지마라고 하거나, 주의를 준 일은 꼭 하고 싶잖아요. 잊어버린게 아니라 실은 잊어버리고 싶어서 의도적으로 반대로 행동하곤 했지요. 물론 이 책 속 고양이는 깜박 잊은거지만요.
 
부모님이 하지 말라고 하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죠. 그렇지만 아이들은 왜 그렇게 하면 안되는지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많고, 하지말라는 행동을 하면 어떻게 되는지 상상을 잘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험에 처하기도 하지요. 그럴 때 이 책은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아이들에게 엄마가 하지말라고 하는 행동을 했을 때,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주위의 사람들이 얼마나 고생을 하고, 엄마가 얼마나 걱정을 하고, 또 그 일을 한 자신은 어떤 위험에 처하는지를 재미나게 보여줍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무조건 억누르면 효과가 없겠죠? 이렇게 아기고양이의 이야기를 한번 해보세요^^
 
뱀다리 : [혼쭐난 아기 강아지](효리원)의 한 장면이 이 책에 겹쳐지네요^^ 물론 대사는 다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안한 동화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온다 리쿠의 새책은 끊임없이 번역되고 있다. 독자들의 반응은 극과 극을 달리지만, 작가가 워낙 다작이니 소개하고싶은 책이 많이 있다는 것도 한 이유일 것이다. 어쨌거나, 나는 온다리쿠의 책을 또다시 손에 들었고, 그녀의 책이 그렇듯, 역시 하룻밤사이에 다 읽어버렸다. 속도감있는 읽기가 가능하다는 것도 이 작가의 장점 중 하나일 것이다.

[호텔정원에서 생긴 일]같이 약간 읽기 어려웠던 책이 있는 반면에 도코노시리즈나 삼월시리즈처럼 읽기 쉬운 책들도 있다. [불안한동화]는 재미도 있고, 읽기 쉬운 책에 속한다고 볼 수 있겠다. 미모의 천재화가의 유작 전시회를 기점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에필로그와 프롤로그를 통해 허를 찔린 듯한 느낌을 주는 묘미도 온다리쿠답다는 생각이 든다.

환생, 이라는 소재는 이야기를 엮기에 참 좋은 소재이다. 특히나 온다 리쿠의 소설에 끊임없이 등장하는 [기시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에 딱 좋은 장치가 아니던가. 게다가, 이 소설 속 인물들은 마치 [도코노]일족을 연상시킨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도코노시리즈의 하나가 아닐까라는 엉뚱한 생각까지 했으니까. 획일화되고 일반화되어버린 사회에서 특이한 능력을 가진 자들이 살아가는 일은 극도의 신경전이다. 노리코의 환생이 아닐까하고 짐작되어진 여자, 마유코는 노리코의 그림들에 반응을 보이며 이야기를 풀어가는 열쇠가 된다. 물론 이 책에서는 마유코보다 다이잔선생이 뭔가 터뜨릴것이라는 예감을 팍팍 주는 존재이지만. 대신 슌타로는 있으나 없으나 한 인물같다. 온다리쿠의 소설에서 그런 인물들이 꼭 하나씩은 등장하는데 그들은 뭔가 할 것 같으면서도 전혀 하지 않는 인물로 머문다. 그래서 아쉽다. 마유코와 다이잔선생을 보면 언젠가 보았던 일본드라마 [트릭]이 떠오른다. 미스터리한 사건들을 풀어나가는 [트릭]의 엉뚱한 콤비를 연상시키는 인물들이다.

노리코가 유언으로 남긴 그림을 통해 마유코는 뭔가를 본다. 어떤 인물 뒤로 보이는 잔상들이 25년전 죽은 노리코의 살인사건을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과 더불어 정말 마유코가 노리코의 환생일까라는 의문까지. 책의 마지막에 가서야 드러난 진실과 가려진 진실이 이야기된다. 사건의 해결을 위한 드러난 진실과는 또다른 진실이 숨어있는 것이다. 온다리쿠의 소설은 언제나 여운을 남긴다. 뭔가 더 있을 것 같은 느낌. 그래서 나는 그녀의 또다른 책을 읽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호러미스터리라는 책의 선전문구는, 이번에도 여지없이 박살나버렸다. "호러"에 대한 내 인식은 자극적이고 강한 이미지만을 담고 있어서인지 이 책이 호러라는 느낌은 그다지 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랑 살랑 사알랑 꼬리를 흔드는 아기강아지는 아무 장난이 심한 강아지이다. 아기고양이의 장난감을 뺏아버리기도 하고, 아기토끼의 홍당무를 훔치기도 하고, 다람쥐의 가방에 구멍을 내기도 하고, 여우아줌마의 모자에서 깃털을 뽑아버리기도 한다. 그래도 아기강아지는 꼴리를 살랑거리며 즐겁기만 하다. 다른 이가 싫어하는 일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 

아기강아지의 이야기기는 하지만, 꼭 누구를 보고 있는 기분이 든다. 나뿐만 아니라 아기 강아지같은 아이가 주변에 있는 사람이 꽤 될거라 생각한다. 그럴 때 우리는 그 아이에게 어떻게 할까? 주의를 주거나 다른 이들이 싫어하는 일이니 그만두라고 야단을 칠까? 아니면 그 아이의 부모의 눈치를 보며 그냥 둘까?

이 책에서는 안타깝게도 아기 강아지의 부모는 등장하지 않는다. 아기강아지에게 남을 괴롭히면 안된다는 것을 재미있는 장난으로 알려주는 이들은 아기강아지에게 괴롭힘을 당했던 친구들이었다. 아기강아지의 꼬리가 없어졌다며 꼬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보여진다.

이 책은, 첫번째로, 남에게 장난을 치지 않고 친절하게 지내면 더 재미있다는 메시지를 전해주고, 두번째로 아기강아지의 꼬리찾기를 통해 신체의 일부인 꼬리를 보고 동물의 전체를 상상하는 힘을 길러주고, 세번째로 올록볼록한 그림 위에 트레싱페이퍼를 놓고 연필로 칠해보면 나타나는 그림을 보면서 재미난 놀이도 할 수 있는 1석 3조의 책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훈민정음
박춘명 지음 / 이가서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훈민정음을 둘러싼 가설 논쟁, 그 불씨를 지피다! 세종은 한글을 창제하지 않았다"는 책 뒷표지의 문구에 연연할 필요는 없다. 소설은 소설로 읽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지론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대부분의 표지문구들은 독자를 자극하는 문구로 가득차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소설로 인해 또 하나의 가설이 세워지고 그 가설이 다른 결론을 도출하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는 있다. 특히 이 소설에서 내세우는 가설은, 일부에서는 그 타당성을 인정하고 있기도 하다. 학계의 정설과 다르다고 해서 무시할 일은 아니다. 정 무시하고 싶으면 "소설"일뿐이라고 생각하면된다.

서두가 길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쩔 수 없이 북한 작가의 소설이란 점을 의식하게 되었다. 보통 소설을 읽을 때 작가의 국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신경을 안쓰는 편인데, 이 책은 신경을 쓸 수 밖에 없었다. 신지문자를 응용한 집현전학자들의 작품이라는 점은 바로 작가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우리민족제일주의]사상에 의거했다는 것을 분명히 해준다. 뭐, 세종대왕이 無에서 有를 창조하듯 창제했든, 중국의 한자보다도 더 이른 시기에 문자가 있었고 민중이 사용하던 신지문자를 집현전 학자들이 응용하여 창제하였든 간에, 우리의 글자가 하나의 소설로 재탄생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재미있다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에 의해 창제되었고, 창제된 시기가 정확하고, 목적이 있는 문자를 가졌다는 것이 많은 의미를 주는 것이다. 그러니, 터무니없는 소리라고 치부할 필요는 없다.

세종대왕은 이 소설에서 조언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표지의 문구처럼 세종대왕이 창제하지 않았다고 강조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세종대왕이 우리문자의 창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밀어붙이지 않았다면 집현전학자들이 제아무리 멋진 문자를 내놓았다한들 그것이 우리의 문자로 반포될 수 있었을까? 거기에, 성삼문이 우리글을 만들기 위해 골머리를 앓을 때 세종대왕은 민중 속에서 길을 찾는 법을 제시해주었다. 지도자의 탁월한 영도력이란 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이 책은, 집현전 학자 중에서도 성삼문을 중심으로 씌여졌다. 집현전 학자들이 토론을 하고 문자를 만드는 과정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대부분이 성삼문이 깨달음을 얻는 과정, 우리의 옛 문자였다고 짐작되는 신지문자를 찾아가는 과정, 그 과정을 통해 성삼문에게 힘을 주는 여성들이 등장한다. 왕이라는 절대권력을 권력화시키지 않고, 학자들의 고뇌를 담은 점과 더불어, 소외받고 있었던 여성과 노비들에게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소설은 더욱 힘을 얻는다. 그래서 읽는 재미가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