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인생을 정리해드립니다 - 삶이 바뀌는 신박한 정리
이지영 지음 / 쌤앤파커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500여 권 처분하면서 이별 리스트에 올릴까 말까 망설였던 책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래도 [공간의 위로]는 버릴 생각은 단 일초도 안 했다.원제가 더 멋진데, [SoulSpace]이다. 마음에 그리는 삶을 현실화하는 데 공간이 얼마나 마법적인 힘을 발휘하는가 설득하는 책이었다. 위로와 자극을 받았다. 하지만, 저자 소린 벨브스가 운영하는 'Xorin Homes' 홈페이지 https://xorinhomes.com/를 둘러보면알 수 있겠지만, 그는 상위 0.1% 금손들을 위한 공간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다. 


tvN "신박한 정리" 프로그램 시청자들도 비슷한 뉘앙스의 불편감을 후기에 담기도 한다. 정리정돈 귀찮아 할 뿐인 연예인들 집 정리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하지만 "신박한 정리"는 뉴스 외에 내가 유일하게 챙겨보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대단한 프로페셔널리즘을 순박한 미소로 겸손히 가려왔던 이지영이 책을 냈다. [당신의 인생을 정리해드립니다] 라는. 한 두달을 기다려서 대출했다. 이 책은 여전히 도서관에 대출예약자가 6인씩 꽉 차있다. 삶을 변화시키는 공간의 정리를 애타게 바라는 사람들이 많나 보다. 


서문에서 이지영은 본인이 IMF를 겪으며 온 가족 뿔뿔히 헤어져 살다가 단칸방이라도 가족이 모여살았을 때의 기쁨을 이야기한다. 그저 가족이 함께 한다는 자체로 '집'이라는 공간이 사람에게 큰 행복을 준다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당신의 공간을 정리해드립니다]에는 18평에 여섯 명이 사는 의뢰인이 등장한다. 경제적으로 어려워 3가족이 한 집으로 모여 살다보니 살림살이가 많고 어수선한 집이었다. 그 집의 막내따님이 이지영에게 '가진돈 100만원이 전부'라며 의뢰해왔을 때, 이지영은 12명의 직원과 하루를 꼬박 들여서 그 18평 집을 변화시켰다 한다. IMF 때 '이산가족'으로 살았던 기억이 의뢰인에게 투영되었을지 모르겠다. 

낮은 자세로 겸손한 이가 이지영 뿐인가? 신애라의 긍정 에너지는 의뢰인들을 전혀 기죽이지 않는다. 내가 "신박한 정리" 프로그램을 좋아하는 이유! 



[당신의 공간을 정리해드립니다]에서 내가 가장 인상깊게 담아가는 지적은, 아파트 한국 사회, 욕망도 비스무리해진 이 땅의 사람들, 평형과 아파트 브랜드로 구별되는 공간에 사는 사람들이 심지어 공간을 꾸미는 방식도 안타까울 만큼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지영은 공간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고, 공간에 사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을 우선시하여 공간에 역할을 부여하라고 조언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2-22 10:2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북사랑님 그 화분 도착했나요 요롷게 작다니!
전 저 식물 사진상 산세베리아 종류로 보임~
천장에 닿을정도로 키움 ^ㅎ^

얄라알라 2021-02-22 10: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앗, 저희집이 저렇게 티끌하나 없이 깨끗하지 않아요 public domain사진이고요. 그 아라카야자는 매일매일 제 사랑을 받아서 정글을 꿈꾸고 있답니다. 제 키만해요^^
 
흥미진진 핵의 세계사 - 평화네트워크 욱쌤이 들려주는 20가지 핵무기 이야기
정욱식 지음, 소복이 그림 / 갈마바람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yolee2, CC BY-SA 4.0, via Wikimedia Commons



2020년 기준, 재적학생이 173명인 작은 규모의 대학원이 있다. 종로구에 위치한 북학대학원대학교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이다. [흥미진진 핵의 세계사]를 쓴 정욱진 저자 덕분에 처음 알게 된 학교이다. 이 대학원에서 군사안보를 전공한 저자는 "'핵'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세계사 주요장면을 분석하는 작업(6)"을 해왔다고 서문에서 밝힌다.그는 2018년 BTS 멤버가 입었던 광복을 환영하는 티셔츠를 일본이 문제 삼았던 사건 때문에, [흥미진진 핵의 세계사]를 쓰게 되었다 한다. 한국의 청소년이 마땅히 알아야할 핵 이야기를 "핵무기"를 중심으로 다뤘다. 



[반딧불의 묘](1988), 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상영해주었고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보았다. 뒷 줄에는 남자 대학생들이 주르르 앉아 있었는데, 돌아보지는 않았지만 그들이 집합적으로 소리를 삼켜 우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었다. 나보다 어른들도 저렇게 우는구나 하는 청소년 마음으로, 그 집합적 애도의 울음을 의아해했던 기억이 난다. 후에, 이 영화에 대해 알게되면서 그 울음소리는 불편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U.S. Navy Public Affairs Resources Website,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

정욱식은 [흥미진진 핵의 세계사]에서 수차례 강조한다. 1945년 일본에 떨어진 핵폭탄에 피폭된 70만명 중에는 강제 징용된 조선인이 7만명 있었다고. 그 중 4만 명은 현장에서 사망했고, 부상당한 3만 여명 중에서도 생존자는 2000명 정도 뿐이라고. 다시 말해, "한국은 일본에 이어 세계 제 2의 피폭 국가. 그러나 정작 한국 사람은 이러한 사실을 잘 모르고 있다 (60)." 한국 밖에서는 이 반도의 정전 상태가 얼마나 위험하게 인식되는지도 잘 모르기도 한다. 콜롬비아에서 유학온 친구가, 한국으로 공부하러 간다는 말에 일가친척까지 울면서 말렸다(전쟁 나면 어떻게 살래?)는 이야기를 전해주어서 깜짝 놀랐던 적이 있다. 또한 미국이 한국전쟁에서 북한에 핵폭탄을 투여하지 못한 이유 중에는, 인종차별국가라는 윤리적 오명("왜 미국은 아시안에게만 원폭을 투하하는가?")을 쓸 부담을 피하기 위함도 있었다고 한다.베트남 전쟁에서 닉슨 미 대통령 역시 핵 단추를 누르고 싶은 충동을, '핵전쟁 국가'라는 오명을 피하기 위해서도 눌렀으리라고 저자는 추정한다. 





 SAED 



아이러니하게도 초창기 반핵 운동은 핵물리학자들이 주도했다. 뉴질랜드는 2021년 현재, 코로나로부터도 비교적 청정국가인 동시에 핵청정 국가이기도 하다. 1987년에 비핵법을 재정했다. 비핵 지대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핵보유국의 미온적 태도에 불만이엇던 국가와 반핵 단체들이 ICAN(핵무기폐기국제운동https://www.icanw.org/)을 추진중이다. 2017년에는 핵무기금지조약TPNW이 채택되어 핵무기의 궁극적 폐기를 목표로 제시했지만, 안타깝게도 정작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인도, 파키스탄, 북한, 이스라엘은 이 조약에 참여하지 않았다. 

두 아이의 아빠이기도 한 저자 정욱식은 "전쟁과 핵 없는 세상"을 만드는 일을 우공이산(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에 비유한다. 그래도 함께 힘 모아준다면 뚜벅뚜벅 그 길을 가겠다고 한다. 든든하다는 말로 부족하다. 같이 알고, 함께 움직여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컬처 레버리지 - 리더를 위한 조직문화 가이드
존 칠드러스 지음, 신한카드 조직문화팀 옮김 / 예미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부에 ˝조직문화란 무엇인가?˝를 묻고, 책을 마무리하며 ˝조직문화가 도대체?˝를 정리한다. 명확한 단일정의를 내리지 않기에 역추적하자면, 저자는 ˝직원에게 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것보다, 애초에 조직문화에 적합한 직원들을 선발하는 것이 더 효과적(358)˝이라 한다. 신한카드사에서 번역출간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시무스 2021-02-18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초에 적합한 직원을 어떻게 뽑죠?ㅎ 이게 더 힘들것 같은데요?

2021-02-18 13: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scott 2021-02-18 14: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조직문화에 적합한 직원] 으로 프로그래밍된 AI직원

얄라알라 2021-02-18 15: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헉...무섭습니다. 갑자기! 저자가 35년이나 조직문화 컨설팅해오신 분인데 단 한 대목에서도 AI는 언급이 없어서 그 부분 상상하지도 않았습니다만, 섬뜩!
 
페인트 (양장)
이희영 지음 / 창비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얇아 보이는데 판매지수가 대단하다. 무려 6만점 대. 게다가 100자평이건 리뷰건, 호평 일색. 

소설 [페인트]를 만났다. 


기대가 컸고, 몇 가지 선입견이 있었다. 


  1. 첫째, (표지만 보고) 그래픽 노블인줄 알았다. 
  2. 둘째, (소설 도입부까지는) 근 미래, 저출산 한국 사회라는 구체적 배경 아래 인구의 정치, 재생산신기술 및 새로운 형태의 가족들과 얽힌 사회문제를 비판하려는 목적성이 뚜렷한 소설이라 생각했다. 
  3. 셋째, (끝까지 다 읽으면서도) 작가가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아직 생성가족을 만들지 않은 비혼자에 양육 경험 없는 사람이라고 상상했다. 



촉도 없으면서 감 있는 척 했다. 셋 다, 그렇지 않았다. 


  1. 첫째, [페인트]는 그림 없는 소설이었다. 그것도 아주 참신한 소설. 
  2. 둘째, 물론 출생방식 및 양육 경험에서의 차이로 사람을 구별짓고 차별까지 하는 사회, 출산과 양육이라는 영역에 국가가 깊숙히 개입하고 통제하는 양상, 자본이 매개된 위선의 관계(정부보조금을 타기 위해서는 입양에 성공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한 준비된 모범적인 부모의 모습을 연출해야한다) 등을 대놓고 비판한다. 하지만, 소설 후반으로 갈수록, 이 작가는 정서적인 측면에서 부모-자식 관계, 생물학적 부모와 사회적 부모 사이의 우선성 문제, 양육과정에서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인간적 성장일기를 이야기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3. 셋째, 놀랍게도 작가는 열두살 자녀를 둔 엄마이자 아내였다. 즉 최소한 3~40대 일 것으로 추정한다. 생성가족을 경험하지 않은 비혼자일 거라는 상상에 보기 좋게 콧잔등을 얻어 맞았다. 


 이희영 작가가 하루 다섯 시간 이상씩 키보드를 두드려 낳은 작품이 [페인트]라 한다. 작가는 회색 중에서도 검은색에 가까웠던 유년기 회색을 본인의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지 않아 노력하고 있고, 마음이 아픈 자신을 치유하기 위해 글을 썼다 했다. 자라지 못한 자기 안의 어린아이와 놀아주는 방식이 글쓰기라 했다. 가시돋힌, 냉소적인, 세상을 뚫어보는 애어른. 그 아이와 많이 놀아주어야 할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2-17 20: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전 페인트 현대판 피노키오 같다고 생각했어요

얄라알라 2021-02-19 22:13   좋아요 1 | URL
scott님께서 피노키오 언급하셔서 며칠 동안 짬짬 생각했어요^^ 작가님께서 scott님 피드백 들으면 기뻐하실 것 같아요. 저는 Janu301이 극도로 냉소적이고 소위 애어른인 점이 내내 맘에 걸리더라고요. 비워지고 틈새가 보이면서 오히려 예측도 못하게 크는 것이 어린이, 청년(?)일 텐데 자기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틈을 안 보이게 큰다는 게 쓸쓸했거든요.
 

한 인문학 아케데미로부터, 메일 수신 설정을 해두었는데 

"호락호락한 시 한편 보내드립니다"라는 제목으로 메일이 왔다. 알라딘 이웃분들이 시집을 열심히 읽으니, 그 리뷰라도 기웃거리지만 고백하자면 시를 천천히 음미할 준비가 덜 된 독자이다. 나는. 그런데 "호락호락한 시"가 재미있어서, 공유해본다. 


하하, 혼자 웃고 씁쓸해지고, 짠하다! 우리는 뭘로 꿰뚫어 보여주지? 호락호락하게 내 갈 곳은 어디메? 호락호락한 시 한편이 사람을 이렇게 들었다 놨다 하는 거구나! 


 gteddy 


소주 한 병이 공짜 임희구

 

막 금주를 결심하고 나섰는데

눈앞에 보이는 것이

감자탕 드시면 소주 한 병 공짜란다

이래도 되는 것인가

삶이 이렇게 난감해도 되는 것인가

날은 또 왜 이리 꾸물거리는가

막 피어나려는 싹수를

이렇게 싹둑 베어내도 되는 것인가

짧은 순간 만상이 교차한다

술을 끊으면 술과 함께 덩달아

끊어야 할 것들이 한둘이 아니다

세상에 술을 공짜로 준다는데

모질게 끊어야 할 이유가 도대체 있는가

불혹의 뚝심이 이리도 무거워서야

나는 얕고 얕아서 금방 무너질 것이란 걸

저 감자탕집이 이 세상이

훤히 날 꿰뚫게 보여줘야 한다

가자호락호락하게     -    문학의 전당⟫ 2011.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1-02-13 14:2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갈가메시도 그랬어요
사랑하는 가족들과 행복하게 보내고
좋아하는 친구들과 맛있는 거 먹어라고 ㅎㅎㅎ
우아 사진 진짜 전시감이네요 ㅎㅎㅎㅎ
먹자골목 근방에서

하나 2021-02-13 17: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세상에 술을 공짜로 준다는데 / 모질게 끊어야 할 이유가 도대체 있는가

“가자, 호락호락하게.” ㅋㅋㅋㅋㅋㅋ 아 좋네요. 모두 반대의 결심을 할 때, 기꺼이 호락호락해지기로 하는 마음이요.

얄라알라 2021-02-13 17:4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하나님, 글쵸^^ ˝모질게˝ 끊어내다 보면 포기해야하거나 눌러야 하는게 굴비처럼.....그냥 호기롭게 퍼 마셔마셔, 하던대로! 이런 생각도 잠시 듭니다^^

cyrus 2021-02-13 18: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한동안 금주를 했는데, 누군가가 술을 사준다면 저는 거절하지 않겠습니다. ㅎㅎㅎ 물론, 너무 많이 마시지 않을 거예요. 건강을 생각해서 음주량을 줄이는 것도 있지만, 더 중요한 이유는 저도 그 사람에게 술을 사줘야하기 때문이죠.. ^^;;

얄라알라 2021-02-13 18:46   좋아요 2 | URL
cyrus님의 ˝한동안˝이 과연 몇 달(?), 몇 년(?)인지 혼자 궁금해하며 ㅋ저라면 몇 주일 듯 ㅋ

그렇게 술이건, 밥이건, 커피랑 달코미건 좀 얻어 먹고 다시 사주고 했던 시절로 빨리 돌아가고 싶네요. 코로나 시대, 술 모임 가본적이 없어서 아득해요.

cyrus 2021-02-13 19:39   좋아요 2 | URL
코로나 때문에 술집에 갈 일이 없는데다가 집에만 있으니 어머니 눈치 보여서 혼술을 못해요.. ㅎㅎㅎ 그래서 자연스럽게 금주를 하게 됐어요.. ^^

감은빛 2021-02-13 20:3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정말 공감이 가는 ˝호락호락한 시˝네요. ㅎㅎ
과연 공짜술을 누가 마다할 수 있을 것인가?

붕붕툐툐 2021-02-14 00: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어휴~ 소주 사진 너무 영롱하네요~😍

바람돌이 2021-02-14 00:4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는 늘 호락호락합니다. ^^

얄라알라 2021-02-14 01: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키야! 멋진 말씀이십니다. 극친밀관계외 사람과의 접촉이 줄다보니, 경계만 강화되는 거 같아요. 제게는 호락호락 느슨느슨이 필요해진 시점인데 멋지시네요

coolcat329 2021-03-24 21: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세상에... 제가 소주 사진보고 침 삼키기는 첨입니다...시는 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