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흐름은 늘 같다.

우리가 그 흐름에 눈금을 표시하고

 

1초 2초

하루 이틀

한달 두달

그리고...1년

 

어떤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일까?

 

새로운 달 6월

나는 그 시간의 많은 부분을

책과 함께 보낼 것이다.

한권의 책을 얻기 위해

이곳 저곳 두리번 거리며

서성대는 나 자신을 보며

때론 낯선 느낌을 지울 수 없는 이유는 뭘까?

.

.

.

 

새로운 시간 6월

 

하나 둘 쌓여가는 책 만큼

내 가슴이 세상을 보는 눈

나 스스로를 대하는 마음에

조그이라도 달라지는

그 무엇이 느껴지길

간절한 마음으로 빌어 본다.

 

 

난...잘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5월에 내게 온 책이다

길 위의 절
장영섭|불광출판사

점선뎐
김점선|시작

1.사랑의 속도를 10km 늦출 때 나에게 일어나는 일들
조셉베일리, 강현주|시아출판사 
 

2.홍경래(양장)
김기택, 윤기언|알마


3.나를 딛고 세상을 뛰어 올라라
송길원|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4.무위당 장일순의 노자 이야기
이아무개, 장일순|삼인

5.표현주의 화가들
가브리엘레 크레팔디, 최병진|마로니에북스


6.왕을 위한 변명
신명호 | 김영사


7.맛있는 한국사 인물전
양창진|이숲


8.엄마
틱낫한|인연


9.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물리상식
김기태|도서출판 하늘아래


10.싸바이디 라오스
이영란 | 이매진


11.바람이 되어도 좋아
김진아 | 랜덤하우스


12.필적은 말한다
구본진 | 중앙북스


13.그래 인디아
하정아 | 나무수


14.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
김준희 | 솔지미디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 - 실크로드 1200km 도보횡단기
김준희 글.사진 / 솔지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낯선 곳으로의 여행을 꿈꾼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다. 눈에 익은 풍경이나 친근한 모습의 사람들도 아닌 이방인 일수 밖에 없는 곳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세상을 향해 열린 마음을 준비하고 도전하는 용기가 있어야 가능한 것이기에 그 길을 나선 사람들을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혼자 떠나는 여행도 그렇지만 이처럼 혼자서 사막의 길을 도보여행을 실행한다면 놀라움까지 일어난다. 
그런 용기 있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일정한 공통점이 있어 보인다.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에 계획하고 결심하면 반드시 실행한다는 것이다. 그때는 어려움이라는 것은 도전하는 마음에 더 큰 계기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의 저자 역시 그런 부류 사람이다. 마음먹은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사전준비에서부터 어려움을 이겨낼 마음의 준비까지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모습에서 이미 성공한 도전이 아니였을까 생각해 본다.

우즈베키스탄은 이름만 알려졌을 뿐 그 나라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다. 지구촌 어디쯤 붙어있는지, 어떤 나라인지, 그들이 무엇을 입는지, 무엇을 먹는지조차 모른다. 다만, 구 소련연방에서 분리 독립했다는 이야기를 뉴스를 통해 들었다는 것 밖에...

혼자 걷는 길을 따라가며 놀라는 것은 유난히 인심 좋은 현지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딱히 사막 길을 걷는 것이라 주변 풍경이나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기 보다는 역시 사람들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드라마 때문인지 한국에 대한 인상도 좋았다지만 그 나라사람들의 천성이 그렇게 친절한 것이라 여겨진다. 낯선 사람의 집에 아무 거리낌 없이 들어가는 글쓴이의 모습도 모습이지만, 거의 매일 현지인의 친절한 배려에 그들의 집에서 혹은 식당에서 잠을 잔다는 것이었다.
낯선 길을 혼자서 걸어가다 훈훈한 인정에 고마움을 느껴던 사람을 다시 만난다면 얼마나 반가울까? 저자는 그런 일을 자주 경험한다. 그런 우연이 지친 여행자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고 남은 여행길을 걸어갈 수 있는 용기로 다가올 것이다.

여행기로 조금은 건조한 내용도 있긴 하고 세련되지 못한 편집상의 모습도 보이지만 그것들을 다 상쇄할 만한 사람들의 훈훈한 마음이 있어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 의미있게 다가온다. 더불어 사람의 표정이 담긴 사진들은 줄곧 걸어가며 느꼈을 저자의 생생한 경험이 묻어나고 있어 더 좋다.
낯선낯선 사람들과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며 미소 지울 수 있어 우즈베키스탄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행은 늘 낯선 곳에서 낯선 사람들과 함께 하지만 그 속에 함께 하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 매력이다. 돌아오는 길 다시 살아갈 희망의 빛을 가슴에 안고 다시 떠날 용기를 얻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간찰 - 선비의 마음을 읽다
심경호 지음 / 한얼미디어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영혼을 나누어가진 선인들의 편지
전통시대의 편지를 간찰이라 하였는데, 간찰(簡札)은 본래 죽간과 목찰에 작성한 글이란 뜻이다.  통틀어 종이에 적거나 비단에 적은 편지를 모두 가리킨다. 

옛 선비들의 사귐에는 마음이 머문다. 그들의 사귐은 아침이슬처럼 영롱한 빛이 난다. 
말을 많이 하지 않아 좋고, 짧은 글이지만 마음을 전하는 멋이 있다.
그 아름다운 사귐을 내 마음에 담을 수 있어서 기쁘다. 
고고한 정신이 사사로운 감정으로 나타나는 사귐이 바로 이런게 아닌가 싶어 
한편, 부러움으로 시셈까지 일어난다.

지난해 죽간을 복원한 전시회를 본적이 있다. 선비들의 다른 간찰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곡성군 옥과에 있는 옥과미술관 2층에 가면 그 마음들이 곳곳에 스며 있어 간혹 찾아가곤 한다. 죽간에 쓰였던 종이에 정갈한 모습이든 한자 한자 정성스럽게 쓰여진 모습에서 경건함 마저 들었다.

그런 느낌이 사귐의 사사로움에 마음 더하는게 아니였을까. 
마음을 내 그 마음 보여줄 벗이 없음을 탓하는 지금의 내 모습에서 그 사귐이 지극히 어렵거나 나와는 멀리만 있는게 아니라는 것을 보았기에...빈방에 들어온 책 중 더 마음이 가는걸거다.

중국 송나라의 철학자 정호(程顥)는 
“서찰은 선비의 일에 가장 가깝다”(至於書札, 於儒者事, 最近)는 말을 하였다. 
조선조 선비들이 완물상지(玩物喪志)라 하여 서예나 그림 등에 빠지는 것을 기피하면서도 간찰만은 예외로 두었던 이유는,  자신의 글씨와 문장력을 펼칠 수 있는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더러는 잠시 한가한 시간을 내어 대숲에서 나는 바람 소리를 듣고 배꽃에 흐르는 비를 맞으며 그림자하고 즐긴다오. 그 누가 이런 흥을 알겠습니까!”
- 이덕무가 백동수에게 안분지족의 뜻을 전한 간찰 중에서

"바람 잘 드는 마루를 벌써 쓸어놓고 기다리오"
― 허균이 권필에게 내방을 권한 간찰 중에서

"그대가 서신을 보내는 것도 마음이요, 내가 답장을 하지 않는 것도 역시 마음이니
마음에 어찌 둘이 있겠습니까"
― 김정희가 초의 선사에게 근황을 알린 간찰 중에서

공허한 마음에 먼 하늘 바라보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옛 선비들의 마음이 담긴 글에서
따스한 사람의 향기를 발견하는 것은 지극히 아름다운 일이다.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도 표현기법이나 표형두구가 달라질 지언정 
그렇게 마음 나누는 기회가 많았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