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준비를 못 했는데 귀한 손님이 짧게 깜짝 방문한 듯 반갑고도 서운합니다.
작년 가을부터 내내 책 한 권에 매달리느라, 풍경의 변화에도 시큰둥한 채 등살만 두툼하게 키우는 실내 생활을 했거든요. 집 밖으로 나와보니 봄꽃이 흐드러지게 피다 못해 벌써 졌네요. 목련 꽃잎도 떨어져 있고요. 일단 나무 본체에서 멀어지면 갈색인지 고동색인지 참 못나게도 망가지는 꽃잎을 보는데 어린 시절 속상한 마음이 고스란히 되살아났어요. 목련 꽃잎은 어린 시절 소꿉놀이에 등장하는 스페셜 재료였죠. 한 철 잠시 자연이 선물로 주는 별미용 재료. 하지만 그렇게나 탐스러웠던 흰 눈송이가 소꿉놀이 돌판 도마에만 누으면 갈색 못난이로 변해버려서 속상했었어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407/pimg_7576931184250760.jpg)
요즘 꼬마들은 꽃잎 소꿉놀이가 뭔지 알까요? 갑자기 그런 물음표가 떠올라 멜랑콜릭해지려는 차에 산책로에서 반가운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나는야 도시의 고고학자. 남겨진 물질을 보고 그것을 만졌던 사람들과 활동을 상상해봅니다. 산책로 부근 돌 위에 얌전히 놓인 풀잎들. 귀여운 꼬마(들)이 여기서 소꿉놀이를 했구나!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그 어린 존재들에게 애정을 느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407/pimg_7576931184250764.jpg)
계속 걷습니다. 인간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직선화 공사를 해버린 하천을 따라 걷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봄이면 여기로 새들이 날아들고 오리(?)도 살고, 생명의 흐름이 가득했죠. 인간들 눈 즐거우라고 아주 빡세게, 깔끔하게 일자 직선형으로 밀어버린 이 하천에는 더 이상 늘씬한 하얀 새로 다리 짧은 오리 친구들이 오지 않습니다.
혼자 속으로 욕합니다. '봤니. 이 어리석은 정책집행자들아! 너희들이 한 짓이야! 버드나무까지 싹 다 밀어버리더니 이제 이 하천이 어떻게 되었는지 봐봐? 새소리며 생명의 소리가 사라졌어! 모르겠나'
제가 별거에 다 흥분하고 오지랖 떨고 있네요. 하지만 버려지고 소홀히 여겨지는 것에 측은지심, 내가 곧 그 버려진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면 이 세상은 얼마나 더 삭막해질까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407/pimg_7576931184250768.jpg)