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하는 여승의 청초함, 도라지꽃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
심심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가 스리살살 녹는구나

*민요 도라지 타령 중 일부다.
“도라지꽃은 청초하다. 한자로는 길경화桔梗花다. 한 송이 푸른 꽃이 산뜻하게 피어 있는 것을 볼 때, 텁텁하던 눈이 갑자기 밝아지며 가슴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이 든다.”

도라지에 대한 민요는 많으나 주로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인 것에 주목하고 관상용으로 꽃에 관한 이야기를 남긴 것은 드물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도라지꽃에 관한 옛시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화하만필에서는 “도라지꽃으로 말하자면 잎과 꽃의 자태가 모두 청초하면서도 어여쁘기만 하다”며 “다른 꽃에 비해 고요히 고립을 지키고 있는 그 모습은 마치 적막한 빈산에 수도하는 여승이 혼자 서서 있는 듯한 느낌”이라고 했다.

시골에 자리를 잡고 퇴근 후 주로 한 일은 소일삼아 동네를 둘러싼 야산을 돌아다니는 것이었다. 한적한 산길을 걷다가 만난 산도라지 꽃이 어찌나 반갑던지 조심스럽게 만져보았던 기억이 남아있다. 요즘도 여전히 드문드문 만날 수 있지만 식용보다는 꽃으로 먼저 보이니 오히려 다행이다 싶다.

남쪽에 장마가 시작된다며 비오는 것보다 더 요란스러운 일기예보가 연일 이어진다. 비가 제법 내리고 잠시 소강상태에 길을 나섰다. 길가에서 한창 꽃 피어 손짓하는 도라지 밭을 보았다. 차를 돌려 그곳으로 가 다시 내리기 시작한 비와 함께 한동안 눈맞춤 했다. 올해는 유독 여기저기 도라지꽃이 자주 보인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주닭개비

아침에 일어나 산책하듯 뜰을 거닌다. 아침을 깨우는 새들만큼 부지런한 꽃이 환한 미소로 반긴다.

색의 조화가 만들어낸 절묘함이 있다. 어울림이라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라는 듯 멋과 맛을 함께 보여준다. 만개한 널 보려면 햇살 환하게 비치는 아침이 좋다.

꽃은 5월경에 피기 시작하고 자줏빛이 돌며 꽃줄기 끝에 모여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3개씩이고 수술은 6개이며 수술대에 청자색 털이 있다. 꽃은 아침에 피었다가 날이 흐리거나 오후가 되면 시든다.

식물체를 통해 환경의 상태를 알아낼 수 있는 식물을 지표식물이라고 하는데 자주닭개비가 방사선에 대한 지표식물이다. 오랜 기간 동안의 방사선의 노출정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의 주변에 심고 있다고 한다.

자주달개비라고도 불리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자주닭개비가 추천명이다. 이 곱기만 한 꽃에서 사람들은 무엇을 보았을까 '외로운 추억', '짧은 즐거움'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맺히고

걸리고

잡히고

비로소

아름다운 세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참기생꽃
깨끗하다. 맑고 순한 모습이 마냥 이쁘다. 순백의 아름다움이 여기로부터 기인한듯 한동안 넋을 잃고 주변을 서성이게 만든다. 막상 대놓고 눈맞춤하기는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다.

이번으로 일곱번째 눈맞춤이다. 지난해는 먼길을 나서서 지리산 능선을 올라 만났었다. 지리산과 태백산의 꽃이 서로 다른 느낌이었는지라 이번엔 그 차이를 알고 싶었는데 다시 보니 같다. 다른 느낌을 받은 이유는 뭘까.

기생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흰 꽃잎이 마치 기생의 분 바른 얼굴마냥 희다고 해서 지었다는 설이 있고, 옛날 기생들이 쓰던 화관을 닮아서 기생꽃이라고 한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기생꽃과 참기생꽃의 구분은 애매한듯 싶다. 굳이 구분하는 입장에서는 잎 끝의 차이와 꽃받침의 갯수 이야기를 하는데 내 처지에선 비교불가라 통상적 구분에 따른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라고 한다. 태백산의 기운을 품어 더 곱게 피었나 보다. 기꺼이 먼길을 마다않고 발품 팔아 눈맞춤하는 이유는 뭘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개불알꽃(복주머니란)
때맞춰 그곳에 가면 꽃 피어 반겨준다는 믿음이 주는 위로는 참으로 크다혹시 딱 하나 피는 곳에 조금 늦게 갔는데 보이지 않았다. 혹 무슨 변고를 당한 것은 아닐까?

붉게 염색한 조그마한 항아리를 달고 당당하게 서 있다. 특이하고 이쁜 꽃이 키도 제법 크니 쉽게 보인다. 이로인해 급격한 자생지 파괴가 일어났으리라 짐작된다. 그만큼 매력적인 꽃이다.

개불알꽃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꽃이 개의 불알을 닮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냄새 때문에 까마귀오줌통, 모양 때문에 요강꽃이라하며, 복주머니꽃, 작란화, 포대작란화, 복주머니 등 다양한 이름이 있다.

산림청에서 희귀식물로 지정한 보호대상종이다. '튀는 아름다움'이라는 꽃말은 이꽃이 수난당할 것을 예고하였는지도 모를 일이다. 올해는 다소 늦게 언 곳에서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