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개연
첫인상의 강렬함 보다 곁에 오래 머물게 하는 친근함이 있다. 간직하고 픈 느낌이 있고 그 느낌이 사라지기 전에 거리를 둬야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곁에 머무는 것은 아는 이가 누리는 호사다.

노랑색에 붉은 꽃술의 어울림 만으로도 충분한데 물위에 떠 있으니 환상적인 분위기다. 멀리서 볼 때와는 전혀 다른 느낌이다.

5장의 노랑색의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꽃받침라고 한다. 주걱모양의 꽃잎은 숫자가 많고 노란색이다. 수술 역시 노란색이다. 붉은색은 암술머리다. 이 붉은 암술머리가 남개연의 특징이다.

실잠자리를 만나 그들의 사랑놀음을 짧은 시간 함께 했다. 지난해 보다 조금은 부실한듯 보여 아쉬움이 남는다. 긴 여름을 지나 가을 초입까지도 특유의 매력을 발산하는 식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볕과 그늘 사이를

오가며 계절을 건너간다. 볕에 나서서 그늘의 소중함을 알고 그늘에 들어서야 볕의 존재를 확인한다. 이처럼 우리를 둘러싼 모든 존재는 서로가 서로에게 본질로 이끄는 힘으로 작용하니 무엇하나 사소하게 볼 일이 아니다.

진흙에 뿌리 내렸지만 꽃 피워 향기를 전하는 연꽃도 다르지 않다. 그 꽃이 지며 온 곳으로 돌아가는 중이다. 사명을 마쳤으니 미련도 없을 것이다.

연꽃은 세상에 나와 반야(般若 : 일체의 사물과 도리를 밝게 통찰하는 더없이 완전한 지혜)를 얻었을까?

반야용선(般若龍船)이 경계에 서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물꽈리아재비
가뭄으로 숲길조차 흙먼지 날리던 때 약수물도 말라버리고 비를 품은 안개가 반가운 산행에서 첫 눈맞춤 한다. 약수터 돌밑에서 순한 꽃을 피웠다.

긴 주머니 모양의 꽃자루 끝에 노란꽃을 피운다. 물가 또는 습기 많은 숲 속에 드물게 자란다는데 가뭄의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꽃을 피웠다. 잎도 꽃도 그저 순한 색과 모양이어서 더 정겹게 다가선다.

물꽈리아재비라는 이름은 물을 좋아하면서 꽈리랑 닮았다는 의미로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꽃이 지고 나서 열매가 생길 때 외형이 꽈리를 닮았다는 것이다.

비록 화려하지 않아도 때가되면 순리에 따라 피고지는 들꽃들의 매력이 여기에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보기드문 식물 중 하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생초
산으로 들로 꽃나들이를 다니면서도 눈에 들어오는 것은 따로 있기 마련이다. 저기 꽃이 피었는데 하면서도 그냥 지나치기 일쑤였으니 꽃에게 미안한 마음도 들었다.

산으로 통하는 어느 마을 입구에 핀 꽃에게 눈길이 머물렀다. 그냥 지나치면 다시는 눈맞춤하지 않을 것 같아 차를 멈췄다.

원예종으로 도입되어 관상용으로 재배하지만 생활력이 강하기 때문에 밖으로 널리 퍼져나온 야생화 되었다고 한다. 극명한 색의 대비가 눈에 띄는 점이 특색이다. 화려한 색의 꽃이 피기 때문에 기생꽃이라고 한다.

'다정다감한 그대의 마음'이라는 꽃말은 어디서 온 것일까. 그러고보니 마을 안길에 무성하게 피었던 것이 생각난다. 꽃을 가꾼이의 마음이 엿보이는도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타래난초
깊은 땅 속에 침잠하더니 끝내 솟아 올라 간절함을 터트렸다. 그냥 터트리기엔 참았던 속내가 너무도 커 이렇게 꼬였나 보다. 하지만, 그 꼬인 모습으로 이름을 얻었으니 헛된 꼬임은 아니었으리라. 꼬이고 나서야 더 빛을 발하는 모양새 따라 널 마주하는 내 몸도 꼬여간다.

꽃을 보기 위해 연고도 없는 무덤가를 서성인다. 마음 속으로 무덤의 주인에게 두손 모으고 꽃를 보러 찾아왔으니 깊은 땅 속 꽃 많이 피어올리면 더러 나처럼 찾는 이 있어 반가움 있을거라고 넌지시 권한다. 올해는 숲으로 가는 입구에서 떼로 만났다.

전국의 산과 들의 잔디밭이나 논둑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짧고 약간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꽃의 배열된 모양이 타래처럼 꼬여 있기 때문에 타래난초라고 부른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타래난초라고 한다.

하늘 높이 고개를 쑤욱 내미는 것이 옛날을 더듬는 듯도 보이고, 바람따라 흔들거리는 모양이 마치 깡총걸음을 들판을 걷는 아이 같기도 하다. 이로부터 '추억', '소녀'라는 꽃말을 가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